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미탑과 속 분류]
1. 식물체는 육생한다. 잎은 대개 대생하며 난형이고 전연이다.
총상화서로 흔히 분지하여 원추형을 이룬다. 꽃은 양성이다 ----- 개미탑속
1. 식물체는 수생한다. 잎은 대개 윤생하며 선형~장타원형이고 흔히 우상으로 갈린다.
정상하는 수상화서이거나 엽액에 꽃이 1개씩 달린다. 꽃은 단성이다. ----- 물수세미속
[비교] 물수세미속의 종 학명과 일본명
국명 | 학명 | 일본명 |
이삭물수세미 | Myriophyllum spicatum L. | ホザキフサモ |
물수세미 | Myriophyllum verticillatum L. | フサモ |
긴동아물수세미 | Myriophyllum oguraense Miki | オグラノフサモ |
선물수세미 | Myriophyllum ussuriense (Regel) Maxim. | タチモ |
앵무새깃물세미(재배식물) | Myriophyllum aquaticum | オオフサモ |
(일본에 분포) | Myriophyllum x harimense Kadono et Sakiyama | ハリマノフサモ |
호생꽃물수세미 | Myriophyllum alterniflorum | ('20년 유입주의 생물지정) |
* 일본에서는 Myriophyllum x harimense Kadono et Sakiyama(ハリマノフサモ)가 있는데 물수세미와
긴동아물수세미의 잡종으로 추정되며, 양종간의 중간적인 형질을 나타난다.
식아 길이는 다양하고, 싹은 깃털 모양이며 잎 사이의 간격이 열편보다 넓다.
[물수세미속 종 검색표1] 출처 : 긴동아물수세미 미기록식물 논문(2014년)
1. 꽃이 달린 잎(기중엽, Emergent leaf)은 길이가 1.0~1.5mm로 작고, 타원형~좁은 피침형이며,
주걱형 또는 선형의 포엽처럼 축소된다. 식아(동아)가 없다. ----- 이삭물수세미
1. 물위에 나온 잎은 포엽처럼 축소되지 않는다. 식아(Turion)는 겨울에 나타난다.
2. 암수딴포기(드물게 암수한포기). 잎은 이형이고 3~4개가 윤생한다.
침수엽(길이는 1.5~2.5cm) 은 깃꼴겹잎이고, 기중엽은 대부분 선형 또는 피침형 ----- 선물수세미
2. 암수한포기(드물게 암수딴포기). 잎은 이형이 아니고 4~6개가 윤생한다.
침수엽(길이는 2.0~6.0cm) 과 기중엽은 깃꼴겹잎으로 유사하다.
3. 기중엽은 밝은~진한 녹색. 식아는 곤봉모양이고 길이는 1.0~3.0cm이며 수중엽에 의해
빽빽히 덮여 있다. 식아(번식아, 월동아, 동아, Turion)의 포엽은 빗살모양이거나 없음. ----- 물수세미
3. 기중엽은 분백색~밝은 청록색. 식아는 선형이고 길이는 2.0-7.0cm이며 축소되고
짧은 침수엽에 의해 빽빽히 덮여 있다. 식아의 포엽은 3각형에서 빗살 모양 ----- 긴동아물수세미
[물수세미속 종 검색표2] 출처 : 한국속식물지
1. 식아(번식아, 월동아, 동아, Turion)는 발달하지 않는다. 기중엽 길이는 1~1.5mm로 축소되어
타원형 내지 좁은 타원형이거나 간혹 주걱형 또는 선형의 포 형태로 된다. ----- 이삭물수세미
1. 겨울에 식가가 발달한다. 기중엽은 포의 형태로 축소되지 않는다.
2. 식물체는 대개 자웅이주. 침수엽의 길이는 1~3cm이며 빗살모양이고,
기중엽은 대개 선형 또는 피침형이며 3~4장씩 윤생한다. ----- 선물수세미
2. 식물체는 대개 자웅동주. 침수엽의 길이는 2~7cm이며,
침수엽과 기중엽 모두 빗살모양이고, 4~5장씩 윤생한다.
3. 식아는 짧은 곤봉형으로 길이는 1~3cm이다. 기중엽은 밝은 녹색 내지 짙은 녹색이다.
수꽃의 화판과 암꽃의 악통은 표면이 평활하다. ----- 물수세미
3. 식아는 선형으로 길이는 2~7cm이다. 기중엽은 밝은 회청색 또는 짧은 청록색이다.
수꽃의 화판과 암꽃의 악통은 미세한 유두상 돌기가 있다. ----- 긴동아물수세미
'22.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