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 현호색류, 괴불주머니류
- 현호색류 : 괴경이 있다.
- 괴불주머니류 : 괴경이 없다.
[특징]
- 잎은 3출엽이 깊게 갈라진다.
- 줄기는 다른 현호색과 달리 Y자로 갈라지지 않고 직립한다.
-외화판의 가장자리가 물결모양 또는 톱니모양
- 다른 현호색에 비해 잎이 두텁고 개화시기가 늦다
[현호색과 절 검색표]
1. 다년초. 괴경과 지하경이 있고, 뿌리는 수근계
2. 괴경은 1개로 구형이고, 묵은 괴경은 횡으로 쪼개져서 여러 개의 새로운 괴경을 형성.
주두는 납작한 다각형이고 주두돌기는 8~14개 ----- 현호색절
2. 괴경은 1개 이상으로 불규칙한 구형이고, 묵은 괴경 위에 새로운 괴경을 형성.
주두는 통통한 선형으로서 좌우로 신장하여 화주와 J형을 이루며 주두돌기는 4개 ----- 들현호색절
(좀현호색, 들현호색)
1. 이년초. 괴경과 지하경이 없고, 뿌리는 직근계
3. 줄기의 단면은 5각형으로 능각이 있고, 거의 끝이 가늘게 좁아지며 꽃은 주로 노랑색이나
청색부터 홍자색을 띄는 종도 있다.
선형의 열매는 곧으며, 봉선을 따라 과피가 말리면서 터지듯히 종자산포한다. ----- 선괴불주머니절
(선괴불주머니, 가는괴불주머니, 자주괴불주머니)
3. 줄기의 단면은 원형으로 능각이 없고, 거의 끝이 둥글게 넓어지며 꽃은 황색이다. 염주형의 열매는
초승달모양으로 휘며, 봉선을 따라 과피가 뒤틀리면서 서서히 종자산포한다. ----- 산괴불주머니절
(염주괴불주머니, 산괴불주머니, 갯괴불주머니)
[현호색절의 종 검색표1] 출처는 현호색속의 분류학적 재검토 논문(1999년)
1. 인편엽의 기부에 구형의 부속물이 있다. ----- 선현호색
1. 인편엽의 기부에 구형의 부속물이 없다.
2. 열매는 선형 또는 넓은 선형으로 종자가 1열 배열
2. 열매는 납작한 방추형 종자는 2열배열. 한국특산식물
3. 열매는 넓은 선형. 꽃은 진한 청색으로 외화편이 넓고 가장자리가 원형 ----- 왜현호색
3. 열매는 좁은 선형. 초승달모양의 꽃은 청색, 홍자색으로 외화판은 좁고 마름모형
4. 줄기는 직립. 잎은 3출엽 부채살 모양. 흰 줄 외화판은 파상 ----- 조선현호색
4. 줄기는 Y자형. 잎은 1~3회 3출엽이며 변이가 다양하다. ----- 현호색
5. 열매는 원통형. 줄기는 직립. 내화판의 선단이 분리. 울릉도에 분포 ----- 섬현호색
5. 열매는 납작함. 방추형 줄기는 Y자형.
6. 꽃받침은 광타원형이며 상부 선단이 갈퀴모양 ----- 갈퀴현호색
6. 꽃받침은 퇴화하여 관찰되지 않는다.
7. 화경에 털이 밀생. 청색, 홍자색. 줄기는 기부가 지면 위로 늘어지다가 상향 ----- 탐라현호색
7. 화경에 털이 없음. 흰색, 하늘색, 청색. 줄기가 늘어지지 않고 상향
8. 진한 성색 잎의 표면에 흰색 반점이 다수 나타난다. ----- 점현호색
8. 꽃은 백색, 하늘색. 줄기는 녹색. 잎 표면에 흰색 반점이 없다.
9. 꽃은 하측 외화판의 기부가 반구형으로 융기하지 않음. 소엽은 타원형, 도란형 ----- 흰현호색
9. 꽃은 하늘색. 하측 외화판의 기부가 반구형으로 융기. 소엽은 변이가 심함 ----- 난장이현호색
[현호색절의 종 검색표2]
1. 인편엽의 기부에 구형의 부속물이 있다. ----- 선현호색
1. 인편엽의 기부에 구형의 부속물이 없다.
2. 열매는 선형 또는 넓은 선형으로 종자가 1열 배열
3. 열매는 넓은 선형으로 곧고, 꽃은 진한 청색이며, 꽃 앞부분의 외화편변은 넓고 가장자리가 원형 ----- 왜현호색
3. 열매는 좁은 선형으로 초승달 모양으로 휘고, 꽃은 청색부터 홍자색까지 변이가 심하며,
꽃 앞부분의 외화편변은 좁고 가장자리가 마름모형
4. 줄기는 직립한다. 잎은 3출엽. 소엽은 도란형 또는 부채모양으로 선단이 장상으로 천열하고,
표면의 엽맥을 따라 흔히 부채살모양의 흰 줄이 생긴다.
꽃 앞부분의 외화편변 가장자리는 결각상 또는 파상을 이룬다. 주두돌기는 12개 ----- 조선현호색
4. 줄기는 엽병과 Y자형을 이룬다. 잎은 1-3회 3출엽. 소엽은 원형, 타원형, 선형등 형태적 변이가 심하고,
거치가 없거나 불규칙하게 천열 또는 심열하여 집단 내에서 원형, 코스모스옆형, 댓잎형 등 다양한 엽형이
관찰되며, 엽맥을 따라 보통 부채살모양의 흰 줄이 생기지 않는다.
꽃 앞부분의 외화판변 가장자리는 결각상이나 파상을 이루지 않고 매끄럽다. 주두는 14개 ----- 현호색
2. 열매는 납작한 방추형 또는 원통형으로 종자가 거의 2열 배열, 한국 특산식물
5. 열매는 원통형. 줄기는 직경 5-7mm로서 직립하고 내화판의 선단이 분리된다. 암술대가 거의 없으며
주두돌기는 8개, 경북 울릉도에 분포 ----- 섬현호색
5. 열매는 납작한 방추형. 줄기는 직경 1-3mm로서 엽병과 Y자형을 이루고, 내화판의 선단이 합착한다.
암술대가 뚜렷이 존재하며 주두돌기는 14개. 한국 중부 또는 제주도에 분포
6. 꽃받침은 광타원형으로 길이 3-5mm이고, 꽃받침의 기부는 자방부위를 감싸고 상부는 화통 위로 솟아
선단이 갈퀴모양으로 갈라진다 ----- 갈퀴현호색
6. 꽃받침은 퇴화되어 관찰되지 않는다.
7. 화경에 털이 밀생하고 꽃은 잡단내에서 청색부터 홍자색까지 변이가 심하다.
줄기 기부가 지면위로 늘어지다가 상향한다. 제주도에 분포 ----- 탐라현호색
7. 화경에 털이 없고 꽃은 흰색, 진한 청색 또는 하늘색으로 종내 변이가 거의 없다.
줄기가 늘어지지 않고 상향한다. 한국 중부에 분포
8. 꽃은 진한 청색으로 길이 25-30mm, 하측 외화편의 맥수가 7개.
줄기는 갈색이고 괴경의 내부 표면은 황색.
잎의 표면에 보통 흰색 반점이 다수 나타난다 ----- 점현호색
8. 꽃은 백색 또는 하늘색으로 길이 14-25mm. 하측 외화판의 맥수는 5개.
줄기는 색색이고 괴경의 내부 표면은 백색, 잎의 표면에 보통 흰색 반점이 나타나지 않는다.
9. 꽃은 백색으로 길이 14-16mm, 하측 외화판의 기부가 반구형으로 용기하지 않으며,
내화판의 양 선단이 돌출하지 않는다. 소엽은 타원형 또는 도란형으로 거치가 없거나 수회 불규칙하게
갈라진다. 강원도 오대산과 설악산 일대에 분포 ----- 흰현호색
9. 꽃은 하늘색으로 길이 20-25mm, 하측 외화판의 기부가 반구형으로 융기하며,
내하판의 양 선단이 둘출한다. 소엽은 원형, 타원형, 선형등 형태적 변이가 심하고, 거치가 없거나
불규칙하게 천열 또는 심열하여 집단 내에서 빗살형, 코스모스잎형, 댓잎형 등 다양한 엽형이 관찰된다.
경기도 현등산에만 분포 ----- 난장이현호색
[현호색속의 종 검색표] 출처 : 한국특산식물도감(김무열 저)
1. 주두는 J형으로 주두돌기는 4개이다.
2. 괴경은 다수, 근경으로 연결되어 있다. 줄기 기부는 곧추선다. ----- 들현호색
2. 괴경은 1개, 근경이 없다. 줄기 기부는 비스듬히 누워 자란다. ----- 좀현호색
1. 주두는 다각형으로 주두돌기는 8~14개이다.
2. 구형의 부속물이 인편엽의 기부에 있다. ----- 선현호색
2. 구형의 부속물이 인편엽의 기부에 없다.
3. 열매는 선형 또는 원통형, 종자는 1열 배열
4. 열매는 원통형, 줄기는 굵다. 괴경의 내부는 흰색. ----- 섬현호색(특산식물, 울릉도)
4. 열매는 선형, 줄기는 가늘다.
5. 화경에 털이 있고, 꽃은 흰색이다. ----- 흰현호색(특산식물, 오대산, 설악산)
5. 화경에 털이 없고, 꽃은 청색, 보라색, 하늘색이다.
6. 외화판은 넓다.
7. 외화판변은 원형이고, 꽃은 진한 청색. ----- 왜현호색
7. 외화판변은 장릉형이고,
꽃은 하늘색. ----- 각시현호색(특산식물, 남한산성, 천마산, 청태산, 광덕산)
6. 외화판은 마름모형.
7. 외화판가는 물결형. 소엽은 흰줄이 있다. ----- 조선현호색
7. 외화판가는 매끈함. 소엽은 흰줄이 없다. 괴경의 내부는 흰색 ----- 현호색
3. 열매는 방추형, 종자는 2열 배열 또는 거의 2열 배열한다.
4. 악편은 발달되어 있다.
5. 악편은 크며, 갈퀴모양으로 화통을 감싼다. ----- 갈퀴현호색(특산식물, 소백산, 오대산, 태백산)
5. 악편은 작고 수염모양으로 화통을 감싸지 않는다. ----- 수염현호색
4. 악편은 퇴화하여 거의 안보인다.
5. 외화판 선단이 쇠뿔형이다. 자주색 무늬가 외화판에 두줄 있다. ----- 쇠뿔현호색(특산식물, 경산)
5. 외화판 선단이 쇠뿔형이 아니다.
6. 하측 외화판 기부는 전저이다. ----- 날개현호색(특산식물, 경주, 포항, 주왕산)
6. 하측 외화피 기부는 둥근 모양이다.
7. 꽃색은 흰색, 연노랑색 또는 하늘빛 흰색이다.
8. 꽃은 흰색, 화경과 소화경에 털이 있다. ----- 털현호색(특산식물, 미시령)
8. 꽃은 흰색 또는 연한 하늘색, 화경과 소화경에 털이 없다. ----- 남도현호색(특산식물)
9. 꽃색은 하늘색 또는 파란색, 보라색이다.
10. 잎은 반점이나 무늬가 있다. ----- 점현호색(특산식물, 천마산, 가리산, 공작산)
10. 잎은 반점이나 무늬가 없다.
11. 내화피 선단이 뽀족하게 돌출하며,
화경과 소화경에 털이 없다. ----- 난쟁이현호색(특산식물, 경기 현등산, 팔공산)
11. 내화피 선단이 뽀족하게 돌출하지 않으며,
화경과 소화경에 털이 있다. ----- 탐라현호색(특산식물, 제주도)
[기재문]
학명은 Corydalis turtschaninovii Besser이며 종소명 turtschaninovii는 러시아 식물학자 이름에서 유래.
여러해살이풀. 땅속줄기는 길이 1.5~5.5cm로 끝에 지름 1.0~2.5cm인 덩이줄기가 달리며, 속은 황색이다.
비늘잎은 길이 1.0~1.5cm, 그 밑에서 1개 또는 여러 개의 줄기가 나오며, 높이 17~28cm다.
줄기잎은 2장이 어긋나며, 잎은 3장의 작은잎으로 된다.
작은잎은 원형 또는 넓은 타원형으로 전체가 불규칙하게 깊게 갈라진다.
꽃은 3~5월에 파란색에서 붉은 자주색으로 다양하게 피며, 6~16개가 총상꽃차례에 달린다.
꽃자루는 길이 5~20mm다. 외화피편은 가장자리가 물결 모양 굴곡이 지며, 거의 길이는 9~14mm다.
열매는 삭과, 선형, 길이 12~30mm, 폭 2~4mm, 6~7월에 익는데 씨는 1줄로 배열한다.
현호색과 조선현호색은 혼동되어 동일종으로 취급되기도 하였으나, 현호색의 줄기는 잎자루와 Y자형을 이루며,
덩이줄기의 내부는 흰색이고, 잎은 2회 3출하는 특징 등에 의해 줄기가 직립하고 덩이줄기 내부가 노란색이며,
잎이 3출엽인 조선현호색과 구분된다.
조선현호색 (현호색과, 현호색속)
[비교] 현호색류, 괴불주머니류 - 현호색류 : 괴경이 있다. - 괴불주머니류 : 괴경이 없다. [특징] - 잎은 3출엽이 깊게 갈라진다. - 줄기는 다른 현호색과 달리 Y자로 갈라지지 않고 직립한다. -외화
hyunsik.tistory.com
조선현호색 열매, 종자(4.27)
[현호색절의 종 검색표1] 출처는 현호색속의 분류학적 재검토 논문(1999년)1. 인편엽의 기부에 구형의 부속물이 있다. ----- 선현호색1. 인편엽의 기부에 구형의 부속물이 없다.2. 열매는 선형 또는
hyunsik.tistory.com
'23.4.2
'그룹명 > 최근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시풀 (0) | 2023.07.26 |
---|---|
참명아주(7.25, 6.20) (0) | 2023.07.25 |
산둥굴레(5.12, 백합과) (0) | 2023.07.25 |
산개나리 열매, 잎(5.26) (0) | 2023.07.25 |
장대나물 꽃(4.26) (0) | 2023.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