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등골나물3

등골나물(9.29) [비교] 등골나물, 제주등골나물(출처 : 한국의 산꽃)종명등골나물(E. makinoi Kawah. & Yahara var. oppositifolium)제주등골나물(E. chinense L.)잎경생엽 잎자루는 흔히 뚜렷하게 길다.잎 뒷면에 선점이 밀생.경생엽 잎자루는 거의 없거나 매우 짧다.잎 뒷면에 샘털이 밀생종자길이 3.5~4.5mm길이 3~4mm분포전국(제주 제외)제주 및 완도주. 등골나물은 제주등골나물과 향등골나물의 자연 교잡에 의해 형성된 분류군으로 추정. 등골나물 신엽(4.5)[비교] 등골나물, 제주등골나물(출처 : 한국의 산꽃)종명등골나물(E. makinoi Kawah. & Yahara var. oppositifolium)제주등골나물(E. chinense L.)잎경생엽 잎자루는 흔히 뚜렷하게 .. 2023. 2. 8.
등골나물 종자(6.1) [비교] 등골나물, 제주등골나물(출처 : 한국의 산꽃)종명등골나물(E. makinoi Kawah. & Yahara var. oppositifolium)제주등골나물(E. chinense L.)잎경생엽 잎자루는 흔히 뚜렷하게 길다.잎 뒷면에 선점이 밀생.경생엽 잎자루는 거의 없거나 매우 짧다.잎 뒷면에 샘털이 밀생종자길이 3.5~4.5mm길이 3~4mm분포전국(제주 제외)제주 및 완도주. 등골나물은 제주등골나물과 향등골나물의 자연 교잡에 의해 형성된 분류군으로 추정. 등골나물(9.29)[비교] 등골나물, 제주등골나물(출처 : 한국의 산꽃)종명등골나물(E. makinoi Kawah. & Yahara var. oppositifolium)제주등골나물(E. chinense L.)잎경생엽 잎자루는 흔히 뚜렷하게 길다.. 2023. 2. 5.
등골나물 신엽(4.5) [비교] 등골나물, 제주등골나물(출처 : 한국의 산꽃)종명등골나물(E. makinoi Kawah. & Yahara var. oppositifolium)제주등골나물(E. chinense L.)잎경생엽 잎자루는 흔히 뚜렷하게 길다.잎 뒷면에 선점이 밀생.경생엽 잎자루는 거의 없거나 매우 짧다.잎 뒷면에 샘털이 밀생종자길이 3.5~4.5mm길이 3~4mm분포전국(제주 제외)제주 및 완도주. 등골나물은 제주등골나물과 향등골나물의 자연 교잡에 의해 형성된 분류군으로 추정.'20.4.5. 2021. 6.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