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그룹명/최근사진

우단일엽(5.24, 석위속)

by 곰보배추 2023. 6. 1.

[고란초과의 속 검색표] 출처 : 한국의 양치식물(이창숙, 이강협 저)

1. 잎몸에 별 모양의 털이 있다. ----- 석위속(우단일엽, 큰우단일엽, 석위, 애기석위, 세뿔석위)

1. 잎몸에 별 모양의 털이 없다. 

    2. 포자낭군은 원형, 타원형이다.

        3. 잎맥은 유리맥으로 결합되지 않는다. ----- 미역고사리속

        3. 잎맥은 그물맥이고, 그 안에 갈라지는 유리맥이 있다. ----- 일엽초속, 밤일엽속, 창일엽속, 고란초속

    2. 포자낭군은 길게 선형이거나 또는 넓게 빽빽이 붙는다.

        4. 잎맥은 그물맥이고, 그 안에 유리맥이 있거나 없다. ----- 손고비속, 주걱일엽속, 콩짜개덩굴속

        4. 잎맥은 유리맥으로 Y자로 분기한다. ----- 좀고사리속

[석위속의 종 검색표] 

1. 포자낭군은 중륵의 양측에 1-수열로 드문드문 배열한다.

    2. 잎몸은 선형으로, 기부는 점차 좁아지고, 끝은 대개 주걱모양으로 둥글고,

        포자낭군은 중륵 양측에 1~2열 배열한다. ----- 우단일엽 Pyrrosia linearifolia

    2. 잎몸은 선상 긴타원형, 도피침형 또는 긴삼각상 피침형으로, 종종 기부가 3열로 갈라지며, 흔히 끝이 약간

         뾰족해지고 포자낭군은 중륵의 양측에 3~6열로 배열한다. ----- 큰우단일엽 Pyrrosia × nipponica 

         * 큰우단일엽은 우단일엽과 세뿔석위의 중간 잡종으로 잎몸의 모양이 갈라지지 않는 경우는 우단일엽과

            매우 유사하고, 잎몸의 기부가 갈라지는 경우에는 세뿔석위와 유사함. 제주도 분포

1. 포자낭군은 잎몸의 위에서부터 뒷면을 전체적으로 덮는다. ----- 석위, 애기석위, 세뿔석위 

 

큰우단일엽(3.9)

[고란초과의 속 검색표] 출처 : 한국의 양치식물(이창숙, 이강협 저)1. 잎몸에 별 모양의 털이 있다. ----- 석위속(우단일엽, 큰우단일엽, 석위, 애기석위, 세뿔석위)1. 잎몸에 별 모양의 털이 없다.

hyunsik.tistory.com

 

우단일엽(1.5)

[고란초과의 속 검색표] 출처 : 한국의 양치식물(이창숙, 이강협 저)1. 잎몸에 별 모양의 털이 있다. ----- 석위속(우단일엽, 큰우단일엽, 석위, 애기석위, 세뿔석위)1. 잎몸에 별 모양의 털이 없다.

hyunsik.tistory.com

 

우단일엽(2.15)

'23.2.15.

hyunsik.tistory.com

 

우단일엽(3.27)

[고란초과의 속 검색표] 출처 : 한국의 양치식물(이창숙, 이강협 저)1. 잎몸에 별 모양의 털이 있다. ----- 석위속(우단일엽, 큰우단일엽, 석위, 애기석위, 세뿔석위)1. 잎몸에 별 모양의 털이 없다.

hyunsik.tistory.com

'23.5.24.

'그룹명 > 최근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참갈매나무(6.1)  (0) 2023.06.02
섬오갈피나무 암꽃(6.1)  (0) 2023.06.02
털조장나무(녹나무과/5.24)  (0) 2023.06.01
넉줄고사리  (0) 2023.05.31
뿔이삭풀  (0) 2023.0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