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극과 특징은
배상화서가 달리며 꽃은 단성, 5수성이고, 대개 방사상칭이다. 암술을 이루는 심피는 보통 3개
[대극속의 종 검색표] 출처 : 미기록 귀화식물 아메리카대극과 털땅빈대 논문(2011년 식물분류학회)
1. 선체에 부속체가 없다.
2. 선체의 수는 4~5개이다.
3. 3차 포엽은 3장이다; 종자의 표면은 망상이다. ----- 등대풀
3. 3차 포엽은 2장이다; 종자의 표면은 평활하다.
4. 총포의 직경은 3mm이상이다.
5. 원줄기의 잎은 호생한다. ----- 붉은대극
5. 원줄기의 잎은 윤생한다. ----- 낭독
4. 총포의 직경은 3mm이하이다.
6. 선체가 초승달 모양이고 삭과의 표면은 평활하거나 능선부에만 소돌기가 있다.
7. 삭과의 능선부에만 소돌기가 있다. ----- 흰대극
7. 삭과는 평활하다. ----- 개감수
6. 선체가 타원형이고 삭과의 표면 전체가 돌기가 있다.
8. 포엽은 연황색이고, 전연이다; 화주는 중열한다. ----- 암대극
8. 포엽은 녹색이고, 불규칙한 거치가 있다; 화주는 심열한다.
9. 3차 포엽과 3차 화경이 있다. ----- 대극
9. 3차 포엽과 3차 화경이 없다. ----- 두메대극
2. 선체의 수는 보통 1개이다.
10. 원줄기 잎은 대생 및 호생한다; 선체 입구는 장타원형이다. ----- 톱니대극
10. 원줄기 잎은 호생한다; 선체 입구는 원형이다. ----- 아메리카대극
1. 선체에 부속체가 있다.
2. 줄기는 포복한다.
3. 삭과는 털이 없다. ----- 땅빈대
3. 삭과는 털이 있다.
4. 잎 표면에 적갈색 반점이 있다; 삭과 전체에 털이 있다. ----- 애기땅빈대
4. 잎 표면에 적갈색 반점이 없다; 삭과 능선부만 털이 있다. ----- 누운땅빈대
2. 줄기는 비스듬히 위를 향하거나 직립한다.
5. 삭과는 털이 없다. ----- 큰땅빈대
5. 삭과는 털이 있다. ----- 털땅빈대
* 꽃차례 가장자리에는 흰색 또는 담홍색의 꽃잎 모양의 부속체가 4개가 있고, 그 안쪽에 녹자색의 선체가 4개가 있다.
흰대극 열매
흰대극 (11월 / 대극과, 대극속) 대극(大戟, 창극)이란 '뿌리가 아주 쓰고 매워 목구멍을 자극한다' 의미이고 반면에, 개감수는 한약으로 사용하는 감수(甘遂, 달감/따를수)를 닮았다고 하여 붙여
hyunsik.tistory.com
'16.9.6
'그룹명 > 최근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쥐꼬리망초 (흰꽃) (0) | 2016.11.01 |
---|---|
송이고랭이(7.31) (0) | 2016.10.31 |
이질풀 (0) | 2016.10.26 |
좀사방오리(6.12) (0) | 2016.10.25 |
땅귀개 (0) | 2016.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