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거머리말과2

새우말(5.15) [기재문]학명은 Phyllospadix iwatensis Makino잎은 끝이 둥글고 선형이며 길이 20-100cm, 폭 2-4.5mm이고 3맥이 있으며 윗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고 양면이 평활하며 밑부분이 넓어져서 엽초로 되고 끝이 귓같이 자란다.꽃은 이가화로서 3월에 피며 화서는 지하경에서 나오고 포 안에 들어 있으며 길이 10cm정도이고 화경은 길이 3cm정도이다. 포는 끝에 엽편이 달리며 가장자리가 막질이고 裸花가 2줄로 달린다. 암꽃은 소화경이 없는 1개의 자방으로 되며 수꽃은 화경이 없고 꽃밥은 1실이다.열매는 화살밑과 같은 심장형으로서 길이와 나비가 각 4mm정도이며 양끝이 좁다.줄기는 짧으며 길이 8cm로 납작하다.지하경은 옆으로 길게 뻗고 마디 사이가 짧으며 털로 덮여 있고 잎이 총생한다... 2022. 3. 27.
거머리말(4.11, 잘피) [잘피란?]잘피는 해수에 완전히 잠겨서 자라는꽃이 피는 속씨식물을 통칭하고 해조류(미역, 다시마 등)와는 다르게 잎, 줄기, 뿌리 기관을 가지고 있다.여러해살이풀로 우리가 흔히 잘피라고 부르는 종은 대부분 거머리말을 지칭한다. 잘피는 우리나라의 바닷속에서 가장 넓게 분포하는 해초류로 주로 물살이 느린 수심 5m 이내의 얕은 바다나 강어귀에서 살고 있다.세계적으로 60여 종이 분포하고 있는 잘피는 국내에는 9종이 분포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고 거머리말 이외 잘피류에 속하는 종으로 애기거머리말과 포기거머리말, 말잘피(게바다말, 새우말), 동해안의 비교적 깊은 수심에 분포하는 왕거머리말, 크기가 10m 넘게 자라는 수거머리말, 줄말 등이 있다.(출처 : 바다식목일(매년 5월 10일)이 국가기념일로 지정한 취지를.. 2018. 11.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