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태학적 형질에 기초한 한국산 부추속의 분류학적 연구]
1. 생식 특성
가. 자웅이주형 : 달래
나. 자웅동주형 : 나머지 분류군
2. 지하부 구조
화경과 잎을 감싸는 초상엽과 소인경의 유무 및 근경의 형태에 따라 구분
구 조 (그림 1 참조) |
내용 |
분류군 | |
달래형 (1) |
막질의 초상엽이 존재하고 인경에 소인경이 발달하며 근경은 발달하지 않는 것 |
달래 | |
산달래형 (2) |
초상엽이 없고, 인경에 소인경이 발달하며, 짧은 근경이 인경아래에 직립하여 발달 |
산달래 | |
참산부추형 (3) |
초상엽과 소인경이 발달하지 않으며, 비교적 짧은 근경이 인경아래에 직립하여 발달 |
돌부추, 한라부추, 산부추 등 | |
두메부추형 (4a, 4b) |
초상엽과 소인경이 발달하지 않으며, 굵은 근경이 비교적 길게 신장하면서 발달 |
두메부추, 좀부추, 부추 | |
산파형 (5) |
초상엽과 소인경이 발달하지 않으며, 다소 뚜렷하게 발달하는 근경이 지면과 비스듬하게 또는 평행하게 발달 |
산마늘, 울릉산마늘, 산파, 실부추 |
[그림1. 지하부 구조]
3. 엽신 횡단면
가. 편평형 : 단면이 납작(달래, 산마늘, 부추, 돌부추, 두메부추, 산부추, 가는산부추, 좀부추 등)
나. 능각형 : 단면이 3~6각형(산달래, 세모부추, 실부추 등)
다. 원통형 : 단면이 거의 둥글거나 향축면이 눌린 형태(노랑부추, 선부추, 한라부추, 둥근산부추, 강부추 등)
[부추속 비교]
가는산부추 (Allium splendens Willd. ex Schult.f.)
북부지방의 고산에 자라나 만주지산이나 신불산에도 발견된다 한다.
잎은 3~4개인데 선형이고 약간 납작하며 잎끝은 둔하다.
꽃은 7~8월에 홍자색으로 핀다.
갯부추 (Allium pseudojaponicum Makino)
바닷가에서 자란다. 잎몸은 윤기가 나며 편평하고 속이 꽉 차 있고 잎이 꼬여 있다.
안쪽의 화피는 바깥쪽의 화피보다 길며 난상 타원형이다. 엽초는 노출
노랑부추 (Allium condensatum Turcz.)
북부지방에 자생하며 꽃은 노랑색이다.
둥근산부추 (Allium thunbergii G.Don var. teretifolium H.J.Choi & B.U.Oh) : 산부추의 변종이며 특산식물
고산의 바위지대(덕유산, 지리산)에만 자생. 잎은 둥글며 직경은 1.2~3.1mm이며 가운데는 비어 있다.
엽초는 매립.
산부추 (Allium thunbergii G.Don) : 세모부추, 세모산부추, 참산부추, 한라세모부추, 강부추
- 산부추 : 꽃대가 잎보다 길다. 암술이 꽃잎 길이와 유사. 엽초는 매립. 잎 하단이 삼각형.
- 참산부추 : 꽃대가 잎보다 짧다. 암술이 꽃잎 길이보다 길다. 엽초는 노출. 잎은 편평하지만 주맥이 돌출.
- 세모부추 : 잎은 삼각형이지만 맥이 있고 중공. 엽초는 노출. 꽃은 다소 성기게 달린다.
- 세모산부추 : 꽃이 성기게 달리고 엽초는 매립이며 한라부추의 변종.
- 강부추 : 임진강, 한탄강 등에 자생. 잎에 중륵이 없으며 단면은 원형이고 속이 비워있다.
선부추 (Allium linearifolium H.J.Choi & B.U.Oh) : 월악산 등에 분포하는 특산식물
산부추와 비슷하지만 줄기 단면이 둥글고 속이 비었으며, 잎은 뻗으며 중륵이 없다.
잎은 길이 19~70.5cm, 폭 1~3.2mm의 선형이며 둥글고 속이 비었으며 끝은 원추형이고
엽초는 매립.
좀부추 (Allium minus (S.O.Yu, S.T.Lee & W.T.Lee) H.J.Choi & B.U.Oh) : 인제에 분포하는 특산식물
건조한 바위틈에서 자란다. 줄기에 2개의 능선이 있다.
잎몸은 선형이며 오른쪽으로 꼬이기도 하고 밑은 잎집으로 되어 꽃자루를 둘러싼다.
수술은 화피보다 길거나 비슷하다.
이 종은 식물체가 소형이고 잎이 꽃자루보다 길고 전부가 우측으로 꼬이는 점에서
잎이 꽃자루의 길이와 거의 같고, 잎이 꼬이지 않거나 우측으로 꼬이는 두메부추와 구분한다.
한라부추 (Allium taquetii H.Lév. & Vaniot) : 가야산, 지리산, 한라산, 백운산 등에 분포하는 특산식물
산부추와 유사하지만 습지에서 자라며 잎은 반원형이며 속이 비어 있다.
꽃대 단면 양쪽이 볼록하고 양끝에 좁은 날개가 있는 부추속은 아래와 같으며
- 두메부추(Allium dumebuchum H.J.Choi) : 특산식물로 울릉도에 자생. 잎폭은 5-13mm
- 참두메부추(Allium spirale Willd.) : 동해안에 자생. 잎폭은 4–10mm
- 각시두메부추(Allium spurium G.Don) : 청량산에 자생. 잎폭은 1.5–4mm
재배종으로는 푸른두메부추가 있다.
'21.10.22
'해안식물(염생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래지치(5.23) (0) | 2022.02.10 |
---|---|
갯봄맞이(6.6) (0) | 2022.01.31 |
선갯장대(4.15) (0) | 2022.01.23 |
땅채송화(3.17) (0) | 2022.01.09 |
큰개미자리 (0) | 2022.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