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손속의 종 검색표 1] 출처 : 한국의 양치식물(이창숙, 이강협 저)
1. 영양엽은 2가지 모양으로 측면과 중앙에 각기 2줄로 배열하고, 측면의 잎이 중앙부의 잎보다 크다.
2. 줄기는 한 묶음의 헛줄기에서 여러 개가 방사상으로 나온다. ----- 바위손
2. 줄기는 벋는 줄기에서 1개씩 나온다.
3. 줄기는 곧게 자라다가 위에서 수회 가지를 친다.
4. 측면의 잎은 난상 피침형으로 끝이 날카롭게 뾰족하고, 맨 아래에 털 같은 돌기가 있다. ----- 개부처손
4. 측면의 잎은 난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가 거의 밋밋하다. ----- 부처손(제주도)
3. 줄기는 땅위를 기며 불규칙하게 가지를 친다.
5. 포자낭이 붙는 줄기는 직립한다.
6. 포자엽은 단일 모양이고, 중앙의 잎은 대칭이며, 끝이 구부러지지 않는다.
7. 측면의 잎은 넓은 난형으로 끝이 침상으로 되고, 길이 약 2~3mm. ----- 선비늘이끼(제주도)
7. 측면의 잎은 난형 또는 긴타원형으로 끝이 침상으로 되지 않고, 길이 약 1.5~1.8mm. ----- 왜구실사리
6. 포자엽은 2가지 모양이고, 중앙의 잎은 비대칭이며, 끝이 구부러진다. ----- 각시비늘이끼
5. 포자낭이 붙는 줄기는 직립하지 않는다.
8. 측면의 잎은 상부에 톱니가 있고, 끝이 뾰족하여 길이 약 3mm이다. ----- 비늘이끼(제주도)
8. 측면의 잎은 하부에 톱니가 있고, 끝이 둥뚝하며 길이 약 2mm이다. ----- 구실사리
1. 영양엽은 단일 모양으로, 잎이 나선상으로 배열한다. ----- 실사리(울릉도)
[부처손속의 종 검색표 2] 출처 : 한국식물 도해도감2
1. 줄기는 한 묶음의 수염뿌리에서 나오며 방사상으로 생긴다. ----- 바위손 S. tamariscina
1. 줄기는 지하경에서 1개씩 나오며, 총생하지 않는다.
2. 줄기는 땅 위를 기지 않는다.
3. 잎의 기부에 털 같은 돌기가 많이 붙는다. ----- 개부처손 S. stauntoniana
3. 잎의 기부에 털 같은 돌기가 거의 없다. ----- 부처손 S. involvens
2. 줄기는 땅 위를 긴다.
4. 포자낭이 붙는 줄기는 직립한다.
5. 복엽은 광란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길이 2mm 정도 이다. ----- 선비늘이끼 S. nipponica
5. 복연은 난형으로 끝이 둔하고 길이 1.5mm 정도 이다. ----- 왜구실사리 S. helvetica
4. 포자낭이 붙는 줄기는 직립하지 않는다.
6. 원줄기와 가지의 구분이 뚜렷하다. ----- 비늘이끼 S. remotifolia
6. 줄기는 붉은색을 띤다. 원줄기와 가지의 구분이 뚜렷하지 않다. ----- 구실사리 S. rossii
[비교] 왜구실사리, 구실사리
종명 | 왜구실사리 | 구실사리 |
질감 | 딱딱하다 | 부드럽다 |
측면의 잎 | 1.5~1.8mm이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 2mm이며 하부에 2~3개의 긴 털이 있다 |
줄기 색 | 녹색 | 붉은 빛이 난다 |
포자낭이삭 | 곧게 선다 | 누워있으며 사각 기둥모양이다. |
[위 : 왜구실사리 / 아래 : 구실사리]
'24.8.11.
'그룹명 > 최근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쇠털이슬 꽃(8.10) (0) | 2024.08.12 |
---|---|
구실사리(8.11) (0) | 2024.08.12 |
모시대(잔대속, 7.30) (0) | 2024.08.10 |
느러진장대 꽃(7.31, 배추과) (0) | 2024.08.09 |
음나무 잎 변이(8.3) (0) | 2024.08.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