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나물속의 종 검색표1] 출처 : "자생 미기록종 돌나물과 서산돌나물 분포 보고"(2024년)
1. 잎은 불임 줄기에서 윤생한다.(영양엽은 윤생한다)
2. 잎은 불임 줄기에서 3윤생, 난상 타원형~장타원형 ----- 돌나물(S. sarmentosum)
2. 잎은 불임 줄기에서 4 또는 5윤생, 상부는 주걱형 ----- 잎꽃돌나물(S. kiangnanense,, 홍도)
1. 잎은 불임 줄기에서 대생 또는 호생한다.(영양엽은 대생 또는 호생한다)
3. 잎은 주걱모양이고 도란형 또는 아구형이고 편평하다.
4. 주아가 보통 엽액에 달린다. ----- 말똥비름(S. bulbiferum)
4. 주아가 엽액에 없다.
5. 잎은 대생. ----- 둥근잎비름(S. makinoi, 경산시 성암산)
5. 잎은 호생.
6. 잎 끝은 오목하다. ----- 주걱비름(S. tosaense, 제주도 거문오름)
6. 잎 끝은 둥글거나 둔하다.
7. 식물은 2년생이며 줄기는 삼분지한다. ----- 주걱잎갯비름(S. formosanum, 신안군 하태도/상태도)
7. 식물은 다년생이며 줄기는 불규칙하게
분지한다. ----- 서산돌나물(S. tricarpum, 서산 팔봉산 및 태안 백화산)
3. 잎은 선형, 피침형 또는 장방형, 원기둥 모양이거나 편평하다.
8. 잎은 원통형이고 끝은 둥글며 꽃잎은 꽃받침보다 1.5~2배 길다.
9. 잎은 선형이고 길이는 8~18mm, 다소 드물게 난다. ----- 땅채송화(S. oryzifolium)
9. 잎은 넓은 선형 타원형~장방형으로 길이가 3~7mm이고,
대부분 빽빽하게 난다. ----- 돌채송화(S. japonicum)
8. 잎은 납작하고 끝은 예리한 뾰족한 모양이며 꽃잎은 꽃받침보다 2.5~4배 더 길다.
10. 잎은 개화기때 줄기 전체에 다소 성기게 배열된다. ----- 바위채송화(S. polytrichoides)
10. 잎은 개화기때 줄기 상부에 빽빽하게 배열된다. ----- 갯돌나물(S. lepidopodum, 전남 관매도)
[돌나물속의 종 검색표2] 출처 : "둥근잎비름(돌나물과): 국내 미기록종" 논문(2005년)
1. 잎은 주걱형에서 원형으로 뚜렷이 편평하다.
2. 잎은 호생 또는 대생
3. 다년생 초본, 포복성, 줄기와 잎이 만나는 축에 엽아가 없다.
4. 꽃이 달린 줄기의 잎은 대상, 잎은 원두. ----- 둥근잎비름
4. 꽃이 달린 줄기의 잎은 호생, 잎은 요두. ----- 주걱비름
3. 1년생 또는 2년생초본, 포복성이 아니다. 줄기와 잎이 만나는 축에 엽아가 있다. ----- 말똥비름
2. 잎은 윤생. ----- 돌나물
1. 잎은 타원형에서 선형으로 원통형 또는 약간 평평하다.
5. 화판은 악편보다 1.5-2배 길며, 점이 없거나 짧은 갈색줄무늬가 있다.
잎은 원주상 타원형-피침상 원주형이고 길이는 5-10mm.
6. 화서는 줄기의 측지에 달림. 잎은 도란상 원주형, 원두, 화기시 심피는 위를 향함. ----- 땅채송화
6. 화서는 줄기의 주축 끝에 달림. 잎은 다소 좁고, 둔두. 화기시 심피는 퍼져 있다. ----- 돌채송화
5. 화관은 악편보다 2.5-4배 길며, 보통 갈색줄무늬가 있다. 잎은 선형이고 길이는 10-20mm. ----- 바위채송화
'19.3.17
'해안식물(염생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갯부추(10.22) (0) | 2022.01.28 |
---|---|
선갯장대(4.15) (0) | 2022.01.23 |
큰개미자리 (0) | 2022.01.07 |
섬갯쑥부쟁이(7.30) (0) | 2022.01.04 |
타래붓꽃(4.25) (0) | 2021.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