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징]
1. 사초속과 달리 화피편이 있고 암술머리는 3개이다.
2. 암수딴포기이나 드물게 양성화도 있다.
3. 자인편은 철두, 웅인편은 요두 모양이다.
4. 줄기는 다각형 원기둥 모양이다.
[비교] 애기황새풀속, 황새풀속
속 명 | 애기황새풀속(2종) | 황새풀속(7종) | |
특 징 | 줄기 끝에 한 개의 소수가 달린다. |
소수는 소화를 싼 다수의 인편이 나선상으로 배열됨. 화피편은 실모양이며 결실기에는 길게 자라 면모처럼 보인다. |
|
해당 종 | 남한 분포 | 동강고랭이 | 작은황새풀(용늪, 심적습지) |
북부지방, 중국, 러시아 분포 |
애기황새풀 (백두산 선봉령) |
눈썹황새풀, 두메황새풀, 설령황새풀, 참황새풀, 큰황새풀(백두산 선봉령), 황새풀(백두산 선봉령) |
|
공 통 | 줄기는 총생하고 기부의 잎은 엽초만으로 된 잎이 있다. 과낭이 없다. 화피편이 많고 매우 길다. 암술머리는 3갈래이다. |
[사초과 식물의 속 검색표] 출처 : 한국식물 도해도감 4
1. 화서는 모든 꽃이 단성화이다. ----- 사초속(Carex) 등
1. 화서는 모두 양성화이거나 적어도 몇 개의 꽃은 양성화이다.
2. 소수의 소화는 성기게 달리며, 거의 양성화이다. ----- 골풀아재비속(Rhynchospora) 등
2. 소수는 많은 꽃이 조밀하게 달리며(단, 세대가리, 파대가리속은 1~2개의 소화로 구성),
모두 양성화이다.
3. 소수는 소화가 나선상으로 붙는다.
4. 화피편이 없다. ----- 하늘지기속(Fimbristylis), 모기골속(Bulbostylis)
4. 화피편이 있다.
5. 화피편은 인편모양이다. ----- 검정방동사니속(Fuirena)
5. 화피편은 아래로 향하는 가시가 있는 침상이거나 실모양이다.
6. 소수는 1개이며, 정생한다.
7. 암술대 기부는 비후된다. ----- 바늘골속(Eleocharis)
7. 암술대 기부는 간혹 비후되나 불분명하다. ----- 애기황새풀속(Trichophorum)
6. 소수는 1개 또는 다수이며, 정생 또는 가측생한다.
8. 화피편은 10개 이상으로 실모양이며, 평활하다. ----- 황새풀속(Eriophorum)
8. 화피편은 4~6개 이하로 침상이며, 아래로 향하는 가시가 있다 --- 매자기속(Bolboschoenus) 등
3. 소수는 소화가 2열로 붙는다. ----- 방동사니속(Cyperus) 등
[기재문]
학명은 Trichophorum dioicum ((Y.N. Lee & Y.C. Oh)) M. Kim
다년생 초본으로 줄기는 밀생하며 개화기에 높이가 5~10cm이다.
줄기는 다각형의 원기둥 모양으로 지름 0.6mm가량이며, 유리알 같은 유두돌기가 줄지어 붙고,
아래는 연한 갈색 엽초에 싸이며, 엽초 끝에 바늘 모양의 돌기가 있다.
소수는 1개이며 줄기 끝에 달리고, 갈색, 길이 5~6mm, 너비 1.5mm가량이며 암수딴포기(또는 드물게 양성화)이다.
암꽃은 3개의 암술머리가 밖으로 돌출되어 나온다. 한국 고유종이다.
동강고랭이(4.22)
학명은 Trichophorum dioicum ((Y.N. Lee & Y.C. Oh)) M. Kim다년생 초본으로 줄기는 밀생하며 개화기에 높이가 5~10cm이다.줄기는 다각형의 원기둥 모양으로 지름 0.6mm가량이며, 유리알 같은 유두돌기가 줄지
hyunsik.tistory.com
동강고랭이 (5.23, 애기황새풀속)
학명은 Trichophorum dioicum ((Y.N. Lee & Y.C. Oh)) M. Kim 다년생 초본으로 줄기는 밀생하며 개화기에 높이가 5~10cm이다. 줄기는 다각형의 원기둥 모양으로 지름 0.6mm가량이며, 유리알 같은 유두돌기가 줄지
hyunsik.tistory.com
동강고랭이 표본
'12.6.24
hyunsik.tistory.com
동강고랭이 신엽(11.15)
'23.11.15
hyunsik.tistory.com
'24.9.29. 정선
'그룹명 > 최근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벌완두(9.28, 9.13) (2) | 2024.10.22 |
---|---|
동강기름나물 꽃(9.28) (5) | 2024.10.21 |
배초향 꽃(10.3, 꿀풀과 / 방아풀) (0) | 2024.10.18 |
여뀌(10.3) (0) | 2024.10.18 |
수까치깨 (9.17 / 피나무과, 까치깨속) (0) | 2024.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