본문 바로가기
목본식물/차

참가시나무, 겨울눈 (4.3)

by 곰보배추 2018. 4. 21.

[비교] 참나무속 가시나무류

종명 열매 수피
붉가시나무
(Q. acuta)
보통 가장자리는 밋밋.
측맥은 끝 부분이 위로 향한다.
측맥은 8~12쌍 . 
이듬 해 결실. 열매 끝부분에
털이 있고, 각두는 황갈색
털이 밀생.
팽나무 수피와 비슷하며
성목은 얇고 불규칙하게
갈라지고 벗겨진다.
개가시나무
(Q. gilva)
상반부에 예리한 톱니가 있다.
잎 뒷면, 잎자루에 황갈색
성상모가 밀생. 측맥은 11~15쌍. 
같은 해 결실. 
끝부분에 털이 있고
각두는 잔털이 있다.
성목은 불규칙한 조각으로
갈라지고 벗겨진다.
종가시나무
(Q. glauca)
중간 이상부터 톱니(안으로 굽음)가
있다. 뒷면은 회색의 누운 털이 있으나 차츰 없어진다. 측맥은 5~15쌍
같은 해 결실. 
열매는 털이 없고,
각두는 잔털이 있다.
세로로 얕게 갈라지고
회녹색 또는 회색이다.
가시나무
(Q. myrsinifolia)
2/3이상부터 얕고 다소 둔한
톱니가 있다. 잎 뒷면은 회백색.
측맥은 11~15쌍.
같은 해 결실. 열매는 털이
없고 각두는 털이 있다.
진한 회색이고
갈라짐이 없다.
참가시나무
(Q. salicina)
옆연은 톱니가 뾰족하며
뒷면은 분백색이고 털이 없다.
보통 잎 끝이 살짝 꼬인다.

측맥은 9~12쌍.
이듬 해 결실. 열매는 끝부분에
털이 있고 각두는 밝은 회갈색
털이 밀생한다.
회갈색 또는 회흑색이며
갈라짐이 없다.
졸가시나무
(Q. phillyraeoides)
잎이 가장 작고(3~7cm) 상반부에만
톱니가 있다. 양면의 맥에 짧은
털이 있다. 측맥은 6~9쌍.
이듬 해 결실. 각두의 인편은
기와장을 인 모양처럼
비늘처럼 붙어 있다.
회갈색.
성목은 세로로 갈라짐

주1. 종가시나무와 가시나무는 관상용으로 많이 심어져 있다.

주2. 참가시나무 겨울눈은 백색털이 밀생한다.

주3. 붉가시나무는 목재의 색깔이 붉은 데서 명명됨.

주) 참나무과 중 이듬해 결실하는 나무 : 구실잣밤나무, 굴참나무, 상수리나무, 붉가시나무, 참가시나무, 졸가시나무

[기재문]

학명은 Quercus salicina Blume이며 종소명 salicina는 '버드나무속과 비슷하다는' 의미.

바닷가 산기슭에서 자라는 상록성 활엽 큰키나무로 높이 10~20m, 지름 1m에 달한다.

나무껍질은 짙은 회색이고 원형의 흰 껍질눈이 있으며 겨울눈은 긴 타원형이다. 잎자루는 1cm이다.

잎은 어긋나고 피침형 또는 피침상 장타원형으로 길이 10~14cm이다.

잎끝은 점차 뾰족해지며, 가장자리의 1/3 이상에 예리한 톱니가 있다. 측맥은 10~12쌍, 길이 10~14cm이다.

잎의 양면, 특히 뒷면에 솜털이 있으나 없어지고 납질이 생겨 흰색으로 된다. 꽃은 5월에 암수한그루에 핀다.

수꽃차례는 햇가지의 아래에서 나오며, 암꽃차례는 햇가지의 잎겨드랑이에서 나온다.

수꽃이삭은 밑으로 처지고 암꽃이삭은 3~4개가 모여난다. 열매는 견과, 넓은 타원형, 2년 만에 익는다.

각두는 7~9개의 동심원층이 있으며 겉에 털이 빽빽하게 난다. 

 

참가시나무 (참나무과, 참나무속)

학명은 Quercus salicina Blume이며 종소명 salicina는 '버드나무속과 비슷하다는' 의미. 특징) 잎 가장자리의 톱니가 뾰족하며 뒷면이 분백색이고 털이 없다. 열매는 2년만에 익는다. 겨울눈은 인편에 백

hyunsik.tistory.com

 

참가시나무 열매 (참나무과, 참나무속)

학명은 Quercus salicina Blume 깍정이는 접시 모양으로 7~9개의 둥근 원이 있고, 겉에 털이 밀모한다. 열매는 견과로 타원형 또는 넓은 타원형이고 길이 18mm정도로서 끝에는 잔털이 있으며 이듬해 10월

hyunsik.tistory.com

 

참가시나무 겨울눈

'18.10.16 / 경남 섬 참가시나무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8724 가시나무 겨울눈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9367 종가시나무 겨울눈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9365

hyunsik.tistory.com

 

 

 

 

 

 

 

 

 

 

 

 

 

'18.4.3. / 경남 섬

'목본식물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참오동나무 꽃 (5.2)  (0) 2021.06.20
청복분자딸기 (7.5)  (0) 2019.07.08
청분비나무 => 분비나무(6.5)  (0) 2016.09.25
청사조 (6.7)  (0) 2015.08.02
참죽나무 (6.7)  (0) 2015.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