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자생 두루미꽃속의 종 비교] 한국의 산꽃 참조
종명 | 풀솜대(M. japonicum) | 자주솜대(M. bicolor) | 큰솜대(M. robustum) |
잎 | 길이 6~15cm. 3~7장이 달린다. 잎 양면에 털이 있다. |
길이 6~12cm. 5~7장이 달린다. 잎 양면에 털이 없으나, 뒷면 맥위에 잔돌기 있다. |
길이 10~20cm. 8~15장이 달린다. 잎 뒷면 맥위에 털이 있다. |
꽃색 | 백색 | 황록색~연녹색 → 흑자색 | 백색 |
꽃차례의 털 | 털이 많다. | 털이 없다. | 털이 있다. |
줄기의 털 | 털이 많다. | 털이 없다. | 털이 있다. |
분포지역 | 전국의 산지 | 지리산 이북 고산지대 | 한라산 |
주1. 민솜대(Maianthemum dahuricum)는 풀솜대에 비해 잎자루가 없고 잎의 밑부분이 둥글며 줄기를 감싸므로
구분되며 북부지방에 분포한다.
주2. 세잎솜대(Maianthemum trifolium)는 잎이 3장이 달리며 중국, 러시아 등 고위도 지방에 분포한다.
[기재문]
산지 숲속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땅속줄기는 길고 옆으로 뻗는다.
줄기는 곧추서거나 위쪽에서 비스듬하게 기울어지며, 높이 20~60cm, 위로 갈수록 털이 많다.
잎은 5~7장이 2줄로 어긋나며, 짧은 잎자루가 있으며, 난상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으로 길이 6~15cm, 폭 3~7cm,
끝이 뾰족하고, 양면에 털이 난다. 꽃은 4~6월에 피는데 줄기 끝의 겹총상꽃차례에 많이 달리며, 작고, 흰색이다.
꽃차례는 털이 많다. 꽃자루는 길이 2~5mm다. 화피편은 6장이며, 타원형으로 길이 5mm쯤이다.
수술은 6개이고, 수술대는 길이 1.0~1.5mm, 꽃밥은 작다.
암술은 1개이고, 암술대는 길이 0.5~1.0mm, 암술머리는 거의 매끈하다.
열매는 장과이며, 둥글고, 지름 5~6mm, 8~9월에 붉게 익는다.
자주솜대
'16.5.22 / 태백
hyunsik.tistory.com
풀솜대 새싹
'16.4.3 / 정읍 풀솜대 보기 :
hyunsik.tistory.com
풀솜대
'16.4.17 / 정읍
hyunsik.tistory.com
풀솜대 꽃
'23.4.26
hyunsik.tistory.com
풀솜대
'14.6.6 / 무주
hyunsik.tistory.com
풀솜대
'18.6.10
hyunsik.tistory.com
풀솜대 종자
'21.11.13
hyunsik.tistory.com
'18.5.8.
'그룹명 > 최근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흰털고사리 (0) | 2022.03.11 |
---|---|
갈래꿀풀(6.10) (0) | 2022.03.11 |
참식나무, 잎(3.10) (0) | 2022.03.10 |
멀구슬나무 꽃 (0) | 2022.03.10 |
다릅나무 꽃봉오리, 수피(5.4) (0) | 2022.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