늦고사리삼(4.17, 고사리삼과, 고사리삼속)
고사리삼속은 공통자루가 있고 그 끝에 영양엽과 포자엽이 붙는다.[고사리삼속의 종 검색표] 출처 : 한국의 양치식물(이창숙, 이강협 지음) 1. 동록성이고 영양엽은 포자엽과 같이 긴 잎자루가 있고, 공통자루 길이는 영양엽의 잎자루보다 매우 짧거나 같다. 2. 포자엽은 포자 산포 후에도 남아있고, 포자의 표면은 가시모양의 돌기가 있다. 3. 영양엽의 열편은 좁은 타원형이고, 예두이며, 규칙적인 톱니가 있다. ----- 산꽃고사리삼(전라도, 제주도) 3. 영양엽의 열편은 광타원형~난형으로 둔두이며, 불규칙적인 톱니가 있다. ----- 숲고사리삼(전남, 제주도) 2. 포자엽은 포자 산포 후에 낙엽지고, 포자의 표면은 그물모양으로 가시 같은 돌기가 없다. 4. 영..
2024. 2. 6.
늦고사리삼 (10.3, 고사리삼과, 고사리삼속)
고사리삼속은 공통자루가 있고 그 끝에 영양엽과 포자엽이 붙는다.[고사리삼속의 종 검색표] 출처 : 한국의 양치식물(이창숙, 이강협 지음) 1. 동록성이고 영양엽은 포자엽과 같이 긴 잎자루가 있고, 공통자루 길이는 영양엽의 잎자루보다 매우 짧거나 같다. 2. 포자엽은 포자 산포 후에도 남아있고, 포자의 표면은 가시모양의 돌기가 있다. 3. 영양엽의 열편은 좁은 타원형이고, 예두이며, 규칙적인 톱니가 있다. ----- 산꽃고사리삼(전라도, 제주도) 3. 영양엽의 열편은 광타원형~난형으로 둔두이며, 불규칙적인 톱니가 있다. ----- 숲고사리삼(전남, 제주도) 2. 포자엽은 포자 산포 후에 낙엽지고, 포자의 표면은 그물모양으로 가시 같은 돌기가 없다. 4. 영양..
2022. 4.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