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둥굴레속 종 검색표] 출처 : 한국산 둥굴레속 분류학적 재검토(2002년)
1. 지하경이 원주형이다.
2. 잎 뒷면 또는 엽연에 잔털이 있다. ----- 각시둥굴레
2. 잎 뒷면에 유두상 돌기가 있거나 털이 없다.
3. 줄기에 능각이 있고, 화피는 항아리 모양으로 1-2-(3)개
4. 수술대는 무모이다. 꽃의 수는 1~2개(포가 달리기도 함) ----- 풍도둥굴레
4. 수술대에 돌기가 있다. 꽃의 수는 2개 이상. ----- 둥굴레
3. 줄기에 능각이 없는 원주형이며, 화피는 통형 또는 누두형으로 1~4개
4. 암술대 길이 9.4~11.2mm, 주두는 3갈래로 갈라지고 높이가 약보다 높다. ----- 왕둥굴레
4. 암술대 길이 3.8~9.3mm, 주두는 두상이나 삼각상으로 높이가 약보다 같거나 아랫쪽에 있다.
5. 줄기는 직립하고 잎 폭은 5~7cm이며 화피는 통형으로 흰색이다.
안쪽의 화피열편은 오목한 형태이고 수술대는 화피의 중부에 부착.
주두는 삼각형으로 높이가 약과 같다. ----- 선둥굴레
5. 줄기는 구부러지거나, 직립하다가 최상단부가 아래로 늘어진다.
잎 폭은 3~5.5cm이고 화피는 깔대기 모양으로 노란색이거나 노란빛이 나는 흰색
안쪽의 화피열편은 원형이고 수술대는 화피의 상부에 부착
주두는 두상으로 높이는 약보다 아래쪽이다.
6. 줄기는 직립하다가 최상단부가 아래로 늘어진다. 잎 뒷면 맥과 엽연에 털이 없다.
화피는 중앙부가 잘록한 깔때기 모양으로 연한 황색.
수술대는 직립하는 원주형으로 단세포성의 돌기가 밀행하고
다세포성의 모용이 수술대 윗부분에 산생한다. ----- 늦둥굴레
6. 줄기는 중간부분부터 구부러진다. 잎 뒷면 맥과 엽연에 돌기가 있다.
화피는 아랫부분에 잘록한 깔때기 모양으로 노란빛이 도는 백색이다.
수술대는 S자형으로 구부러진 원주형으로 단세포성의 돌기가 산생. ----- 산둥굴레
1. 지하경이 생강모양 또는 뚜렷한 마디를 가지는 염주모양이다. ----- 진황정
[기재문]
줄기는 능각이 없고 87cm 이내. 잎은 맥위와 엽연에 돌기가 있다. 화경은 1~4개의 소화경이 나와는 총상화서.
화피는 깔때기 모양으로 하부가 잘록하며 황백색이다. 수술대는 원주형으로 약각 S자 모양으로 구부러져 있고
화피통의 상부에 부착되며 상부에 돌기가 산생하고 중, 하부에는 무모이며 융기된 세포들이 있다.
주두는 두상으로 약보다 아랫쪽에 위치.
'23.5.12
'그룹명 > 최근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참명아주(7.25, 6.20) (0) | 2023.07.25 |
---|---|
조선현호색 꽃(4.2) (0) | 2023.07.25 |
산개나리 열매, 잎(5.26) (0) | 2023.07.25 |
장대나물 꽃(4.26) (0) | 2023.07.25 |
융단사초 꽃, 근경 (0) | 2023.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