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추리속은 10종이 있고 재배은 2종, 자생은 8종이다. 이 중 남한에서는 5종이 자생하는데
특정지역에서 자생하는 것을 제외하면 흔히 보이는 것은 백운산원추리이다.
* 자생종(8종)
- 애기원추리 : 북부, 두만강 주변 만주
- 골잎원추리 : 두만강과 만주지방 저지대 숲 가장자리나 초지
- 각시원추리 : 북부 고산지대의 숲 가장자리나 초지
=========================================
- 큰원추리 : 중북부의 고지대의 숲 가장자리나 초지
- 노랑원추리 : 서남 해안가 저지대
- 태안원추리 : 안면도 해안 주변의 저지대, 숲 가장자리나 초지
- 홍도원추리(한국특산) : 홍도, 가거도, 흑산도
- 백운산원추리(한국특산) : 중남부 저지대의 숲 가장자리나 초지
* 재배종(2종)
- 원추리 : 중국원산 재배종
- 왕원추리 : 중국원산 재배종(원추리의 변종. 겹꽃)
[비교] 노랑원추리, 태안원추리, 홍도원추리, 백운산원추리
- 노랑원추리 : 화경은 5cm 이상 분지, 화피통부의 길이는 3~5cm, 화피열편은 도난형
- 백운산원추리 : 화경은 5cm 이상 분지, 잎 폭이 1.8~2.0cm,
외화피/내화피 길이 7.2~9.5/7.0~9.5cm
- 태안원추리 : 화경은 2~4cm 분지, 잎의 길이는 32~46cm, 화경 직경 2~3mm,
외화피/내화피 길이 4.8~7.1/5.4~6.8cm
- 홍도원추리 : 화경은 2~4cm 분지, 잎의 길이는 55~93cm, 화경 직경 약 5mm 정도
[원추리속 검색표] 출처 : 한국산 원추리속 분류학적 연구(2012년)
종명 | 개화시기 | 꽃색 | 화경분지 | 잎 | 국내분포지역 |
골잎원추리 | 야간 개화형 | 노랑색 | 매우 길다. | 잎은 좁고(3~12mm) V자 모양으로 뚜렷하게 골이 져, 개화시 잎이 곧추 서는 편이다. |
경기도 연천군 |
태안원추리 | 주간 개화형 | 주황색 | 2~4cm | 너비는 5~14mm이고, 개화시 잎이 처지는 편이다. |
서산시, 태안군 |
백운산원추리 | 주간 개화형 | 황색, 밝은 주황색 |
5cm 이상 | 너비는 1.3~2(~3)cm이고, 개화시 잎이 처진다. |
전국 |
홍도원추리 | 주간 개화형 | 황색 | 2~4cm | 너비는 2.5~3.5(~4)cm이고, 개화시 잎이 처진다. |
신안군 홍도 등 |
노랑원추리 | 야간 개화형 | 밝은 황색 | 5cm 이상 | 너비는 1.5~2.5cm이고, 개화시 잎이 처지는 편이다. |
제주, 서해안 |
주1. 태안원추리는 근연종(예 : 백운산원추리는 6~8월)에 비해 개화시기(5~6월)가 가장 빠르지 않나 싶다.
주2. 홍도원추리는 근연종 중에서 가장 넓다.
백운산원추리 신엽
'23.3.14
hyunsik.tistory.com
'22.8.4.
'그룹명 > 최근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교] 갈퀴나물 벌완두 잎, 꽃(6.19) (0) | 2023.01.13 |
---|---|
갈퀴나물 꽃, 벌완두 비교(6.19) (0) | 2023.01.13 |
패랭이꽃 잎(10.3) (0) | 2023.01.12 |
갯실새삼(7.14) (0) | 2023.01.12 |
나도개피(7.14) (0) | 2023.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