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은 1~2개가 달리며 줄기에 능각이 없고 잎 뒷면에 유리질 같은 돌기가 있다.
[둥굴레속 종 검색표] 출처 : 한국산 둥굴레속 분류학적 재검토(2002년)
1. 지하경이 원주형이다.
2. 잎 뒷면 또는 엽연에 잔털이 있다. ----- 각시둥굴레
2. 잎 뒷면에 유두상 돌기가 있거나 털이 없다.
3. 줄기에 능각이 있고, 화피는 항아리 모양으로 1-2-(3)개
4. 수술대는 무모이다. 꽃의 수는 1~2개(포가 달리기도 함) ----- 풍도둥굴레
4. 수술대에 돌기가 있다. 꽃의 수는 2개 이상. ----- 둥굴레
3. 줄기에 능각이 없는 원주형이며, 화피는 통형 또는 누두형으로 1~4개
4. 암술대 길이 9.4~11.2mm, 주두는 3갈래로 갈라지고 높이가 약보다 높다. ----- 왕둥굴레
4. 암술대 길이 3.8~9.3mm, 주두는 두상이나 삼각상으로 높이가 약보다 같거나 아랫쪽에 있다.
5. 줄기는 직립하고 잎 폭은 5~7cm이며 화피는 통형으로 흰색이다.
안쪽의 화피열편은 오목한 형태이고 수술대는 화피의 중부에 부착.
주두는 삼각형으로 높이가 약과 같다. ----- 선둥굴레
5. 줄기는 구부러지거나, 직립하다가 최상단부가 아래로 늘어진다.
잎 폭은 3~5.5cm이고 화피는 깔대기 모양으로 노란색이거나 노란빛이 나는 흰색
안쪽의 화피열편은 원형이고 수술대는 화피의 상부에 부착
주두는 두상으로 높이는 약보다 아래쪽이다.
6. 줄기는 직립하다가 최상단부가 아래로 늘어진다. 잎 뒷면 맥과 엽연에 털이 없다.
화피는 중앙부가 잘록한 깔때기 모양으로 연한 황색.
수술대는 직립하는 원주형으로 단세포성의 돌기가 밀행하고
다세포성의 모용이 수술대 윗부분에 산생한다. ----- 늦둥굴레
6. 줄기는 중간부분부터 구부러진다. 잎 뒷면 맥과 엽연에 돌기가 있다.
화피는 아랫부분에 잘록한 깔때기 모양으로 노란빛이 도는 백색이다.
수술대는 S자형으로 구부러진 원주형으로 단세포성의 돌기가 산생. ----- 산둥굴레
1. 지하경이 생강모양 또는 뚜렷한 마디를 가지는 염주모양이다. ----- 진황정
산둥굴레(5.1)
[둥굴레속 종 검색표] 출처 : 한국산 둥굴레속 분류학적 재검토(2002년)1. 지하경이 원주형이다. 2. 잎 뒷면 또는 엽연에 잔털이 있다. ----- 각시둥굴레 2. 잎 뒷면에 유두상 돌기가 있거나
hyunsik.tistory.com
'23.4.24.
'초본식물 > 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잎돌쩌귀 (투구꽃으로 통합) (2) | 2023.09.17 |
---|---|
선이질풀 (8.16 / 쥐손이풀과, 쥐손이풀속) (0) | 2023.08.19 |
사막갓 (3.17 / 배추과, 배추속) (0) | 2023.03.24 |
실맥문동 (백합과, 맥문아재비속) (0) | 2023.02.10 |
섬쥐깨풀 (9.16 / 꿀풀과 쥐깨풀속) (0) | 2022.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