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명은 Chrysosplenium japonicum (Maxim.) Makino var. tetrandrum Y.N.Lee이고 산괭이눈의 변종이다.
수술이 8개인 산괭이눈과 달리 사술괭이눈은 수술이 4개(4술)이지만 그 이상의 수술이 보인다.
[괭이눈속 종 검색표] 출처 : 한림대 김용인 교수의 식물분류학회 공개 강좌 자료('19.4)
1. 잎이 어긋남
2. 개화기에 포엽이 노란색 ----- 시베리아괭이눈(백두산)
2. 개화기에 포엽이 녹색 또는 연녹색임
3. 무성지가 있으며 줄기 잎과 무성지 잎이 이형 ----- 애기괭이눈
3. 무성지가 없고 줄기 잎과 무성지 잎이 동형 ----- 산괭이눈
1. 잎이 마주남
4. 꽃받침잎이 수평으로 퍼짐 ----- 가지괭이눈
4. 꽃받침잎이 수직으로 섬
5. 식물체에 털이 거의 없음
6. 수술은 8개, 무성지 말단의 잎이 로제트 형성 ----- 선괭이눈
6. 수술은 주로 4개, 줄기가 옆으로 뻗으며 가지가 갈라짐 ----- 괭이눈
5. 식물체에 털이 있다
7. 개화기에 포엽의 색이 녹색(연녹색) ----- 흰털괭이눈
7. 개화기에 포엽의 색이 노란색(연노랑색)
8. 무성지의 앞면에 털이 없음
9. 무성지 잎의 앞면에 흰색무늬가 있음 ----- 누른괭이눈
9. 무성지 잎의 앞면에 흰색점이 있음
10. 결실기에 무성지 가지가 1회 분지함 ----- 기는괭이눈
10. 결실기에 무성지 가지가 2회 이상 분지함 ----- 가지털괭이눈
8. 무성지의 앞면에 털이 있음
11. 무성지의 줄기가 아치형으로 발달함 ----- 천지괭이눈
11. 무성지의 줄기가 아치형이 아님
12. 꽃이 진후 무성지 줄기가 신장않고 로제트 형성 ----- 천마괭이눈
12. 꽃이 진후 무성지 줄기가 길게 신장하고, 로제트 형성안됨 ----- 연노괭이눈
산괭이눈(4.14)
[특징] 잎은 어긋나고 무성지가 없다. [기재문] 학명은 Chrysosplenium japonicum (Maxim.) Makino 산자락의 숲 가장자리, 저지대 계곡 주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 꽃이 달리지 않는 무성지가 생기지 않
hyunsik.tistory.com
산괭이눈(4.12)
'15.4.12 / 남양주
hyunsik.tistory.com
'24.3.13. / 제주도
'초본식물 > 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작약 꽃, 열매(5.31) (0) | 2024.06.03 |
---|---|
선현호색(4.5) (0) | 2024.04.06 |
세모부추 (11.19 / 산부추로 통합, 백합과 부추속) (2) | 2023.11.28 |
실새삼 (10.5, 메꽃과, 새삼속) (0) | 2023.11.02 |
세잎돌쩌귀 (투구꽃으로 통합) (2) | 2023.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