으로 추정.
[백운현호색]
2004년도에 발표
본 종은 한국산 현호색 분류군 중 매우 소형으로, 특히 꽃은 꽃줄기 상부에 모여 달리며 거가 심하게 굽는다.
다년초이며 키는 7cm. 줄기에는 잔털이 나고, 여러 개의 능선이 있으며 근경은 가늘고 길이 3.5cm, 괴경은 둥글며,
기부의 포는 막질, 타원형, 길이 10mm.
근생엽은 1장으로 3소엽, 경생엽은 2장으로 길이와 너비가 2-3cm, 엽병은 길이 7-18mm로 보통 3갈래,
각 갈래는 다시 3갈래로 됨. 잎 표면은 진한 녹색, 뒷면은 자록색이고, 엽연에 거친 톱니가 있음.
꽃의 화경의 길이가 8mm가량이고, 양순이며 길이 16mm, 너비 4mm로 하늘색이다.
거는 심하게 굽어지고 화통은 부푼다.
[현호색절의 종 검색표1] 출처는 현호색속의 분류학적 재검토 논문(1999년)
1. 인편엽의 기부에 구형의 부속물이 있다. ----- 선현호색
1. 인편엽의 기부에 구형의 부속물이 없다.
2. 열매는 선형 또는 넓은 선형으로 종자가 1열 배열
2. 열매는 납작한 방추형 종자는 2열배열. 한국특산식물
3. 열매는 넓은 선형. 꽃은 진한 청색으로 외화편이 넓고 가장자리가 원형 ----- 왜현호색
3. 열매는 좁은 선형. 초승달모양의 꽃은 청색, 홍자색으로 외화판은 좁고 마름모형
4. 줄기는 직립. 잎은 3출엽 부채살 모양. 흰 줄 외화판은 파상 ----- 조선현호색
4. 줄기는 Y자형. 잎은 1~3회 3출엽이며 변이가 다양하다. ----- 현호색
5. 열매는 원통형. 줄기는 직립. 내화판의 선단이 분리. 울릉도에 분포 ----- 섬현호색
5. 열매는 납작함. 방추형 줄기는 Y자형.
6. 꽃받침은 광타원형이며 상부 선단이 갈퀴모양 ----- 갈퀴현호색
6. 꽃받침은 퇴화하여 관찰되지 않는다.
7. 화경에 털이 밀생. 청색, 홍자색. 줄기는 기부가 지면 위로 늘어지다가 상향 ----- 탐라현호색
7. 화경에 털이 없음. 흰색, 하늘색, 청색. 줄기가 늘어지지 않고 상향
8. 진한 성색 잎의 표면에 흰색 반점이 다수 나타난다. ----- 점현호색
8. 꽃은 백색, 하늘색. 줄기는 녹색. 잎 표면에 흰색 반점이 없다.
9. 꽃은 하측 외화판의 기부가 반구형으로 융기하지 않음. 소엽은 타원형, 도란형 ----- 흰현호색
9. 꽃은 하늘색. 하측 외화판의 기부가 반구형으로 융기. 소엽은 변이가 심함 ----- 난장이현호색
[현호색절의 종 검색표2]
1. 인편엽의 기부에 구형의 부속물이 있다. ----- 선현호색
1. 인편엽의 기부에 구형의 부속물이 없다.
2. 열매는 선형 또는 넓은 선형으로 종자가 1열 배열
3. 열매는 넓은 선형으로 곧고, 꽃은 진한 청색이며, 꽃 앞부분의 외화편변은 넓고 가장자리가 원형 ----- 왜현호색
3. 열매는 좁은 선형으로 초승달 모양으로 휘고, 꽃은 청색부터 홍자색까지 변이가 심하며,
꽃 앞부분의 외화편변은 좁고 가장자리가 마름모형
4. 줄기는 직립한다. 잎은 3출엽. 소엽은 도란형 또는 부채모양으로 선단이 장상으로 천열하고,
표면의 엽맥을 따라 흔히 부채살모양의 흰 줄이 생긴다.
꽃 앞부분의 외화편변 가장자리는 결각상 또는 파상을 이룬다. 주두돌기는 12개 ----- 조선현호색
4. 줄기는 엽병과 Y자형을 이룬다. 잎은 1-3회 3출엽. 소엽은 원형, 타원형, 선형등 형태적 변이가 심하고,
거치가 없거나 불규칙하게 천열 또는 심열하여 집단 내에서 원형, 코스모스옆형, 댓잎형 등 다양한 엽형이
관찰되며, 엽맥을 따라 보통 부채살모양의 흰 줄이 생기지 않는다.
꽃 앞부분의 외화판변 가장자리는 결각상이나 파상을 이루지 않고 매끄럽다. 주두는 14개 ----- 현호색
2. 열매는 납작한 방추형 또는 원통형으로 종자가 거의 2열 배열, 한국 특산식물
5. 열매는 원통형. 줄기는 직경 5-7mm로서 직립하고 내화판의 선단이 분리된다. 암술대가 거의 없으며
주두돌기는 8개, 경북 울릉도에 분포 ----- 섬현호색
5. 열매는 납작한 방추형. 줄기는 직경 1-3mm로서 엽병과 Y자형을 이루고, 내화판의 선단이 합착한다.
암술대가 뚜렷이 존재하며 주두돌기는 14개. 한국 중부 또는 제주도에 분포
6. 꽃받침은 광타원형으로 길이 3-5mm이고, 꽃받침의 기부는 자방부위를 감싸고 상부는 화통 위로 솟아
선단이 갈퀴모양으로 갈라진다 ----- 갈퀴현호색
6. 꽃받침은 퇴화되어 관찰되지 않는다.
7. 화경에 털이 밀생하고 꽃은 잡단내에서 청색부터 홍자색까지 변이가 심하다.
줄기 기부가 지면위로 늘어지다가 상향한다. 제주도에 분포 ----- 탐라현호색
7. 화경에 털이 없고 꽃은 흰색, 진한 청색 또는 하늘색으로 종내 변이가 거의 없다.
줄기가 늘어지지 않고 상향한다. 한국 중부에 분포
8. 꽃은 진한 청색으로 길이 25-30mm, 하측 외화편의 맥수가 7개. 줄기는 갈색이고 괴경의 내부 표면은 황색.
잎의 표면에 보통 흰색 반점이 다수 나타난다 ----- 점현호색
8. 꽃은 백색 또는 하늘색으로 길이 14-25mm. 하측 외화판의 맥수는 5개.
줄기는 색색이고 괴경의 내부 표면은 백색, 잎의 표면에 보통 흰색 반점이 나타나지 않는다.
9. 꽃은 백색으로 길이 14-16mm, 하측 외화판의 기부가 반구형으로 용기하지 않으며,
내화판의 양 선단이 돌출하지 않는다. 소엽은 타원형 또는 도란형으로 거치가 없거나 수회 불규칙하게
갈라진다. 강원도 오대산과 설악산 일대에 분포 ----- 흰현호색
9. 꽃은 하늘색으로 길이 20-25mm, 하측 외화판의 기부가 반구형으로 융기하며,
내하판의 양 선단이 둘출한다. 소엽은 원형, 타원형, 선형등 형태적 변이가 심하고, 거치가 없거나
불규칙하게 천열 또는 심열하여 집단 내에서 빗살형, 코스모스잎형, 댓잎형 등 다양한 엽형이 관찰된다.
경기도 현등산에만 분포 ----- 난장이현호색
백운현호색(4.20)
[백운현호색]2004년도에 발표본 종은 한국산 현호색 분류군 중 매우 소형으로, 특히 꽃은 꽃줄기 상부에 모여 달리며 거가 심하게 굽는다.다년초이며 키는 7cm. 줄기에는 잔털이 나고, 여러 개
hyunsik.tistory.com
백운현호색 열매(5.12)
백운현호색(4.20)[백운현호색]2004년도에 발표본 종은 한국산 현호색 분류군 중 매우 소형으로, 특히 꽃은 꽃줄기 상부에 모여 달리며 거가 심하게 굽는다.다년초이며 키는 7cm. 줄기에는 잔털
hyunsik.tistory.com
'23.4.22
'그룹명 > 최근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곱새고사리 (개고사리과, 진고사리속) (0) | 2023.04.26 |
---|---|
푼지나무 잎, 수꽃 (노박덩굴과, 노박덩굴속) (0) | 2023.04.25 |
물솜방망이 꽃(4.22) (0) | 2023.04.25 |
청쌀새(4.13, 쌀새속) (0) | 2023.04.25 |
가는쑥부지깽이 (0) | 2023.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