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메부추4 두메부추(8.11, 특산식물) 꽃대 단면 양쪽이 볼록하고 양끝에 좁은 날개가 있는 부추속은 아래와 같으며- 두메부추(Allium dumebuchum H.J.Choi) : 특산식물로 울릉도에 자생. 잎폭은 5-13mm- 참두메부추(Allium spirale Willd.) : 동해안에 자생. 잎폭은 4–10mm - 각시두메부추(Allium spurium G.Don) : 청량산에 자생. 잎폭은 1.5–4mm재배종으로는 푸른두메부추가 있다.[비교] 두메부추, 참두메부추 (사진 출처는 국립수목원 웹진, 2024년 9월호)두메부추 꽃(A~E)참두메부추 꽃(E~J)잎 단면화피편 색수술의 모양화경 단면* 화경의 날개는 참두메부추가 발달하고, 수술대 기부는 두메부추가 보다 넓다.* 두메부추는 울릉도 특산식물이고, 참두메부추는 강원도 동해 해안가 솔밭.. 2025. 3. 21. 두메부추 신엽(2.23) 꽃대 단면 양쪽이 볼록하고 양끝에 좁은 날개가 있는 부추속은 아래와 같으며- 두메부추(Allium dumebuchum H.J.Choi) : 특산식물로 울릉도에 자생. 잎폭은 5-13mm- 참두메부추(Allium spirale Willd.) : 동해안에 자생. 잎폭은 4–10mm - 각시두메부추(Allium spurium G.Don) : 청량산에 자생. 잎폭은 1.5–4mm재배종으로는 푸른두메부추가 있다.[비교] 두메부추, 참두메부추 (사진 출처는 국립수목원 웹진, 2024년 9월호)두메부추 꽃(A~E)참두메부추 꽃(E~J)잎 단면화피편 색수술의 모양화경 단면* 화경의 날개는 참두메부추가 발달하고, 수술대 기부는 두메부추가 보다 넓다.* 두메부추는 울릉도 특산식물이고, 참두메부추는 강원도 동해 해안가 솔밭.. 2024. 2. 24. 두메부추 종자 (10.10 / 백합과, 부추속) 울릉도 특산식물이고 학명이 Allium dumebuchum H.J.Choi이다.유사종에 비해 종자가 두텁다. 꽃줄기 단면 양쪽이 볼록하고 양끝에 좁은 날개가 있는 자생 부추속은 아래와 같다.- 두메부추(Allium dumebuchum H.J.Choi) : 특산식물로 울릉도에 자생. 잎폭은 5-13mm- 참두메부추(Allium spirale Willd.) : 동해안에 자생. 잎폭은 4–10mm - 각시두메부추(Allium spurium G.Don) : 청량산에 자생. 잎폭은 1.5–4mm [참두메부추 특징]동해안 바닷가 곰솔숲, 소나무숲의 모래땅에 사는 북방계 여러해살이 풀무성생식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햇볕이 매우 강한 양지에는 자라지 않고 반그늘을 선호한다.잎은 길이 15~25cm, 폭은 4~10mm이.. 2024. 2. 10. 두메부추 (Allium senescens L.) 2010. 9. 24.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