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초본식물/뿌리잎1241

큰참나물 신엽(5.10) 큰참나물 신엽(4.20)'22.4.20hyunsik.tistory.com 큰참나물 꽃(9.23)큰참나물 신엽(4.20)'22.4.20hyunsik.tistory.com 큰참나물 열매, 종자(11.12)'21.11.12hyunsik.tistory.com    '17.9.23 / 대구큰참나물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58804hyunsik.tistory.com 큰참나물 열매, 종자(11.12, 큰참나물속)큰참나물 종자(11.15)큰참나물 열매, 종자(11.12)'21.11.12hyunsik.tistory.com'24.11.15.hyunsik.tistory.com'21.11.12hyunsik.tistory.com 큰참나물 종자(11.15)큰참나물 열매, 종자(11.12.. 2024. 12. 23.
회리바람꽃, 영양엽(4.23) 회리바람꽃 영양엽, 생식엽(5.2)회리바람꽃(4.21)[기재문]학명은 Anemone reflexa Steph. & Willd. 숲속 그늘진 곳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 근생엽은 없다. 영양엽과 생식엽이 있다. 총포조각은 3개로서 돌려나기하며 포는 3개로 완전히hyunsik.tistory.com 회리바람꽃 영양엽(5.2)회리바람꽃 영양엽만 보게 되면 붉은참반디, 참반디 잎과 비슷하다. 붉은참반디 신엽(4.21)'20.4.21hyunsik.tistory.com 참반디 신엽(3.22)붉은참반디 신엽(4.23) '20.4.23 hyunsik.tistory.com '23.3.22hyunsik.tistory.comhyunsik.tistory.com'24.5.2. 2024. 12. 21.
모시대 신엽(4.23) [비교] 금강초롱꽃속, 잔대속, 초롱꽃속1. 약은 서로 붙어 있다. ----- 금강초롱꽃속1. 약은 서로 떨어져 있다.    2. 화반이 뚜렷하다. ----- 잔대속    2. 화반이 뚜렷하지 않다. ----- 초롱꽃속[잔대속 검색표]1. 잎은 심장형. 엽병 길이는 2cm 이상    2. 꽃은 3.5~4cm. 화관의 길이가 폭과 같거나 짧다.  -----  도라지모시대    2. 꽃은 3.5cm 이하. 화관의 길이가 폭보다 길다.        3. 선체(밀반)는 원통형. 꽃은 엉성하게 달린다.            4. 악통에 털이 없다.  ----- 모시대            4. 악통에 털이 있다.  ----- 그늘모시대        3. 선체(밀반)는 원반형. 꽃은 조밀하게 달린다.  -----  선.. 2024. 12. 21.
꿩의다리 신엽(4.23, 5.9) [특징]소엽병에 탁엽이 있다.[기재문]학명은 Thalictrum aquilegiifolium L. var. sibiricum Regel & Tiling이며 종소명 aquilegiifolium은 정소엽 모양이독수리 발톱을 닮았다는 데서 유래.산지 숲속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 전체에 털이 없고, 흰빛이 조금 돈다.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1~2m, 가지가 갈라지고, 지름 1cm쯤으로 굵다. 잎은 어긋나며, 줄기 밑부분의 것은잎자루가 길고 2~3회 깃 모양으로 갈라지는 겹잎이다.소엽은 난형, 길이 1.5~3.5cm, 폭 1~3cm, 끝이 뭉툭하다. 꽃은 6~7월에 피는데 원추꽃차례에 많이 달리며, 흰색이다.꽃자루는 길이 4~17mm이다. 꽃받침은 4~5장, 타원형, 길이 3~4mm, 일찍 떨어진다. 꽃잎은 없다.. 2024. 12. 21.
애기수영 신엽(11.21) '24.11.21. 2024. 11. 28.
큰절굿대 근생엽(11.17) [비교] 절굿대, 큰절굿대종 명절굿대큰절굿대줄 기  깊은 홈이 있다.  거의 홈이 없다.잎 몸  1회 새깃꼴로 깊게 갈리고,   가장자리의 가시 길이가 1cm 이내   1회 새깃꼴로 갈린 결각이 대개 다시 깊게 갈리며,   가시의 길이가 2~3cm이며 북부지방에 분포 '24.11.17 / 식재 2024. 11. 26.
고수 신엽(11.17) [기재문]학명은 Coriandrum sativum L.전국 각처, 특히 절 주변에 주로 식재.잎은 빈대 냄새가 나고 근생엽은 엽병이 길지만 위로 갈수록 짧아지며 밑부분이 모두 엽초로 된다.밑부분의 잎은 1~2회 우상복엽이지만 위로 가면서 2-3회 우상으로 갈라지고 열편이 좁아진다. 6-7월에 원줄기 끝과 가지끝에서 우산모양꽃차례가 발달하며 각 꽃차례는 3-6개의 소산경으로 갈라져서 10개 정도의백색꽃이 달린다. 꽃잎은 5개이고 가장자리의 꽃잎이 특히 크며 수술은 5개이고 씨방은 하위로서 1개이다.열매는 분과로 둥글며 10여개의 능선이 있고 향기가 있다.높이 30-60cm이고 원줄기는 곧게 서며 속이 비어 있고 가지가 약간 갈라지며 털이 없다. 고수(9.12 / 고수속)'18.9.12hyunsik.tist.. 2024. 11. 22.
포천구절초 신엽(9.29) [구절초속 비교]* 공통 : 땅속 줄기가 있다.* 가는잎구절초 : 산구절초로 통합* 바위구절초 : 북부지방의 높은 산에 자생하며 전체에 회색 털이 있다.* 포천구절초(산구절초의 변종) : 주로 강변에서 자라며 산구절초에 비해 잎이 보다 잘게 갈라지며 줄기에 털이 없다.* 산구절초 : 산에 자라며 줄기에 누운 털이 있다.* 한라구절초 : 한라산에 자라며 잎에 광택이 있다.* 남구절초(산구절초의 변종) : 남쪽 섬에 자라며 잎이 두껍고 넓은 난형이며 표면에 윤택이 있고 잎끝 부분은                                                 얕게 갈라진다.* 울릉국화 : 울릉도 해안가 주변에서 자라며 잎은 깊게 비교적 가늘게 갈라지고 두꺼우며 광채가 난다.[구절초속의 종 검색표] (.. 2024. 10. 21.
동강고랭이 신엽(11.15) [비교] 애기황새풀속, 황새풀속속  명애기황새풀속(2종)황새풀속(7종)특  징줄기 끝에 한 개의소수가 달린다.소수는 소화를 싼 다수의 인편이 나선상으로 배열됨.화피편은 실모양이며 결실기에는 길게 자라 면모처럼 보인다.해당 종남한 분포동강고랭이작은황새풀(용늪, 심적습지)북부지방, 중국,러시아 분포애기황새풀(백두산 선봉령)눈썹황새풀, 두메황새풀, 설령황새풀, 참황새풀,큰황새풀(백두산 선봉령), 황새풀(백두산 선봉령)공  통 줄기는 총생하고 기부의 잎은 엽초만으로 된 잎이 있다.과낭이 없다. 화피편이 많고 매우 길다. 암술머리는 3갈래이다.[사초과 식물의 속 검색표] 출처 : 한국식물 도해도감 41. 화서는 모든 꽃이 단성화이다. ----- 사초속(Carex) 등1. 화서는 모두 양성화이거나 적어도 몇 개의 .. 2024. 10. 20.
그늘보리뺑이 1년차 신엽(8.24) 산지 풀밭, 들판, 강가에 자라는 두해살이풀이다. 그늘보리뺑이 신엽(3.27)'22.3.27hyunsik.tistory.com'24.8.24 2024. 9. 1.
담배풀 신엽(5.8, 5.27) [특징]1. 줄기에서 나온 엽병과 가지 기부에 붉은 반점이 있다. 2. 총포가 근연종에 비해 짧다.3. 개화시기는 근연종에 비해 늦다.4. 두해살이풀이다(좀담배풀, 긴담배풀 등 근연종은 다년초임).[기재문]학명은 Carpesium abrotanoides L.전국에 분포하며 두해살이풀이다. 근생엽은 긴 엽병이 있고 개화기가 되면 없어진다.잎은 어긋나기하며 밑부분의 것은 넓은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끝이 둔하며 밑부분이 엽병으로 흘러서 날개로되고 길이 20-28cm, 폭 8.5-15cm로서 양면, 특히 맥 위에 털이 있으며 뒷면에 선점이 있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치아모양톱니가 있으며 위로 가면서 작아지고 엽병이 없어지며 긴 타원형으로 된다.꽃은 8~9월에 피고 지름 6-8cm로서 잎겨드랑이에 수상으로 달리.. 2024. 8. 31.
미역취 신엽(미역취속, 7.26) '미역취 및 근연분류군의 분류학적 재검토' 논문에 의하면미역취(Solidago virgaurea L. subsp. asiatica (Nakai ex H.Hara) Kitam. ex H.Hara)의 모종(Solidago virgaurea L). 은 유럽에 분포하며 수과에 털이 많다.나래미역취는 수과 표면이 무모이고, 줄기가 가지를 많이 치며, 잎이 넓다는 게 특징이나  미역취의 해당 형질 변이 폭내에 포함되므로 미역취의 이명으로 처리.산미역취는 통상화가 15~25개로 많고 총포편은 3열인 특징을 가지고 있으나 국내에 분포하지 않는다.두메미역취는 만주산을 기초로 기재한 분류군으로서 총포가 길이 6.0−10.0mm인 특징을 지니므로 총포가 길이 4.4−6.0mm인 미역취와는 달리 다소 대형의 두상화를 지님으로.. 2024. 8. 22.
개버무리 신엽(5.22 /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 개버무리 신엽은 2회 3출엽인 좀사위질빵과 비슷하다.- 좀사위질빵 : 소엽의 결각이 심하며 소수의 거치가 있다.- 개버무리 : 좀사위질빵에 비해 소엽의 결각이 심하지 않고 거치가 다수 있다. 사위질빵 꽃(8.15)[비교] 사위질빵, 좀사위질빵- 사위질빵 : 잎은 3출엽 또는 간혹 2회 3출엽, 열매에 털이 있다. - 좀사위질빵 : 2회 3출엽, 열매에 털이 없다.                   '17.8.15 / 진도 사위질빵 더hyunsik.tistory.com 개버무리 꽃(9.17)개버무리 신엽(으아리속, 5.22)개버무리 신엽은 2회 3출엽인 좀사위질빵과 비슷하다.- 좀사위질빵 : 소엽의 결각이 심하며 소수의 거치가 있다.- 개버무리 : 좀사위질빵에 비해 소엽의 결각이 심하hyunsik.tisto.. 2024. 8. 20.
애기사철란 근생엽(7.31) 유사종에 비해 개체가 매우 작다.잎은 길이 1~3cm, 폭 7~18mm로서 끝이 둔하며 길이 1㎝의 엽병이 있고 희미한 흰색의 그물눈 무늬가 있다. 사철란 근생엽(4.14)'24.4.14hyunsik.tistory.com 섬사철란 근생엽(3.14)잎만 봐서는 붉은사철란과 구분하기 힘들다. 붉은사철란 (8.2)[기재문] 학명은 Goodyera macrantha Maxim 제주도와 완도 등 다도해 도서지방에서 자란다. 잎은 3~4개가 호생하고 난형 또는 긴 난형이며hyunsik.tistory.com 털사철란 근생엽(9.27)'11.9.27hyunsik.tistory.com 로젯사철란 (한국사철란) 근생엽(3.23)사철란은 뿌리잎에 흰색 줄무늬가 선명하나, 로젯사철란는 흰색 줄무늬가 없거나 희미하다. 사철란 .. 2024. 8. 1.
두메고들빼기 신엽(5.2, 왕고들빼기속) 산씀바귀 신엽(6.27)'18.6.27hyunsik.tistory.com 두메고들빼기(7.15)산씀바귀 신엽(6.27)'18.6.27hyunsik.tistory.com 두메고들빼기 종자 (왕고들빼기속/10.10)학명은 Lactuca triangulata Maxim. 수과는 타원형 또는 넓은 달걀모양으로서 길이 4mm, 넓이 2mm이며 납작스름하고 흑색hyunsik.tistory.com 두메고들빼기 종자 (왕고들빼기속/10.10)학명은 Lactuca triangulata Maxim. 수과는 타원형 또는 넓은 달걀모양으로서 길이 4mm, 넓이 2mm이며 납작스름하고 흑색 또는 암적색이며 관모는 길이 6-7mm의 백색 두메고들빼기 (Lactuca triangulata Max.)'11.7.hyunsik.tist.. 2024. 7. 16.
털질경이 신엽(3.27) [질경이속 종 비교]종명개질경이털질경이미국질경이긴포꽃질경이질경이왕질경이창질경이생태다년초다년초일년초 일년초 다년초 다년초다년초뿌리직근수염뿌리 미국질경이 신엽(3.19)'23.3.19hyunsik.tistory.com 개질경이 신엽(3.10)'13.3.10hyunsik.tistory.com 털질경이 꽃, 뿌리(5.19)[특징]- 뿌리는 직근(질경이, 왕질경이는 수염뿌리)- 잎은 긴 타원형이며 잎 양면에 거센 털이 성기게 난다.(질경이는 넓은 난형이고 잎 양면에 털이 없다)- 잎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얕은 치아hyunsik.tistory.com 털질경이 열매, 종자(6.17)[특징]- 뿌리는 직근(질경이, 왕질경이는 수염뿌리) - 잎은 긴 타원형이며 잎 양면에 거센 털이 성기게 난다.(질경이는 넓은 난형이고 .. 2024. 7. 16.
담배풀 신엽(2년초, 3.27, 3.19) 2년초. [비교]  긴담배풀, 좀담배풀, 담배풀, 두메담배풀 근생엽* 긴담배풀 : 엽병에 날개가 없다.* 좀담배풀 : 엽신에 털이 밀생하고 엽병에 넓은 날개가 있다.* 담배풀 : 엽병에 좁은 날개가 있으나 점차 좁아진다. 엽병이 제일 길다.* 두메담배풀 : 엽병에 넓은 날개가 있다. 긴담배풀 신엽(3.30)'23.3.30hyunsik.tistory.com 좀담배풀 신엽(3.24)'23.3.24hyunsik.tistory.com 두메담배풀 신엽(5.2)[비교]  긴담배풀, 좀담배풀, 담배풀, 두메담배풀 근생엽* 긴담배풀 : 엽병에 날개가 없다.* 좀담배풀 : 엽신에 털이 밀생하고 엽병에 넓은 날개가 있다.* 담배풀 : 엽병에 좁은 날개가 있으나 점hyunsik.tistory.com 담배풀 신엽(1년초, 9.. 2024. 7. 16.
왕과 신엽(6.19) 학명은 Thladiantha dubia Bunge이며 종소명 dubia는 '(분류가) 의심스러운' 의미희귀멸종위기식물인가 근처 밭둑이나 돌담에서 자라는 덩굴성 여러해살이풀이다.전체에 밑을 향한 가시털이 있고, 줄기는 네모가 진다. 잎은 어긋나며 얕게 갈라져 손바닥 모양이다.잎의 밑은 얕은 심장형이다. 잎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있다.꽃은 노란색으로 피는데 원통 모양의 종형이고 끝이 5갈래로 갈라지며 끝이 뒤로 젖혀진다.암수딴그루이며 암꽃(매우 보기 힘듬)은 암술1개와 꽃밥이 없는 헛수술 5개가 있으며 암술머리는 3개로 갈라지고, 수꽃은 암술이 없고 5개의 수술이 있으며 모두 꽃밥이 있다. 열매는 박과로 참외모양이고 주홍색으로 익으며 길이 4~5cm, 너비 3cm이다.울타리용, 관상용으로 식재한다.참고) 호박.. 2024. 6. 25.
도깨비바늘 신엽(6.4) 왕도깨비바늘 신엽과 매우 유사하여 구분하기가 힘들다. 왕도깨비바늘 신엽잎이 1~2회 깊게 갈라지고 소엽은 깊게 갈라지며 좁은 피침형이다. '23.6.4hyunsik.tistory.com 털도깨비바늘 신엽(6.21)'23.6.21hyunsik.tistory.com 울산도깨비바늘 신엽(5.15)'23.5.15hyunsik.tistory.com 도깨비바늘 신엽(7.21)'23.7.21hyunsik.tistory.com 도깨비바늘(8.31)'23.8.31hyunsik.tistory.com 도깨비바늘 열매(9.18)'21.9.18hyunsik.tistory.com'24.6.4 2024. 6. 9.
민둥갈퀴 신엽(5.23) 잎이 4장씩 윤생하는 갈퀴덩굴속 중- 민둥갈퀴 : 잎은 3~5맥. 열매는 반구형이며 평활하다. 엽병이 없다.- 긴잎갈퀴(희귀멸종위기식물) : 잎은 좁은 피침형이고 3~5맥. 열매는 구형이고 센털이 밀생. 엽병은 짧다.- 민긴잎갈퀴 : 긴잎갈퀴의 변종. 열매에 털이 없다.[갈퀴덩굴속의 종 검색표] 출처는 한국특산식물도감(김무열 저)1. 화관통부가 화관 열편보다 아주 짧다.    2. 잎은 6~10개 윤생         3. 잎은 8~10개 윤생              4. 화관 열편이 3개. 잎은 장타원형. 식물체는 덩굴성. 꽃색은 연두색. ----- 갈퀴덩굴              4. 화관 열편이 4개. 잎은 선형. 식물체는 직립형. 꽃색은 노랑색.                   5. 식물체는 70~.. 2024. 5. 30.
해장죽 죽순(5.29) [비교] 왕대, 솜대, 오죽, 죽순대, 해장죽종 명왕대솜대(오죽의 변종)오죽(솜대의 원종)죽순대(맹종죽)해장죽(관상용 등)죽순잎(줄기엽초)의 반점있다없다없다있다없다죽순잎(줄기엽초)의 털없다있다있다있다있다줄기 고리2개(마디고리+엽흔)2개(마디고리+엽흔)2개(마디고리+엽흔)1개(마디고리)2개(마디고리와 엽흔간격이 넓다.)줄기의 색녹색에서 황록색흰색가루로 덮혀 있다가 황록색으로 변함첫해는 녹색이지만점차 자갈색으로 변함녹색에서 황록색녹색에서 황록색줄기 지름~1 5cm~ 8cm~ 5cm~ 20cm~ 3cm가지 갯수굵기가 다른 가지가 2개가 나옴2개가 나옴2개가 나옴2~3개가 나옴3~7개가 나옴신엽 신엽은 3 ~ 6개,신엽은 2 ~ 3개신엽은 1 ~ 5개신엽은 3 ~ 8개-잎 길이10~20cm6~10cm이며 엽연에.. 2024. 5. 30.
개물통이 신엽(개물통이속/5.23) 잎은 어긋나기하며 달걀모양이며 길이 8-25mm, 나비 5-15mm로서 끝이 둔하고 밑부분이 둥글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표면은 짙은 녹색이며 양면에 부드러운 털이 있다. 엽병은 길이 5-20mm이고 탁엽이 없다.잡성화. 줄기는 연약하고 퍼져 자라며 높이 5~30cm,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짧고 연한 털이 있다.  칠보개물통이 : 개물통이의 변종. 함경북도 칠보산에 분포, 개물통이에 비해 잎몸의 밑부분이 쐐기 모양이고                         암꽃의 꽃싸개잎이 피침형이다. 개물통이(7.4)[기재문]학명은 Parietaria micrantha Ledeb.이며 종소명 micrantha는 '꽃이 작은' 의미. 강원도 금강산과 북부지방의 그늘지고 습한 산지에 자라는 한해살이풀. 잎은 어긋나기하며.. 2024. 5. 27.
그늘송이풀 신엽(5.2) 학명은 Pedicularis resupinata L.이며 종소명  resupinata는 '활처럼 휜' 의미앵글러 과명은 현삼과이고, APG 과명은 열당과다.마주송이풀, 흰송이풀은 송이풀로 통합처리됨. [비교] 송이풀, 그늘송이풀종명송이풀그늘송이풀(송이풀의 변종)가지의 갈라짐  줄기 밑부분에서 다소 갈라짐   줄기 윗부분에서 많이 갈라짐잎차례  기본적으로 어긋나며 줄기 밑에서는 마주나기도 함  기본적으로 마주남 꽃 위치   원줄기 끝에 달림   줄기나 가지끝에 달림줄기 형태  직립  비스듬하게 자람참고) 잎이 마주나는 마주송이풀은 송이풀로 통합됨. 송이풀 신엽(4.23)마주송이풀, 흰송이풀은 송이풀로 통합처리됨.'20.4.23hyunsik.tistory.com 송이풀 신엽 (현삼과, 송이풀속/5.11)학명.. 2024. 5. 19.
나래박쥐나물 신엽(5.2, 엽병 날개 미발달) [박쥐나물속 비교]1. 줄기에 털 유형    - 유모 : 나래박쥐나물    - 무모 : 민박쥐나물, (한국산)게박쥐나물, 귀박쥐나물2. 엽병의 날개 유형   - 날개가(좁거나 넓게 발달) 있음 : 나래박쥐나물, 민박쥐나물   - 날개가 없음 : (한국산) 게박쥐나물, 귀박쥐나물3. 잎 귀모양의 기부가 귀처럼 넓어지는 유형     - 존재형 : 귀박쥐나물, 나래박쥐나물    - 부재형 : (한국산) 게박쥐나물, 민박쥐나물4. 경생엽의 수   - 3개∼5개 : (한국산) 게박쥐나물   - 6개∼10개 : 귀박쥐나물, 나래박쥐나물   - 11개 이상 : 민박쥐나물5. 개화기의 줄기의  중부잎 형태(잎의 형태는 상·중·하부잎으로 구분)   ① 삼각상극저형 : 잎의 형태가 삼각형으로 기부 열편이 다소 뾰족하고, .. 2024. 5. 19.
수리취 신엽(5.2) 수리취(수리취속/9.27)[비교] 수리취, 큰수리취종명수리취큰수리취크기 50~100cm100~200cm줄기 아래쪽 잎난형 또는 난상 심장형이고 밑부분은 원저 또는 심장저삼각형이고 밑부분은 화살모양으로 벌어진다.열매길이 7mm,hyunsik.tistory.com'24.5.2 / 강원도 2024. 5. 19.
큰참나물 신엽(4.12) 한라참나물 신엽(7.27)'14.7.27 / 한라산 대마참나물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6623739참나물 보기 :큰참나물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58804그늘참나물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3962가는참나물 보기 :백야기참hyunsik.tistory.com 참나물 신엽(4.27)그늘참나물 = 가는참나물참나물 및 노루참나물과 형태적으로 유사하나, 잎이 깊게 갈라지거나 결각상으로 갈라진다노루참나물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엽병이 길고 2회 3출복엽이며 소엽은 5-9hyunsik.tistory.com 큰참나물 꽃(9.23)큰참나물 신엽(4.20)'22.4.20hyunsik.tistory.com .. 2024. 5. 19.
배초향 신엽(5.2) 배초향 신엽(3.3)'21.3.3hyunsik.tistory.com 배초향 신엽(4.8)'17.4.8 / 대구배초향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59831hyunsik.tistory.com 배초향 신엽(4.11)'22.4.11hyunsik.tistory.com 배초향 신엽(4.27)'20.4.27hyunsik.tistory.com 배초향 흰꽃(7.25)'18.7.25hyunsik.tistory.com 배초향 종자(11.24)'18.11.24hyunsik.tistory.com '24.5.2 2024. 5. 19.
왕미꾸리광이 신엽(5.16, 미꾸리광이속) [기재문]학명은 Glyceria leptolepis Ohwi 미꾸리광이속에는 진들피, 육절보리풀, 대택광이 등이 있다.개울가나 산지 습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 긴 땅속줄기의 마디에서 줄기가 하나씩 나고, 마디 10~16개가 있다. 높이는 80~150cm이다. 잎집은 마디 사이보다 길고 털이 없으나 아래쪽을 향한 가시돌기가 있어 거칠다. 잎혀는 길이 1mm 정도이다. 잎몸은 길이 40~60cm, 너비 5~13mm이다. 꽃은 6~7월에 피는데 전체 꽃차례는 길이 20~30cm이고, 각 마디에 가는 2~3개의 가지가 달리고 옆으로 퍼진다. 작은이삭은 긴 타원형이고, 길이 6~8mm, 꽃이 4~6개 들어 있다. 제1포영은 길이 1.5~2.0mm, 제2포영은 1.8~2.0mm. 호영은 7개의 맥이 있고 3.0.. 2024. 5. 18.
밀나물 신엽(5.15) [비교] 밀나물, 선밀나물, 좁은잎밀나물국명밀나물선밀나물줄기곧추서다가 누어 자란다.곧추서나 결실기에는 눕는다.잎 모양긴타원형 또는 난형 타원형덩굴손있다없다개화기7~8월5~6월열매원형 또는 타원형. 너비 8~12mm.과병 길이는 열매보다 길다원형. 너비 9.5~10.5mm과병 길이는 열매보다 짧다.종자너비 5.5~6.2mm너비 4.5~5.5mm  밀나물 신엽(5.15)'20.5.14hyunsik.tistory.com'24.5.15 2024. 5. 17.
큰닭의덩굴 신엽(4.26) 닭의덩굴(마디풀과/8.30)'15.8.30 큰닭의덩굴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59785나도닭의덩굴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5618애기닭의덩굴 보기 :중국닭의덩굴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6858hyunsik.tistory.com 큰닭의덩굴 신엽(4.16)'23.4.16hyunsik.tistory.com 큰닭의덩굴 열매, 종자(10.5)'20.10.5hyunsik.tistory.com'24.4.26 2024. 5.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