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목본식물/아

오리나무 (3.29)

by 곰보배추 2015. 4. 22.

[오리나무속 종 검색표] 출처 : 한국특산식물도감(김무열 저)

1. 아린은 2~3개. 눈은 둔두.

    2. 잎은 타원형이고 첨두이다.

        3. 엽저는 설저. ----- 오리나무

        3. 엽저는 원저. ----- 떡오리나무

    2. 잎은 원형이고 원두이다.

        3. 구과가 있는 잎은 8cm 이하. ----- 물오리나무

        3. 구과가 있는 잎은 8cm 이상. ----- 수우물오리(물갬나무, 특산식물)

1. 아린은 여러 개. 눈은 점첨두.

    2. 측맥은 5~12쌍. 잎의 중앙이 가장 넓다.

        3. 소지는 검은색. ----- 설령오리나무(덤불오리나무로 통합)

        3. 소지는 갈색.

            4. 털이 잎이면에 있다. 구과는 1.5cm 이하. ----- 덤불오리나무

            4. 털이 잎이면에 없다. 구과는 2cm 이상. ----- 두메오리나무(덤불오리나무로 통합)

    2. 측맥은 12~27쌍. 잎의 중앙이하가 가장 넓다. ----- 사방오리나무(재배식물)

주1) 잔털오리나무(Alnus × mayrii Callier)는 오리나무와 물오리나무의 잡종으로 생각된다.

        주로 산지에서 자라며, 경기 의정부시 천보산, 전북 무주군 조항산, 경북 영천시 보현산 등지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물오리나무에 비해 잎 양면에 털이 많으며 실체는 확인할 수 없다.

주2) 수우물오리(Alnus incana (L.) Moench subsp. tchangbokii Chin S.Chang & H.Kim)는

        물오리나무의 변종으로 과거에 물갬나무로 동정했던 나무. 국가표준식물 목록에는 없다. 

주3) 좀잎산오리나무(Alnus inokumae)는 물오리나무에 비해 잎이 작고 측맥은 6~8쌍, 열매는 좀사방오리처럼

        많이 달리며 크기도 작다(1cm). 수피는 회흑색이며 평활하고 피목이 뚜렷하게 발달한다.

        강원도 산지에 사방조림용으로 식재.

[비교] 물오리나무, 수우물오리(물갬나무)

종명 물오리나무
(Alnus incana (L.) Moench subsp. hirsuta)
수우물오리(=물갬나무)
(Alnus incana (L.) Moench subsp. tchangbokii)
수피 매끈하고 평활하다 불규칙하고 거칠다.
엽연 예거치 또는 이중 예거치 예거치
엽저 설저 심장저 또는 설저
종자 모양 / 크기 원형 또는 타원형 / 크기 2∼3.1 × 1.1∼3 mm 타원형 / 크기 2∼2.8 × 1.1∼ 1.7 mm

[기재문]

잎은 호생하며 양면에 광택이 있는 긴 타원형, 피침상 난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며 예첨두이고 예저 또는 원저이며

길이 6-12cm로서 잔톱니가 있고 털이 없거나 잔털이 있으며 뒷면 맥액에 적갈색 털이 모여나고 엽병은 길이 2-4cm이다.

꽃은 3월에 피며 자웅동주이고 수상화서로 달린다. 웅화수는 길이 4-9cm로서 각 포에 3-4개씩 늘어져 달리고 화피와

수술은 각 4개이며 자화수는 긴 난형이고 각 포에 암꽃이 2개씩 달린다.

과수는 2~6개씩 달리며 길이 2~2.5cm로서 긴 난형이고 종자는 편평한 넓은 타원형 또는 도란형이며 길이 3~4mm로서

양쪽에 날개가 있으나 뚜렷치 않다. 열매는 견과로서 10월에 성숙한다.

높이 20m, 지름 70cm로서 통직하다. 소지는 매끄럽고 갈색 또는 자갈색으로 잘게 갈라지며 털이 있거나 없고 약간

능선이 지며 피목이 뚜렷하고 동아에 대가 있다.

 

 

 

 

 

 

 

 

 

 

 

 

 

 

 

 

 

 

 

'15.3.29. / 대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