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지네고사리(Dryopteris erythrosora (D.C.Eaton) Kuntze)
* 청지네고사리(Dryopteris erythrosora (D.C.Eaton) Kuntze f. viridisora Nakai ex H.Itô)는 홍지네고사리와
같지만 식물체가 홍색을 띠지 않고 포막은 회백색을 띠며 남부지방, 울릉도, 제주도에 분포한다.
* 가는홍지네고사리(Dryopteris caudipinna Nakai)는 홍지네고사리와 유사하지만 소우편의 폭이 좁고 긴 선형인 점,
포막이 회백색인 점 포자낭군이 소형으로 빽빽하게 접근하여 붙는 것이 다르다.
[검색표] 홍지네고사리, 가는홍지네고사리, 큰홍지네고사리
1. 최하 우편 제1소우편이 다른 소우편에 비해 작다
2. 우축 인편의 기부가 주머니 모양
3. 소우편은 긴타원형 : 포자낭군은 열편의 측맥 중간에 붙는다 : 포막은 붉은색. ----- 홍지네고사리
3. 소우편은 선상 피침형, 선형 : 포자낭군은 열편의 측맥끝에 붙는다 : 포막은 회백색. ------ 가는홍지네고사리
1. 최하 우편 제1소우편이 다른 소우편에 비해 크거나 같다
2. 우축 인편의 기부가 주머니 모양이 아님 : 엽병, 중축 녹색 :
인편은 피침형, 엽병 인편은 광택이 없는 흑갈색. ------ 큰홍지네고사리(포막은 회백색, 간혹 붉은색)
* 큰홍지네고사리는 홍지네고사리에 비해 보다 색이 밝고 우편자루가 길어 엽신에 우편이 덜찬 느낌이다.
'18.6.18. 매물도
'그룹명 > 최근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솔잎란 (0) | 2018.07.11 |
---|---|
큰홍지네고사리 (0) | 2018.07.10 |
큰까치수염 꽃(6.23) (0) | 2018.07.02 |
다정큼나무 꽃(5.21, 장미과) (0) | 2018.06.28 |
긴꽃며느리밥풀(6.2) (0) | 2018.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