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그룹명/최근사진

진퍼리사초(4.9, 4.10)

by 곰보배추 2018. 3. 27.

[사초과 식물의 속 검색표] 출처 : 한국식물 도해도감 4

1. 화서는 모든 꽃이 단성화이다. 

    2. 암꽃과 수과는 과포로 싸여 있다. 

        3. 과포는 닫혀 있고, 소수는 모두 단성화이다. ----- 사초속(Carex)

        3. 과포는 일부가 열려 있고, 소수의 정생화는 웅성, 측생화는 양성이다. ----- 좀바늘사초속(Kobresia)

    2. 암꽃과 수과는 인편에 싸여 있다. 

         4. 화서는 두상으로 엽액에 모여 달리며, 짧은 자루가 있다.

             수과는 2장의 인편이 강하게 둘러싼다. ----- 애기개올미속(Diplacrum)

         4. 화서는 원추상으로 줄기의 위쪽에 붙는다.

             수과는 2장의 인편이 느슨하게 둘러싼다. ----- 너도고랭이속(Scleria)

1. 화서는 모두 양성화이거나 적어도 몇 개의 꽃은 양성화이다. 

    5. 소수의 소화는 성기게 달리며, 거의 양성화이다.

        6. 소수의 소화는 2열로 배열된다. 주두의 기부는 비후된다. ----- 골풀아재비속(Rhynchospora)

        6. 소수의 소화는 나선형으로 배열된다. ----- 층층고랭이속(Cladium)

    5. 소수는 많은 꽃이 조밀하게 달리며(단, 세대가리, 파대가리속은 1~2개의 소화로 구성),

        모두 양성화이다.

        7. 소수는 소화가 나선상으로 붙는다.

            8. 화피편이 없다.

                9. 암술대(기부 포함)는 관절이 있어 흔히 수과가 성숙하면 탈락한다. ----- 하늘지기속(Fimbristylis)

                9. 암술대는 수과가 성숙한 후에도 기부가 남아있다. ----- 모기골속(Bulbostylis)

            8. 화피편이 있다.

                10. 화피편은 인편모양이다. ----- 검정방동사니속(Fuirena)

                10. 화피편은 아래로 향하는 가시가 있는 침상이거나 실모양이다. 

                      11. 소수는 1개이며, 정생한다.

                            12. 암술대 기부는 비후된다. ----- 바늘골속(Eleocharis)

                            12. 암술대 기부는 간혹 비후되나 불분명하다. ----- 애기황새풀속(Trichophorum)

                      11. 소수는 1개 또는 다수이며, 정생 또는 가측생한다.

                            13. 화피편은 10개 이상으로 실모양이며, 평활하다. ----- 황새풀속(Eriophorum)

                            13. 화피편은 4~6개 이하로 침상이며, 아래로 향하는 가시가 있다

                                  14. 인편의 표면에 털이 있다. ----- 매자기속(Bolboschoenus)

                                  14. 인편은 무모, 혹은 가장자리에 섬모가 있다.

                                        15. 줄기는 속이 비어 있으며, 여러 개의 마디가 있다. ----- 도루박이속(Scirpus)

                                        15. 줄기는 속이 차 있고, 드물게 마디가 있다. ----- 올챙이고랭이속(Schoenoplectus)

        7. 소수는 소화가 2열로 붙는다.

            16. 소수에 1개 또는 2개의 소화가 달린다.

                  17. 소수의 포가 소화의 인편보다 뚜렷하게 크다. ----- 세대가리속(Lipocarpha)

                  17. 소수의 포가 소화의 인편보다 뚜렷하게 작다. ----- 파대가리속(Kyllinga)

            16. 소수에 다수의 소화가 달린다.

                  18. 수과의 한 모서리가 소수축에 붙는다. ----- 방동사니대가리속(Pycreus)

                  18. 수과의 한 면이 소수축에 붙는다. ----- 방동사니속(Cyperus)

 

[사초속 식물의 아속, 절 검색표] 출처 : 한국식물 도해도감 4

1. 소수는 수가 적으며, 단성, 양성, 유병, 화서에 총상 또는 원추상으로 성기게 배열되며, 전엽이 있다.

    ----- 사초아속

    2. 소수는 1개이고, 정생한다. ----- 산바늘사초절, 바늘사초절, 뿌리대사초절

    2. 소수는 2개에서 다수이고, 1개 또는 여러 개의 소수가 각각의 포엽에 액생하여 원추화서를 이룬다.

        3. 과포는 렌즈형이고, 주두는 2개로 갈라진다. 

            ----- 줄사초절, 중삿갓사초절, 왕비늘사초절, 산뚝사초절, 포기사초절

        3. 과포는 삼릉형이고, 주두는 3개로 갈라진다.

            4. 과포는 부리가 거의 없거나 짧은 부리가 있고, 구부는 평두 또는 짧은 가위 모양이다.

                5. 자소수는 꽃이 조밀하게 모여 달린다. 포엽의 엽초가 없거나 아주 짧다.

                    ----- 참삿갓사초절, 감둥사초절, 유성사초절, 쌀사초절, 검정사초절

                5. 자소수는 성기게 꽃이 달리며, 포엽은 항상 엽초가 있다.

                    ----- 싸라기사초절, 대사초절, 대택사초절, 낚시사초절, 그늘사초절, 청사초절

            4. 과포는 긴 부리가 있거나 중간 정도의 부리가 있다. 구부는 뚜렷 가위 모양이다.

                6. 엽신은 가로맥이 있다.(단, 여우꼬리사초절은 가로맥이 없음)

                     ----- 갈사초절, 융단사초절, 양뿔사초절, 새방울사초절, 좀보리사초절, 여우꼬리사초절

                6. 엽신은 가로맥이 없다.

                     ----- 피사초절, 흰꼬리사초절, 애기흰사초절, 묏풀사초절, 흰이삭사초절, 길뚝사초절

1. 소수는 수가 많으며, 모두 양성, 무병, 화서에 수상으로 조밀하게 배열되며, 전엽이 없다.

    ----- 괭이사초아속

    7. 소수는 자웅성이다. ----- 나도별사초절, 층실사초절, 산사초절, 함북사초절, 타래사초절

    7. 소수는 웅자성이다.(드물게 완전한 웅성 또는 자성)

        ----- 통보리사초절, 바위사초절, 들사초절, 가는사초절, 양덕사초절, 괭이사초절

 

[사초아속의 절 검색표] 출처 : 한국식물 도해도감 4

1. 소수는 1개이고, 정생한다.

    2. 자인편은 일찍 탈락한다. 과포는 길이 6~7cm이고, 성숙 후 아래쪽으로 굽는다. ----- 산바늘사초절

        * 산바늘사초

    2. 자인편은 과포와 같은 시기 또는 더 늦게 탈락한다. 과포는 길이 1.5~6mm이고,

        성숙해도 아래로 굽지 않는다.

         3. 소수는 짧은 원주형 또는 두상이다. ----- 바늘사초절

             * 개바늘사초, 솔잎사초, 잔솔잎사초, 바늘사초, 애기바늘사초

         3. 소수는 선형 또는 선상 원주형이다. ----- 뿌리대사초절

             * 뿌리대사초

1. 소수는 2개에서 다수이고, 1개 또는 여러 개의 소수가 각각의 포엽에 액생하여 원추화서를 이룬다.

     4. 과포는 렌즈형이고, 주두는 2개로 갈라진다. 

          5. 포엽은 엽초가 있고, 자소수는 느슨하게 꽃이 달린다. ----- 줄사초절

              * 논두렁사초, 줄사초, 홍노줄사초, 폭이사초

          5. 포엽은 엽초가 없고, 자소수는 많은 꽃이 밀착한다. 

              6. 소수는 자루가 있고, 다소 아래로 늘어진다.

                  7. 2~6개의 소수가 각각의 포엽에 모여 액생한다. ----- 중삿갓사초절

                      * 중삿갓사초

                  7. 1개의 소수가 각각의 포엽에 액생한다. ----- 왕비늘사초절

                      * 물꼬리사초, 왕비늘사초, 가는비늘사초, 비늘사초, 이삭사초, 산꼬리사초

              6. 소수는 거의 자루가 없고, 가장 아래쪽 것에는 긴 자루가 있어 늘어진다.

                  8. 과포는 현저하게 부리가 있고, 부리는 길이 0.5~1.5mm로

                      구부가 가위모양이다. ----- 산뚝사초절

                       * 산뚝사초, 산비늘사초

                  8. 과포는 부리가 없거나, 구부는 평두이거나 약간 오목하다. ----- 포기사초절

                      * 구슬사초, 참뚝사초, 포기사초, 큰뚝사초, 뚝사초, 회색사초, 좁쌀사초

     4. 과포는 삼릉형이고, 주두는 3개로 갈라진다. 

         9. 과포는 부리가 거의 없거나 짧은 부리가 있고, 구부는 평두 또는 짧은 가위모양이다.

             10. 자소수는 꽃이 조밀하게 모여 달린다. 포엽은 엽초가 없거나 아주 짧다.

                   11. 자소수는 서로 떨어져 달리고, 자루가 있다. ----- 참삿갓사초절

                         * 참삿갓사초, 무늬사초

                   11. 자소수는 서로 인접되어 달리고, 어떤 것은 아래쪽 1~2개의 소수가 떨어져 있으며,

                         짧은 자루가 있거나 가장 아래의 소수는 긴 자루가 있다.

                         12. 포엽의 엽신은 잎 모양이고, 어떤 것은 가장 아래 포엽의 엽신만 잎모양이며,

                               드물게 강모상이다. 정소수는 자웅성 또는 웅성이다. ----- 감둥사초절

                               * 진들검정사초, 감둥사초, 해산사초, 백두사초, 엷은갈미사초, 북사초

                         12. 포엽의 엽신은 인편모양 혹은 아래쪽 것은 좁은 잎모양이고, 위쪽의 것은

                               인편모양이며 정소수는 웅성이다. 

                                13. 자인편은 홍갈색 또는 짙은 갈색. 과포는 무모로 괭택이 있고, 부리의 구부는

                                      비스듬한 평두이며, 암술대 기부는 조금 비후된다. ----- 유성사초절

                                      * 유성사초

                                13. 자인편은 갈색. 과포는 유모로 부리의 구부는 약간 오목하고, 

                                      암술대 기부는 조금 비후되지 않는다. 

                                      14. 과포는 유두상돌기가 있다. ----- 쌀사초절

                                            * 햇사초

                                      14. 과포는 유모이다. ----- 검정사초절

                                             * 진들사초, 산양지사초, 부산사초, 꼬랑사초

             10. 자소수는 성기게 꽃이 달리며, 포엽은 항상 엽초가 있다.

                   15. 과포는 무모 또는 까끌거린다.

                          16. 엽신의 가장자리는 항상 말린다. 포엽은 엽초모양이며, 엽신이 없다. 웅소수는 

                                 꽃의 수가 적고, 암술대 기부는 비후되어 공 모양이다. ----- 싸라기사초절

                                 * 싸라기사초

                          16. 엽신은 편평하다. 포엽의 엽신이 잎모양이거나 짧은 엽신이 있는 불염포 모양이다.

                                 웅소수의 꽃은 많으며, 암술대 기부는 비후되지 않는다. 

                                 17. 줄기는 측생하고, 엽신은 비교적 넓으며, 너비 6~30mm(드물게 3~6mm)이다.

                                       소수는 양성으로 웅자성이다. ----- 대사초절

                                       * 대사초, 지리대사초, 반들대사초, 털대사초

                                 17. 줄기는 포기 가운데서 나오고, 엽신은 비교적 좁으며, 너비 2~5mm이다.

                                       소수는 단성이다.

                                        18. 포엽은 엽초가 짧고, 자소수는 꽃이 조밀하게 붙고, 긴 자루가 있어 아래로

                                               늘어진다. 암술대는 과포 밖으로 나온다. ------ 대택사초절

                                               * 대택사초, 실이삭사초

                                        18. 포엽은 엽초가 길고, 자소수는 꽃이 성기게 붙으며, 굳은 자루가 있어 

                                              직립한다. 암술대는 과포 밖으로 나오지 않는다. ------ 낚시사초절

                                              * 털사초, 장성사초, 집사초, 낚시사초, 나래사초, 쇠낚시사초, 보리사초

                   15. 과포는 유모이며 드물게 무모이다.

                         19. 포엽은 불염포모양으로 엽신이 없다(드물게 잎모양). 수과는 끝이 비후되지 않고, 

                               암술대 기부는 조금 부풀거나 부풀지 않는다. ----- 그늘사초절

                               * 난사초, 가는잎그늘사초, 녹빛사초, 한라사초, 왕그늘사초, 그늘사초

                         19. 포엽은 짧은 엽신이 있고, 수과는 끝이 항상 비후되어 원반모양이며, 

                               암술대 기부는 비후되어 원뿔모양이다. ----- 청사초절

                                * 목포사초, 좀목포사초, 바늘청사초, 애기사초, 녹빛실사초, 가지청사초, 실사초

                                   반들사초, 애기반들사초, 주름청사초, 겨사초, 까락겨사초, 갯바위청사초, 청사초

                                   두메청사초, 갯청사초, 양지사초, 갈색사초, 실청사초, 부리실청사초, 지리실청사초

         9. 과포는 긴 부리가 있거나 중간 정도의 부리가 있다. 구부는 뚜렷한 가위모양이다.

             20. 엽신은 가로맥이 있다.

                    21. 과포는 털이 많거나 적으며, 부리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22. 자인편은 난형 또는 광란형으로 끝이 뾰족하다. 과포는 둔한 삼릉형으로 길이 4mm

                                (드물게 5mm)이고, 짧은 부리를 지니며, 구부는 가위모양이다. ----- 갈사초절

                                * 장군대사초, 갈사초

                          22. 자인편은 피침형 또는 좁은 난형이다. 과포는 부푼 삼릉형으로 길이 5~10mm이고,

                                긴 부리를 지니며, 구부는 긴 가위모양이다. ----- 융단사초절

                                 * 벌사초, 화산곱슬사초, 융단사초, 곱슬사초, 민숲이삭사초

                    21. 과포는 무모이다. 

                          23. 자인편은 긴 까락이 있다. 과포는 거의 수평으로 벌어지고,

                                단면은 둔한 삼릉형이다. ----- 양뿔사초절

                                 * 양뿔사초

                          23. 자인편은 끝에 돌기가 없거나 드물게 짧은 까락이 있다. 과포는 비스듬히 서거나

                                드물게 수평 또는 아래쪽으로 휘어지며, 단면은 부푼 삼릉형이다.

                                24. 자인편은 타원상 피침형 또는 좁은 난형으로 끝에 까락이 없다. 과포의 단면은

                                      부푼 삼릉형으로 막질 또는 혁질에 가깝고, 긴 부리를 갖는다. ----- 새방울사초절

                                       * 왕삿갓사초, 새방울사초, 화산사초, 물삿갓사초, 도깨비사초

                                24. 자인편은 난형 또는 광난형으로 끝에 짧은 까락이 있다. 과포의 단면은 약간

                                      부푼 삼릉형으로 혁질 또는 코르크질이며 짧은 부리가 있다. ----- 좀보리사초절

                                       * 큰천일사초, 회령사초, 인제사초, 천일사초, 좀보리사초 

             20. 엽신은 가로맥이 없다.

                    25. 자인편은 암갈색-자갈색이며, 과포의 단면은 납작한 삼릉형 또는

                          드물게 삼릉형이다. ----- 여우꼬리사초절

                          * 포태사초, 여우꼬리사초

                    25. 자인편은 백색이거나 드물게 짙은 갈색이며, 과포의 단면은 삼릉형 또는 부푼 삼릉형이다.

                           26. 줄기는 측생하거나 드물게 가운데서 나오며, 암술대 기부가 비후된다. ----- 피사초절

                                  * 왕밀사초, 갯보리사초, 밀사초, 청피사초, 진도사초, 피사초, 실피사초, 넓은잎피사초

                           26. 줄기는 포기 가운데서 나오며, 암술대 기부가 비후되지 않는다. 

                                 27. 자소수는 많은 꽃이 조밀하게 달린다. 과포는 흔히 수평으로 벌어지거나 드물게

                                       비스듬히 배열한다. 

                                       28. 자인편은 긴 까락이 있다(단, 염주사초는 까락이 없다.) ----- 흰꼬리사초절

                                             * 염주사초, 화살사초, 흰꼬리사초, 삿갓사초

                                       28. 자인편은 긴 까락이 있거나 없다. ----- 애기흰사초절

                                              * 애기흰사초, 흰사초, 그늘흰사초, 개찌버리사초, 골사초 

                                 27. 자소수는 성기게 꽃이 달린다(단, 흰이삭사초절은 조밀하게 달린다.). 과포는 직립

                                       또는 비스듬히 벌어진다. 

                                        29. 자소수는 원주형이고, 과포는 4.5mm이내이다. ----- 묏풀사초절

                                              * 나도그늘사초, 묏풀사초 

                                        29. 자소수는 좁은 원주형 또는 선상 원주형이고, 과포는 길이 4.5~7mm

                                              (단, 무산사초는 길이 4~4.5mm)이다.

                                              30. 자소수는 선상 원주형이고, 꽃이 조밀하게 달린다. ----- 흰이삭사초절

                                                    * 흰이삭사초, 무산사초 

                                              30. 자소수는 좁은 원주형이고, 꽃이 성기게 달린다. ----- 길뚝사초절

                                                    * 길뚝사초

[괭이사초아속 절 검색표]

1. 소수는 자웅성이다.

    2. 주두는 3개로 갈라진다. ----- 나도별사초절

        * 나도별사초 

    2. 주두는 2개로 갈라진다.

         3. 포엽은 잎모양이며, 엽신은 화서보다 현저히 길다. ----- 층실사초절

             * 층실사초 

         3. 포엽은 인편모양 또는 강모상이다.

             4. 과포는 약간의 유두상 돌기가 있고, 부리가 없거나 짧은 부리가 있으며, 구부는 평활하거나

                 또는 약간 오목하다. ----- 산사초절

                 * 산사초, 호밀사초, 별사초

             4. 과포는 유두상 돌기가 없고, 부리는 길며 부리는 가위모양이다.

                 5. 과포는 성숙 후 벌어지며, 가장자리에 날개가 없다. ----- 함북사초절

                     * 수원사초

                 5. 과포는 성숙 후 직립하며, 가장자리에 날개가 있다. ----- 타래사초절

                     * 타래사초 

1. 소수는 웅자성이다(드물게 완전한 웅성 또는 자성).

    6. 주두는 3개로 갈라지며, 자웅이주이다. ----- 통보리사초절

         * 통보리사초

    6. 주두는 2개로 갈라지며, 자웅동주이다.

        7. 근경이 길게 뻗는다.

            8. 과포는 가장자리에 날개가 있거나 끝부분에만 좁은 날개가 있으며,

                구부는 가위모양이다. ----- 바위사초절

                * 대암사초, 진퍼리사초, 경성사초, 바위사초 

            8. 과포는 가장자리에 날개가 없고, 구부는 약간 오목하다. 

                 9. 과포의 단면은 한 면이 편평하고, 다른 한 면은 볼록하며, 가장자리는 각이 진다. ----- 들사초절

                     * 들사초 

                 9. 과포의 단면은 양면이 볼록하고, 가장자리는 둔하다. ----- 가는사초절

                     * 가는사초

        7. 근경이 짧으며, 줄기는 총생한다.

            10. 과포는 기부가 해면질이다. ----- 양덕사초절

                  * 양덕사초

            10. 과포는 기부가 볼록하다. ----- 괭이사초절

                  * 대구사초, 애괭이사초, 산괭이사초, 괭이사초, 미국산사초, 한석사초

[기재문]

학명은 Carex arenicola F.Schmidt

해안지역의 모래땅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높이 10~30cm이다. 땅속줄기가 길게 뻗고, 줄기는 땅속줄기 마디에서

넓은 간격으로 난다. 줄기 아래는 비늘 모양의 잎이 여러 개 달리고, 그 위에 잎몸이 긴 잎이 모여난다. 잎은 질기다.

잎 너비는 2~3mm이다. 꽃차례는 줄기 끝에 작은이삭이 5개 내외가 뭉쳐나고, 잎 모양의 포는 없다.

꽃은 5~7월에 피는데 작은이삭은 성의 구별이 없고, 각 작은이삭에는 위에 수꽃, 아래쪽에 암꽃이 섞여 달린다.

길이는 5~8mm로 난형이다. 암꽃의 인편은 난형이고, 갈색이고, 끝은 뾰족하며, 중앙의 맥은 녹색, 가장자리는 막질이다.

씨방을 둘러싼 과낭은 인편보다 약간 길고, 난형으로 3~4mm이다. 가장자리가 날개처럼 되고, 부리는 비스듬히 잘린 모양.

암술머리는 두 개로 갈라진다. 우리나라 강원도에 나며, 일본, 러시아 등에 분포한다. 

 

 

 

 

 

 

 

 

 

 

 

 

 

 

 

 

 

 

 

 

 

 

 

'13.4.9 / 영덕

 

 

 

 

 

 

 

 

 

 

 

 

 

 

 

 

 

 

 

'13.4.10 / 영덕

 

'그룹명 > 최근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오미자  (0) 2018.03.30
흰털괭이눈(3.20)  (0) 2018.03.28
통영볼레나무(3.20)  (0) 2018.03.24
통영볼레나무(3.20, 보리장나무속)  (0) 2018.03.24
황칠나무(3.14)  (0) 2018.0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