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열매 및 종자2914

밤나무 열매 (참나무과, 밤나무속/9.29) 학명은 Castanea crenata Siebold & Zucc.이며 종소명 crenata는 '둥근 톱니의' 의미.밤나무에는 재배품종이 많다: 국내 선발종으로는 산대,광주올밤,중흥밤,옥광밤,산성밤등이 있다. 도입종으로는 풍다마조생,삼조삼,단택,이취,축파,유마,은기 등이 있다.참나무과 중 이듬해 결실하는 나무 : 구실잣밤나무, 굴참나무, 상수리나무, 붉가시나무, 참가시나무, 졸가시나무[비교] 밤나무, 상수리나무(굴참나무) 잎- 밤나무 : 거치(피침형)에 엽록소가 있어 초록색. 잎자루가 짧다. - 상수리나무(굴참나무) : 거치(침형)에 엽록소가 없어 투명하다. 잎자루가 길다.[비교] 밤나무, 약밤나무 (출처 : 한반도 수목지9)종명밤나무(Castanea crenata Siebold & Zucc.)약밤나무(C.. 2024. 1. 29.
노간주나무 열매, 종자 (1.25 / 측백나무과, 향나무속) 묵은(老, 노인 노) 가지에 열매가 달린다하여 노간주나무로 하며,소의 코뚜레를 만든다고 하여 코뚜레나무라고도 부른다.학명은 Juniperus rigida Siebold & Zucc.이며 종소명  rigida는 리기다소나무처럼 '단단한 목재'를 뜻한다.[기재문]잎은 침상으로 3개씩 윤생하며 3개의 능선이 있고 길이 12~20mm, 폭 1mm로서 표면에 좁은 백색의 홈이 있다.잎끝은 예리하고 딱딱하여 손을 갖다대면 통증을 느낄 정도이다.자웅이주이며, 꽃은 전년지의 엽액에서 4-5월에 핀다.수꽃은 1~3개씩 피고 20개 내외의 녹갈색 인편이 있고, 밑 부분에 4~5개의 꽃밥이 있다.암꽃은 1개씩 피고 9개의 실편이 있으며, 배주는 각각 3~4개이다.구과는육질 구형 또는 타원형으로서 지름 7-8(12)mm이고 .. 2024. 1. 26.
야광나무 열매(5.26, 사과나무속) 학명은 Malus baccata Borkh.이며 종소명 baccata는 '열매가 달린' 의미.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에서 자생하며 잎자루는 길이 1.5~5.0cm이며, 어릴 때 털이 있지만 없어진다. 반면에 털야광나무는 잎자루와 잎의 뒷면에 털이 있는 점에서 구분하며경상남북도 및 강원특별자치도 이북의 산지에 자란다.[비교] 아그배나무, 야광나무종 명아그배나무야광나무꽃의 지름 2~3cm 3~3.5cm수술의 길이꽃잎 크기와 비슷꽃잎의 1/2 정도잎어린 잎은 결각이 있고 엽저는 대칭.결각이 없으며 엽저가 비대칭.엽병 길이1~2.5cm2~5cm탁엽 길이4~6mm3mm꽃받침통과 열편열편에 털이 밀생.꽃받침통과 열편 모두 털이 밀생.종자 길이2.5~3mm이며 내과피에 싸여 있다3~5mm이며 내과피에 싸여 있다'17.5.. 2024. 1. 22.
민구와말 열매 (현삼과, 구와말속) [비교] 구와말, 민구와말 * 구와말 - 종자 크기는 0.6mm이며 밝은 갈색을 띰. - 줄기에 연모가 없음. - 화병과 과병이 없음. * 민구와말 - 종자 크기는 0.3mm이며 암갈색을 띰. - 줄기에 연모가 있음. - 화병이 있고 열매 성숙시 과병은 화병보다 길어짐. 줄기에 털 유무나 화병/과병 유무는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구와말 열매 (현삼과, 구와말속) 학명은 Limnophila sessiliflora (Vahl) Blume이며 종소명 sessiliflora는 '꽃자루가 없는' 의미. [구와말과 민구와말 비교] * 구와말 - 종자 크기는 0.6mm이며 밝은 갈색을 띰. - 줄기에 연모가 없음. - 화병과 과 hyunsik.tistory.com 민구와말 (현삼과, 구와말속) [구와말과 민구.. 2024. 1. 20.
구와말 열매 (현삼과, 구와말속) 학명은 Limnophila sessiliflora (Vahl) Blume이며 종소명 sessiliflora는 '꽃자루가 없는' 의미. [구와말과 민구와말 비교] * 구와말 - 종자 크기는 0.6mm이며 밝은 갈색을 띰. - 줄기에 연모가 없음. - 화병과 과병이 없음. * 민구와말 - 종자 크기는 0.3mm이며 암갈색을 띰. - 줄기에 연모가 있음. - 화병이 있고 열매 성숙시 과병은 화병보다 길어짐. 줄기에 털 유무나 화병/과병 유무는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구와말 신엽 '23.8.13 hyunsik.tistory.com 구와말 수중엽 유사종 : 어항마름 '22.8.19 hyunsik.tistory.com '14.10.19 2024. 1. 20.
경성사초 종자 학명은 Carex accrescens Ohwi이며 종소명 accrescens는 '꽃이 핀 다음에 자라는' 의미. 경성사초 (Carex pallida C.A.Mey.) '20.6.4 / 강원도 엽초는 갈색 또는 흑자색이며 흔히 섬유상으로 갈라짐. 잎은 나비 3-5mm로서 원줄기와 거의 같다. 소수는 길이 5-10mm로서 꽃이 빽빽하게 달리고 화서 밑에서는 서로 떨어져 달리지 hyunsik.tistory.com '21.6.21 2024. 1. 19.
박쥐나무 열매 (7.11 / 박쥐나무과, 박쥐나무속) 단풍박쥐나무의 변종이며학명은 Alangium platanifolium var. trilobum (Miq.) Ohwi이고 종소명 platanifolium는 '버즘나무속 잎을 닮은' 의미. 박쥐나무 꽃박쥐나무 열매 '23.7.27 hyunsik.tistory.com '23.6.6hyunsik.tistory.com 박쥐나무' '12.5.23 / 단양hyunsik.tistory.com 박쥐나무 열매박쥐나무 꽃 박쥐나무 열매 '23.7.27 hyunsik.tistory.com '23.6.6 hyunsik.tistory.com '23.7.27hyunsik.tistory.com'21.7.11 2024. 1. 19.
구와꼬리풀 종자 (10.10 / 현삼과, 꼬리풀속) 학명은 Pseudolysimachion dauricum (Steven) Holub이며 종소명  dauricum는 바이칼호 동쪽 산악 지대인 '다우리아 지방'을 의미.'23.10.10 2024. 1. 18.
큰듬성이삭새 열매, 종자 (10.10, 민바랭이새속) 학명은 Microstegium vimineum (Trin.) A.Camus var. polystachyum (Franch. & Sav.) Ohwi 이며 종소명 vimineum는 '긴 연한 가지가 있는' 의미이고  나도바랭이새의 변종이며 낮은 산지나 숲, 임도 가장자리에서 자란다.   [민바랭이속 비교]공통 : 1년초이며 기는 줄기가 있다.- 민바랭이새 : 단병소수와 장병소수가 번갈아 남. 긴 까락이 있다.- 큰듬성이삭새 : 무병소수와 유병소수가 번갈아 남. 까락이 있다.- 나도바랭이새 : 무병소수와 유병소수가 번갈아 남. 까락이 없다. 나도바랭이새'18.10.8hyunsik.tistory.com 큰듬성이삭새 열매'22.10.23hyunsik.tistory.com 민바랭이새 열매'22.10.23hyunsi.. 2024. 1. 18.
큰쥐꼬리새 열매, 종자(10.10) [쥐꼬리새속 특징]길고 가는 까락이 달린 작은 소수가 많이 모여 연약한 원추화서를 만든다. 원추화서는 퍼지거나 응축되며 혹은 수상형이다. 소수는 보통 피침형이고 약간 납작해지며 뒷부분이 둥글거나능선이 있다. 포영은 0~1(~3)맥이고 호영보다 짧다. 호영은 3맥이며 끝은 전연이거나 두 개의 치편으로 된다.[쥐꼬리새속 종 검색표]1. 지하경이 아주 짧게 긴다. ----- 쥐꼬리새1. 지하경이 길게 긴다.    2. 줄기에 가지가 없다. ----- 선쥐꼬리새    2. 줄기에 가지가 있다.        3. 줄기는 아랫부분에서 가지를 치고, 포영은 호영의 1/2 이하이다. ----- 큰쥐꼬리새(화서는 개방형)        3. 줄기는 절반이상에서 가지를 치고, 포영은 호영의 1/2 이상이다. ----- 가지.. 2024. 1. 17.
좁은잎사위질빵 열매, 꽃 (10.8, 으아리속) 학명은 Clematis hexapetala Pall.이며 종소명 hexapetala는 '꽃잎이 6개 달린' 의미. 수과는 납작하고 난형이며 길이 4mm정도이고 견모로 덮이며 백색털이 밀생한 길이 2cm정도의 암술대가 달려 있고 9월에 익는다. 좁은잎사위질빵 열매'15.10.10hyunsik.tistory.com 좁은잎사위질빵'15.10.10hyunsik.tistory.com 좁은잎사위질빵 (Clematis hexapetala Pall.)'15.7.4 / 서산 자주사위질빵 보기 : 잎은 대생하며 우상복엽이지만 윗부분의 것은 3출엽이고 줄기 밑부분의 잎은 2-3개의 깊은 결각이 있다. 소엽은 피침형이며 첨두 또는 미철두이고 예저이며 길hyunsik.tistory.com'23.10.8 2024. 1. 16.
세잎승마 열매, 종자 (10.10, 노루삼속) 학명은 Actaea bifida (Nakai) J.Compton이며 종소명  bifida는 '둘로 갈라진' 의특산식물이면서도 희귀멸종위기식물이다. 열매는 골돌과며 10월에 익으며 골돌안에는 보통 2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세잎승마 (Cimicifuga heracleifolia var. bifida Nakai)'11.10.9일 / ㅇ ㅅ 세잎승마 열매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1624 세잎승마 뿌리잎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2199 세잎승마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59755 개승마 보기 : http://blog.daum.nhyunsik.tistory.com 나제승마 열매 (숙은촛대.. 2024. 1. 16.
백부자 열매, 종자 (10.10, 투구꽃속) 학명은 Aconitum coreanum (H.Lév.) Rapaics이며 종소명 coreanum는 '한국산의' 의미.희귀멸종위기식물이며 특산식물. 열매는 골돌로서 3개이며 길이 1-2cm이고 털이 없으며 끝에 암술대가 달려 있어 뾰족하다. 종자는 세모진 타원형이며 매끄럽고 길이 4mm 정도이다. 투구꽃속 특징은 꽃잎처럼 보이는 꽃받침 조각 5개는 떨어져 달리며, 암술과 수술도 떨어져 달린다.[투구꽃속 비교] (출처는 한길숲 연구소 이호영 박사의 강의 자료)1. 덩굴성 : 국내에는 놋젓가락나물만 분포한다.종 명놋젓가락나물(A. ciliare DC.)줄바꽃(A. alboviolaceum Kom.)참줄바꽃(A. neotortuosum Nakai)가는줄돌쩌귀(A. volubile Pall.)화경의 털잔털퍼진 털.. 2024. 1. 16.
바람꽃 열매 (미나리아재비과, 바람꽃속) 고산지대 의 습기가 있는 풀밭에서 자라는 희귀멸종위기식물이며 학명은 Anemone crinita Juz.이다. 열매는 수과, 타원형이며, 9~10월에 익는다. 꿩의바람꽃 열매 '20.4.25 hyunsik.tistory.com 만주바람꽃 열매 hyunsik.tistory.com '23.10.10 2024. 1. 14.
개승마 열매, 종자 (10.10, 노루삼속) 학명은 Actaea biternata (Siebold & Zucc.) Prantl 과실은 골돌로  짧은 자루가 있다. 종자는 타원형으로 막상의 주름살이 옆으로 생긴다.'23.10.10 2024. 1. 14.
뚜껑덩굴 종자 (박과, 뚜껑덩굴속) 학명은 Actinostemma lobatum Maxim.이며 종소명 lobatum는 잎 가장자리가 들쑥날쑥한 모양(lobed)에서 붙여진 라틴어. 열매는 달걀모양으로 길이 15mm가량이고 하반부에 가시같은 돌기가 있으며 8-9월에 익어 중앙부가 옆으로 갈라져 2개의 흑색종자를 떨어낸다. 종자는 흑색이고 달걀모양으로 길이 10mm정도이며 겉에 그물모양의 돌기가 있다. 뚜껑덩굴 신엽 '23.4.16 hyunsik.tistory.com 뚜껑덩굴 수꽃(박과, 8.10) [기재문] 꽃은 단성으로 수꽃과 암꽃이 피는 위치가 다르다. 학명은 Actinostemma lobatum Maxim.이며 종소명 lobatum는 잎 가장자리가 들쑥날쑥한 모양(lobed)에서 붙여진 라틴어. 물가에 자라는 덩굴성 한 hyunsik.. 2024. 1. 14.
둥근바위솔 종자 (10.10 / 돌나물과, 바위솔속) 학명은 Orostachys malacophylla (Pall.) Fisch. 둥근바위솔 (돌나물과, 바위솔속)다년생 식물이다. 주로 바위틈에 자라며 잎은 다육질이고 연한 녹색을 띠며 뿌리에서 여러 장이 모여나거나 줄기에 다닥다닥 어긋난다. 형태는 타원형 또는 도란상 피침형이다. 꽃은 9~11월에 총hyunsik.tistory.com 둥근바위솔 신엽'18.3.10hyunsik.tistory.com 둥근바위솔'22.11.24hyunsik.tistory.com 둥근바위솔'22.10.6hyunsik.tistory.com 둥근바위솔 신엽'22.4.10hyunsik.tistory.com 둥근바위솔'18.11.12 / 경남hyunsik.tistory.com 진주바위솔 열매'23.2.21hyunsik.tistory.c.. 2024. 1. 14.
연미붓꽃 (중국붓꽃) 열매, 종자(10.10) 연미붓꽃 (중국붓꽃, 붓꽃속)학명은 Iris tectorum Maxim. 근경에서 길이 30∼40cm 되는 잎이 2줄로 달려서 처음에는 범부채 비슷하게 자란다. 꽃은 4∼5월에 피고 자주색 또는 백색이다. 30cm 정도의 꽃줄기 끝에 2∼3개씩의 꽃이 달hyunsik.tistory.com'23.10.10. 2024. 1. 14.
죽절초 열매, 종자 (홀아비꽃대과, 죽절초속) 학명은 Sarcandra glabra (Thunb.) Nakai이며 종소명 glabra는 '털없이 매끄러운' 의미. 희귀멸종위기식물. 과실은 핵과로 둥글며 5 ~ 6개 또는 10여 개씩 이삭꽃차례로 달리고, 붉은색으로 11 ~ 12월에 성숙. 죽절초 열매 '23.3.4 / 식재 hyunsik.tistory.com '23.10.10 2024. 1. 14.
나도밤나무 종자 (나도밤나무과, 나도밤나무속) 나도밤나무속에는 나도밤나무와 합다리나무 2종이 있고 나도밤나무 학명은 Meliosma myriantha Siebold & Zucc.이며 종소명 myriantha는 '꽃이 많이 피는' 의미. 열매는 핵과로 둥글고, 지름 7mm로 붉은색으로 9월 말 ~ 11월 초 성숙한다. 나도밤나무 꽃 '18.5.31 hyunsik.tistory.com 나도밤나무 꽃 '23.5.3 hyunsik.tistory.com 나도밤나무 '15.6.14 / 마산 나도밤나무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4158 나도밤나무 열매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5776 hyunsik.tistory.com 나도밤나무 열매 '18.9.23 hyunsik.tistory... 2024. 1. 14.
한라송이풀 종자 (현삼과, 송이풀속) 학명은 Pedicularis hallaisanensis Hurus.이며 종소명 hallaisanensis는 '한라산에 사는' 의 특산식물이며 희귀멸종위기식물. 삭과는 길이 15mm로서 끝이 길게 뾰족해지며 종자는 길이 3mm로서 겉에 그물눈이 있다. 14. 한라송이풀 hyunsik.tistory.com '23.10.10 2024. 1. 13.
덩굴박주가리 열매, 종자(10.10 / 협죽도과, 백미속) 학명은 Cynanchum nipponicum Matsum.이며 종소명 nipponicum는 '일본의' 의미. 열매는 골돌로 넓은 피침형이고 길이 4-5cm, 지름 5-7mm로서 털이 없으며 종자는 난상 타원형이고 길이 5mm정도로서 가장자리에 좁은 날개가 있다. 덩굴박주가리 신엽'20.5.14hyunsik.tistory.com 덩굴박주가리 (Cynanchum nipponicum Matsum.)'14.7.5 '14.9.8 왜박주가리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58872 흑박주가리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1451 개줄덩굴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6837 (2016년 환경부 지정 위해 우.. 2024. 1. 13.
덩굴민백미꽃 종자 (10.10 / 협죽도과, 백미속) 학명은 Cynanchum japonicum C.Morren & Decne.이며 종소명  japonicum는 '일본의' 의미 바닷가 바위 지대에 자라는 희귀멸종위기식물.종자는 넓은 달걀모양이고 길이 8-10mm로서 가장자리에 좁은 날개가 있다. 민백미꽃 열매'23.7.27hyunsik.tistory.com 산해박 열매 (협죽도과, 백미속)전에 박주가리과였던게 같은데 협죽도과로 바꿨음. 학명은 Cynanchum paniculatum (Bunge) Kitag. ex H.Hara이며 종소명 paniculatum는 '원추꽃차례의' 의미. 산해박 '22.7.14 hyunsik.tistory.com 산해박 열매 '21.7.18 hyunshyunsik.tistory.com 큰조롱 열매선백미꽃 열매 '14.9.13 / .. 2024. 1. 13.
등대시호 열매 (10.10 / 미나리과, 시호속) 학명은 Bupleurum euphorbioides Nakai 희귀멸종위기식물. 시호 열매, 종자(11.17)등대시호 열매 (10.10 / 미나리과, 시호속)학명은 Bupleurum euphorbioides Nakai 희귀멸종위기식물. 개시호 열매'22.10.27hyunsik.tistory.com 섬시호 열매'21.7.2hyunsik.tistory.com'23.10.10hyunsik.tistory.com 섬시호 열매(7hyunsik.tistory.com 개시호 열매'22.10.27hyunsik.tistory.com 섬시호 열매'21.7.2hyunsik.tistory.com'23.10.10 2024. 1. 13.
나도옥잠화 종자 (백합과, 나도옥잠화속) 학명은 Clintonia udensis Trautv. & C.A.Mey.이며 종소명 udensis는 '시베리아의 우덴지방'을 의미. 깊은산 능선이나 숲속에서 자라는 희귀멸종위기식물. 나도옥잠화 열매 '14.6.6 / 무주 나도옥잠화 보기 : 나도옥잠화 열매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9054 hyunsik.tistory.com 나도옥잠화 Clintonia udensis Trautv. & C.A.Mey.) '16.6.5 / 설악산 hyunsik.tistory.com '23.10.10 2024. 1. 12.
눈잣나무 종자 (10,10 / 소나무과, 소나무속) 학명은 Pinus pumila (Pall.) Regel 이며 종소명 pumila는 '(키가) 작은' 의미.설악산 높은 곳에서 자생하는 희귀멸종위기식물.[비교] 잣나무, 섬잣나무, 눈잣나무종명잣나무섬잣나무눈잣나무분포  지리산 이북 높은 산지 능선부  울릉도 산지  설악산 능선수형  50m. 교목  30m. 교목  2m 이하이며 기는 줄기가 있다.잎   6~12cm  4~8cm  3~6cm열매 / 종자   길이 9~14cm / 1.2~1.6cm.   종자는 날개가 없다.  길이 5~7cm / 10mm.   종자는 짧은 날개가 있다.  길이 3~4.5cm / 6~10mm  종자는 날개가 없다.  잣나무 열매, 종자(10.18)눈잣나무 종자 (10,10 / 소나무과, 소나무속)학명은 Pinus pumila (P.. 2024. 1. 12.
방울비짜루 열매 (11.16 / 백합과, 비짜루속) [비짜루속 검색표] 출처는 한국산 비짜루속 식물의 분류학적 고찰 논문(2012년)1. 엽상지가(잎처럼 생긴 가지) 곧음    2 .꽃자루 길이가 8.1mm 이상. 열매 크기는 8~10mm ----- 방울비짜루    2. 꽃자루 길이가 7.1mm 이하. 열매 크기는 5~8mm ----- 망적천문동1. 엽상지가 낫처럼 휨    3. 꽃자루 길이가  3.0~6.8mm. 암꽃의 화피편은 밖으로 휨 ----- 천문동    3. 꽃자루 길이가  0.6~2.7mm. 암꽃의 화피편은 곧음        4. 꽃자루 길이가 약 0.87mm. ----- 비짜루        4. 꽃자루 길이가 약 1.61mm. ----- 노간주비짜루(비짜루와 유사하나 꽃자루가 2배 길다)[마디당 엽상지의 수]방울비짜루망적천문동천문동비짜루노간.. 2024. 1. 10.
자주개황기 열매, 종자 (11.16, 황기속) 높은산 풀밭에서 자라는 자주황기는 돌밭에서 자라는 자주개황기에 비해서 곧게 자라며 전체에 흰 털이 있고, 꽃이 자주색이며, 열매는 선형이고 다소 굽어지며 길이 2~2.5cm(자주개황기는 7~8mm)로 보다 길다.[황기속, 묏황기속 비교]- 황기속 : 협과는 열개- 묏황기속 : 협과는 열개하지 않음[황기속의 종 검색표] 출처 : 한국속식물지1. 소엽의 선단이 요두 또는 원두;    총상화서는 산형상이며 화경은 바로 아래의 잎보다 길다. ----- 자운영(A. sinicus)                  1. 소엽의 선단이 예두 또는 둔두;    총상화서는 다소 신장되며 화경은 바로 아래의 잎보다 짧다     2. 화판은 자주색.         3. 줄기는 직립한다; 악편은 악통과 길이가 같거나 악통보다 .. 2024. 1. 10.
냉초 종자 (현삼과, 냉초속) 학명은 Veronicastrum sibiricum (L.) Pennell 냉초 '19.6.30 / 식재 hyunsik.tistory.com 냉초 '19.6.10 hyunsik.tistory.com 냉초 열매 0.5mm 눈금 '11.11.26일 / 대구 수목원 냉초 종자 보기 : http://www.seedbank.re.kr/detail.php?seed=2716&keyword=냉초 냉초 열매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5487 냉초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58482 hyunsik.tistory.com '23.10.10 2024. 1. 10.
검노린재나무 종자 (10.10 / 노린재나무과, 노린재나무속) 학명은 Symplocos tanakana Nakai[비교] 노린재나무, 검노린재, 섬노린재종 명노린재나무(S. sawafutagi Nagam.)검노린재(S. tanakana Nakai)섬노린재(S. coreana (H.Lev.) Ohwi)잎뒷면에 털이 있거나 없다.표면은 맥 위에 털이 있고, 뒷면은부드러운 털이 있고 흰빛이 돈다.노린재나무에 비해 잎이 두텁다.뒷면은 연한 녹색으로맥 위에 털이 있다.열매남색흑색짙은 남색분포전국전라남북도, 경상남도.제주도 검노린재나무 겨울눈'19.12.8hyunsik.tistory.com 검노린재나무 신엽'20.1.28hyunsik.tistory.com 검노린재나무'20.5.6hyunsik.tistory.com 검노린재나무 (http://blog.daum.net/watche.. 2024. 1.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