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풀속]
소수는 길이 4~5mm로 납작하며 포영은 강하게 접혀서 용골을 이루고 용골에는 날개가 달린다.
제3소화가 임성이며 기부에 제1, 2소화가 퇴화된 호영이 있다.
[갈풀속 종 검색표]
1. 근경이 길게 뻗는 다년생식물로 높이 70~180cm. 원추화서는 꽃이 핀 후 가지가 옆으로 벌어진다. ----- 갈풀
1. 근경이 없는 1생식물로 높이 20~120cm. 원추화서는 가지가 짧고 소수가 밀생하여 가지가 벌어지지 않는다.
2. 원추화서는 길이 1.5~6.0cm, 폭 1.2~2.2cm, 소수는 길이 6~10cm, 포영의 용골부의 날개는 톱니가 없고
양성 소화 기부에 인편상으로 퇴화된 2개의 소화가 있다. ----- 카나리새풀
2. 원추화서는 길이 1~6cm, 폭 1~2cm, 소수는 길이 4~6.5cm, 포영의 용골부의 날개는 큰 톱니가 있고
양성 소화 기부에는 인편상으로 퇴화된 1개의 소화가 있다. ----- 애기카나리새풀
[벼과식물의 속 검색표]
1. 단성화로 다른 화서 또는 한 개의 화서에서 따로 핀다.
2. 수꽃은 줄기 끝에, 암꽃은 줄기 중간의 잎겨드랑이에서 핀다. ----- 옥수수속
2. 한 개의 화서에서 암꽃과 수꽃이 따로 핀다.
3. 염주상의 총포엽속에 암꽃, 그 총포엽에서 나온 별도의 꽃자루 끝에 수꽃이 핀다. ----- 염주속
3. 화서의 위쪽에 암꽃, 그리고 아래쪽에 수꽃이 달린다. ----- 줄속
1. 양성화(일부는 단성화)로 한 개의 화서에 핀다.
4. 총으로 이루어진다.(수상화서, 총상화서, 무병소수와 유병소수로 된 화서, 단병소수와 장병소수로 된 화서)
5. 한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
6. 총포엽 속에 소수가 들어 있다. ----- 대청가시풀속
6. 총포엽 구조가 없다.
7. 소수는 자루가 없다.
8. 화축과 소수의 폭이 거의 같다. ----- 염소풀속, 외대쇠치기아재비속
8. 화축은 소수의 폭보다 가늘다. ----- 수염개밀속, 호밀풀속, 갯잠자리피속, 갯보리속
7. 소수는 자루가 있다.
9. 자루 중간에 소수가 달린다. ----- 물잔디속
9. 소수는 자루 끝에 달린다.
10. 소수기부에 긴 총포모가 있다. ----- 수크령속
10. 소수기부에 총포모가 없다. ----- 잔디속, 호밀속, 밀속, 호오리새속, 숲개밀속
5. 여러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
11. 잎 겨드랑이에 총이 달린다.
12. 화축과 소수의 폭이 거의 같다. ----- 뿔이삭풀속, 쇠치기풀속
12. 화축과 소수의 폭보다 가늘다. ----- 쇠풀속, 나도솔새속, 개솔새속, 솔새속
11. 꽃자루 끝에 총이 달린다.
13. 총이 꽃자루 끝에 윤생상으로 달리거나 또는 2~3층으로 가까이 층을 이루어 정생으로 보인다.
14. 총이 2개 또는 여러 개가 꽃자루 끝에 정생한다.
15. 총이 2개가 밀집하여 한 개의 화수처럼 보인다. ----- 쇠보리속
15. 총이 여러 개가 정생한다. ----- 바랭이속, 잔디바랭이속, 우산잔디속, 왕바랭이속,
나도바랭이속, 지네발새속
14. 총이 꽃자루 끝에 2개 이상 여러 층으로 가까이 층을 이루어 정생하며 무병소수와 유병소수 또는
단병소수와 장병소수가 화축의 마디에 짝을 지어 달린다. ----- 모새달속, 조개풀속, 나도바랭이속,
억새속, 바랭이속, 개억새속
16. 총이 한쪽으로 치우쳐 붙거나 우상으로 배열된다. ----- 나도개피속, 참새피속
16. 총이 원추형으로 배열된다. ----- 주름조개풀속, 조릿대풀속, 개피속, 돌피속
16. 총보다 긴 화축에 화서가 나선상으로 배열되어 원주형이 된다. ----- 개사탕수수속, 드렁새속
4. 원추화서로 이루어진다
17. 화서의 가지가 짧아져서 응축원추화서를 이룬다.
18. 소수의 기부에 백색 긴 털이나 자모가 발달한다. ----- 띠속, 강아지풀속
18. 소수의 기부에 털이 없다.
19. 포영은 소화보다 작다. ----- 보리속, 나도잔디속, 갯율무속, 좀물뚝새속, 도랭이피속
19. 포영은 소화보다 크며 소화를 둘러 싼다. ----- 산조아재비속, 쇠돌피속, 뚝새풀속, 향기풀속
17. 화서의 가지가 길어서 개방원추화서를 이룬다.
20. 포영이 퇴화되어 흔적만 있다. ----- 줄속, 벼속, 겨풀속
20. 포영이 뚜렷하다.
21. 제1포영, 제2포영이 커서 그 속에 소화가 매몰된다.
22. 무병, 유병소수 또는 장병, 단병소수가 짝지어 붙는다.
23. 유병소수와 무병소수 모두 양성이다. ----- 기름새속
23. 유병소수는 웅성, 무병소수는 양성이다. ----- 나도기름새속, 수수속
22. 화서의 화축 작은 자루에 소수는 한 개씩 붙는다. 포영 속에 소화가 매몰된다.
24. 소수에 한 개의 소화가 들어 있다. ----- 나래새속, 나도겨이삭속, 나도딸기광이속,
겨이삭속, 산새풀속
24. 소수에 2개 이상의 소화가 들어 있다.
25. 한 개의 소수에 임성(양성) 소수는 1개뿐이다. ----- 흰털새속, 새속, 향모속, 갈풀속
25. 한 개의 소수에 임성(양성) 소수는 2개 이상이다.
26. 호영에 까락이 없다. ----- 기장대풀속
26. 호영에 까락이 있다. ----- 귀리속, 은털새속, 좀새풀속, 물대속
21. 제1포영, 제2포영이 작아서 소화들이 초출된다.
27. 소화의 기반은 선형으로 늘어나고 그 위에 백색 긴 털이 있다. ----- 갈대속
27. 소화의 기반은 작고 백색의 긴 털이 없다.
28. 한 개의 소수에 양성(임성) 소화는 1개 있다.
29. 한 개의 소수에 한 개의 양성소화만 있다. ----- 산기장속, 담상이삭풀속, 쥐꼬리새속
29. 한 개의 소수에 2개의 소화가 있으나 양성소화는 1개뿐이다. ----- 기장속, 좀조개풀속
28. 한 개의 소수에 양성(임성) 소화는 2개 이상 여러 개이다.
30. 호영에 까락이 발달한다.
31. 호영의 등 쪽 중앙부근에서 까락이 생긴다. ----- 개나래새속
31. 호영의 끝 쪽에서 까락이 생긴다.
32. 호영의 끝에서 까락이 생긴다. ----- 김의털속
32. 호영의 끝이 v자로 갈라지며 갈라진
사이에서 까락이 생긴다. ----- 대새풀속, 잠자리피속, 참새귀리속
30. 호영에 까락이 없다.
33. 호영에 확실한 7~13맥이 있다. ----- 방울새풀속, 왕쌀새속, 진들피속
33. 호영에 3~5맥이 있고 또는 불분명한 맥이 있다.
34. 호영은 녹색 양지질이다. ----- 용수염속, 진퍼리새속
34. 호영은 막질이다.
35. 호영의 기부에 면모(철모)가 있다. ----- 포아풀속
35. 호영의 기부에 면모가 없다. ----- 오리새속, 그령속, 김의털속, 고사리새속,
갯겨이삭속
카나리새풀(5.19)
[갈풀속]소수는 길이 4~5mm로 납작하며 포영은 강하게 접혀서 용골을 이루고 용골에는 날개가 달린다.제3소화가 임성이며 기부에 제1, 2소화가 퇴화된 호영이 있다. [갈풀속 종 검색표]1. 근경이 길
hyunsik.tistory.com
카나리새풀(5.10)
[갈풀속]소수는 길이 4~5mm로 납작하며 포영은 강하게 접혀서 용골을 이루고 용골에는 날개가 달린다.제3소화가 임성이며 기부에 제1, 2소화가 퇴화된 호영이 있다. [갈풀속 종 검색표]1. 근경이 길
hyunsik.tistory.com
'13.6.9.
'외래·귀화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둥근잎미국나팔꽃(9.25) (0) | 2022.04.11 |
---|---|
긴포마편초 (0) | 2022.04.09 |
긴포마편초 (0) | 2022.03.18 |
선메꽃 (7.16) (0) | 2022.03.16 |
분홍싸리 잎(6.10) (0) | 2022.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