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담과 특징은 잎은 마주나고 꽃은 4장 또는 5장의 꽃잎으로 된 통꽃이다. 열매는 삭과.
[비교] 쓴풀, 자주쓴풀, 개쓴풀
종 명 (학명) |
쓴풀 (S. japonica ) |
자주쓴풀 (S. pseudochinensis H.Hara) |
개쓴풀 (S. diluta var. tosaensis) |
공통 | 두해살이풀이며 꽃잎 아래에 긴 털로 덮힌 꿀샘덩이가 있다. | ||
자생환경 | 햇볕이 잘 드는 건조한 풀밭 | 햇볕이 잘 드는 산지 숲 | 저지대 습지 |
줄기 | 5~25cm로 가장 작다. | 15~30cm | 20~70cm로 가장 크다 |
잎 | 길이 1~3.5cm, 폭 1~3mm의 선형 또는 선상 긴 타원형 |
길이 2~4cm, 폭 3~8mm의 피침형 또는 선상 침형 |
길이 2~5cm, 폭 4~10mm의 긴 타원상 피침형~도피침상 주걱형 |
꿀샘덩이의 털 | 길다 | 길다. | 가장 길다 |
꽃 색 | 흰색 | 보라색 | 백색이며 자주색 줄무늬가 있다. |
꽃받침 열편 | 선형 또는 선상 피침형 | 넓은 선형 또는 선상 피침형 | 선형~넓은 피침형 |
종자 | 길이 0.5~0.7mm, 검은색, 난형 |
길이 0.6~1.0mm, 흑갈색, 원형 |
길이 0.4~0.6mm로 가장 작음, 갈색~흑갈색. 다소 둥글다. |
주1. '한국의 들꽃'에는 개쓴풀을 1년초로 기재함.
주2. 쓴풀에는 쓴맛이 있으나 개쓴풀은 쓴맛이 없다.
개쓴풀 꽃(10.7 / 용담과, 쓴풀속)
용담과 특징은 꽃은 4장 또는 5장의 합쳐진 꽃잎으로 되어 있고 꽃잎은 끝이 깊게 갈라지기도 하며눈[芽] 속에 들어 있을 때 서로 꼬여 있다. 두해살이풀.학명은 Swertia diluta var. tosaensis (Makino) H
hyunsik.tistory.com
자주쓴풀 (10.5 / 용담과, 쓴풀속)
용담과 특징은 잎은 마주나고 꽃은 4장 또는 5장의 꽃잎으로 된 통꽃이다. 열매는 삭과. 학명은 Swertia pseudochinensis H.Hara 이고 종소명 pseudochinensis는pseudo-(가짜의)와 chinensis의 합성어로 '중국
hyunsik.tistory.com
쓴풀 종자 (10.10 / 용담과, 쓴풀속)
용담과 특징은 잎은 줄기를 따라 서로 마주나며 잎가장자리가 밋밋하고,꽃은 4장 또는 5장의 합쳐진 꽃잎으로 되어 있다.학명은 Swertia japonica (Schult.) Griseb. 경남(동래, 양산, 밀양, 울산), 경북(대
hyunsik.tistory.com
'24.10.2. / 대구
'그룹명 > 최근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영볼레나무 품종(4.26) (0) | 2025.02.16 |
---|---|
백운산원추리(8.3, 8.11) (0) | 2025.02.12 |
동의나물 잎(5.31, 동의나물속) (0) | 2025.02.12 |
염주괴불주머니 잎(10.3) (0) | 2025.02.12 |
바위족제비고사리(10.24) (0) | 2025.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