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초속의 아속 검색표]
* 사초아속 : 소수는 수가 적으며, 단성, 양성, 유병, 화서에 총상 또는 원추상으로 성기게 배열되며, 전엽이 있다.
* 괭이사초아속 : 소수는 수가 많으며, 모두 양성, 무병, 화서에 수상으로 조밀하게 배열되며, 전엽이 없다.
[사초아속의 절 검색표]
1. 소수는 1개이고, 정생한다. ----- 산바늘사초절, 바늘사초절, 뿌리대사초절
1. 소수는 2개에서 다수이고, 1개 또는 여러 개의 소수가 각각의 포엽에 액생하여 원추화서를 이룬다.
2. 과포는 렌즈형이고, 주두는 2개로 갈라진다. ----- 줄사초절, 왕비늘사초절, 산뚝사초절 등
2. 과포는 삼릉형이고, 주두는 3개로 갈라진다.
3. 과포는 부리가 거의 없거나 짧은 부리가 있고, 구부는 평두 또는 짧은 가위모양이다.
4. 자소수는 꽃이 조밀하게 모여 달린다. 포엽은 엽초가 없거나 아주 짧다.
5. 자소수는 서로 떨어져 달리고, 자루가 있다. ----- 참삿갓사초절
5. 자소수는 서로 인접되어 달리고, 어떤 것은 아래쪽 1~2개의 소수가 떨어져 있으며,
짧은 자루가 있거나 가장 아래의 소수는 긴 자루가 있다.
6. 포엽의 엽신은 잎 모양이고, 어떤 것은 가장 아래 포엽의 엽신만 잎모양이며,
드물게 강모상이다. 정소수는 자웅성 또는 웅성이다. ----- 감둥사초절
* 진들검정사초, 감둥사초, 해산사초, 백두사초, 엷은갈미사초, 북사초
6. 포엽의 엽신은 인편모양 혹은 아래쪽 것은 좁은 잎모양이고, 위쪽의 것은
인편모양이며 정소수는 웅성이다. ----- 쌀사초절, 검정사초절, 유성사초절
4. 자소수는 성기게 꽃이 달리며, 포엽은 항상 엽초가 있다. ----- 대사초절, 낚시사초절, 청사초절 등
3. 과포는 긴 부리가 있거나 중간 정도의 부리가 있다. 구부는 뚜렷한 가위모양이다. ----- 융단사초절 등
'20.4.23.
'수생 및 수변식물 > 수생·습지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꼬랑사초 (0) | 2021.10.15 |
---|---|
실말(6.28) (0) | 2021.03.19 |
흑삼릉(9.13) (0) | 2020.11.05 |
소엽풀 (현삼과, 구와속) (0) | 2020.10.09 |
좁은잎미꾸리낚시 꽃(7.17) (0) | 2020.1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