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구꽃속 특징은 꽃잎처럼 보이는 꽃받침 조각 5개는 떨어져 달리며, 암술과 수술도 떨어져 달린다.
[투구꽃속 비교] (출처는 한길숲 연구소 이호영 박사의 강의 자료)
1. 덩굴성 : 국내에는 놋젓가락나물만 분포한다.
종 명 | 놋젓가락나물 (A. ciliare DC.) |
줄바꽃 (A. alboviolaceum Kom.) |
참줄바꽃 (A. neotortuosum Nakai) |
가는줄돌쩌귀 (A. volubile Pall.) |
화경의 털 | 잔털 | 퍼진 털 밀생 | 퍼진 털 밀생 | 긴 털 |
열매(골돌) | 5개, 털이 없다. | 3개. 짧은 털이 있다. | 5개. 털이 없다. | 5개. 털이 없다. |
잎 갈라짐 | 전열 | 세열(2회) | 세열(2회) | 세열(2회) |
분포 | 전국 숲 가장자리 | 북부지방 | 강원 이북 | 강원 이북 |
2. 꽃받침 상악이 오리형 : 진범과 흰진범은 유사하여 꽃색보다는 암술의 유모 또는 골돌의 유무로 구분한다.
종 명 | 진범 (A. pseudolaeve) |
흰진범 (A. longecassidatum) |
노랑투구꽃 (A. barbatum Patrin) |
한라투구꽃 (A. quelpaertense) |
꽃 색 | 흰색~자주색 | 흰색(황백색) | 옅은 황색 | 연한 자주색 |
암술 | 굽은 털 밀생 | 털이 없다 | 누운 털이 성글게 있다 | 털이 없다 |
잎 갈라짐 | 중열 | 중열 | 전열 | 중열 |
줄기 | 직립 또는 비스듬히 선다. | 덩굴 또는 비스듬히 선다. | 직립한다. | 녹색이며 직립한다. |
분포 | 전국 | 전국 | 정선, 태백 | 한라산 고지대 |
* 날개진범(A. pteropus Nakai )은 꽃이 자주색이고 줄기와 엽병에 날개가 있으며 강원도 세포군(북한 행정구역)에 분포
3. 꽃받침 상악이 투구형 : 투구꽃, 이삭바꽃, 지리바꽃, 한라돌쩌귀는 국내에 분포하나 각시투구꽃, 가는돌쩌귀는 미분포.
종 명 | 투구꽃 (A. jaluense Kom.) |
한라돌쩌귀 (A. japonicum subsp. napiforme) |
지리바꽃 (A. chiisanense Nakai) |
이삭바꽃 (A. kusnezoffii Rchb.) |
소화경의 털 | 개출모(곧은 털) | 굽은 털 | 개출모이나 털 기부가 부풀음 |
털이 없으나 소화경이 짤음(1~4cm) |
분포 | 전국 | 한라산 | 지리산 | 소백산 |
* 그늘돌쩌귀, 세잎돌쩌귀, 진돌쩌귀, 싹눈바꽃, 개싹눈바꽃은 인위교배 결과 투구꽃과 교잡이 되어 투구꽃으로 통합.
* 한라돌쩌귀는 지리산 능선에 투구꽃과 교잡이 추정되는 개체들이 나타남.
* 이삭바꽃은 소백산에 주로 분포하나, 능선을 따라 이삭바꽃, 한라돌쩌귀, 투구꽃의 잡종이 다수 출현함.
4. 그 외 : 선투구꽃은 국내 분포가 불분명하다.
종 명 | 백부자 (A. coreanum (H.Lév.) Rapaics) |
세뿔투구꽃 (A. austrokoreense Koidz.) |
선투구꽃 (A. umbrosum (Korsh.) Kom.) |
꽃 색 | 연한 황색~자주색 | 자주색 | 황색 |
잎 갈라짐 | 세열 | 3~5각형, 천열 | 세열 |
분포 | 중부 이북 | 남부지방 | 북부지방, 정선 |
======================================================================================
[투구꽃속의 종 검색표] (출처는 2017년 한국 특산식물도감, 김무열 저)
1. 상악편이 좁은 원통형. 뿌리는 괴경이 없다.
2. 줄기와 엽병은 날개가 있다. ----- 날개진범
2. 줄기와 엽병은 날개가 없다.
3. 상악편의 끝은 약각 굴곡형
4. 화경과 소화경은 직립형 털이 있다.
5. 줄기는 덩굴성. 암술은 유모. ----- 줄바꽃
5. 줄기는 직립형. 암술은 거의 무모 ----- 한라투구꽃
4. 화경과 소화경은 굴곡형 털이 있다.
5. 소포가 소화경보다 2~3배 길다. 악편은 자색. ----- 진범
5. 소포가 소화경보다 같거나 짧다. 악편은 흰색. ----- 흰진범
3. 상악편의 끝은 곧다.
4. 잎은 깊게 째짐. 엽병은 유모. 소포는 삼각형. 거는 코일형이 아님. ----- 노랑투구꽃
4. 잎은 천열. 엽병은 거의 무모. 소포는 선형. 거는 코일형. ----- 선투구꽃
1. 상악편이 투구형. 뿌리는 괴경이 있다.
2. 소화경은 거의 무모
3. 줄기는 가늘고 40~60cm. 잎은 심열. 화서는 1~2개의 꽃. ----- 각시투구꽃
3. 줄기는 굵고 60~200cm. 잎은 천열.
4. 줄기는 굽음. 소화경은 5~10cm. ----- 키다리바꽃
4. 줄기는 거의 곧음. 화경은 1~4cm. ----- 이삭바꽃
2. 소화경은 유모
3. 소화경은 직립형 털이 있다.
4. 줄기는 덩굴성
5. 엽병은 직립모와 굴곡모. 소화경의 털은 1~1.3cm. ----- 참줄바꽃
5. 엽병은 굴곡모. 소화경의 털은 0.3~0.5mm. ----- 가는줄돌쩌귀
4. 줄기는 곧거나 처진형.
5. 잎은 천열. 악편은 황백색. ----- 세뿔투구꽃
5. 잎은 심열. 악편은 자색계열
6. 잎 2차열편은 천열. 소화경 털은 선형이고 0.7~1mm. ----- 투구꽃
6. 잎 2차열편은 심열. 소화경 털은 기부가 팽대하고 0.2~0.6mm.
7. 줄기 윗부분은 굴곡이 많다. 암술은 무모이거나 봉합선에 털이 있다. ----- 가는돌쩌귀
7. 줄기 윗부분은 굴곡이 없다. 암술은 털이 없다. ----- 지리바꽃
3. 소화경은 굴곡형 털이 있다.
4. 줄기는 덩굴성. ----- 놋젓가락나물(선덩굴바꽃)
4. 줄기는 직립하거나 굴곡형
5. 괴경은 흰색. 잎은 심열. 악편은 황색. 소화경 털은 끝이 갈고리형. ----- 백부자
5. 과경은 흑갈색. 잎은 천열. 악편은 자주색. 소화경 털은 굴곡형. ----- 한라돌쩌귀
흰진범 꽃(9.25)
투구꽃속 특징은 꽃잎처럼 보이는 꽃받침 조각 5개는 떨어져 달리며, 암술과 수술도 떨어져 달린다.[투구꽃속 비교] (출처는 한길숲 연구소 이호영 박사의 강의 자료)1. 덩굴성 : 국내에는 놋젓
hyunsik.tistory.com
진범 열매 (11.16, 투구꽃속)
투구꽃속 특징은 꽃잎처럼 보이는 꽃받침 조각 5개는 떨어져 달리며, 암술과 수술도 떨어져 달린다. 학명은 Aconitum pseudolaeve Nakai이며 종소명 pseudolaeve는 pseudo(가짜의)와 leavus(겁쟁이)의 합성어로
hyunsik.tistory.com
'14.9.29 / 화천
진범 열매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4203
흰진범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6642075
다년초.
근생엽은 엽병이 길고 원심형이며 5-7개로 갈라지고 각 열편에 끝이 뾰족한 결각 또는 톱니가 있으며 경생엽은 위로 올라갈수록 작아지고 간단하게 된다.
꽃은 8월에 피며 높이 2-2.5cm로서 연한 자주색이고 총상화서는 길이 5-15cm로서 원줄기 끝이나 윗부분의 엽액에서 형성되며 소화경은 길이 10mm정도로서 윗부분의 꽃받침 겉면과 더불어 입모(立毛)가 있다. 꽃받침잎은 5개이며 꽃잎같고 뒤쪽 꽃받침잎은 투구같으며 길이 17mm로서 윗부분이 원통상으로 길어지고 약간 굽으며 이마쪽이 좁고 뾰족하게 나오며 양쪽 2개의 꽃받침잎은 긴 타원형이며 끝이 약간 밑으로 처진다. 꽃잎은 2개이며 길어져서 끝부분이 밀선처럼 되고 뒤쪽의 원통형 꽃받침 속에 들어 있다. 수술은 여러 개이며 수술대는 밑부분이 넓고 암술은 3개이다.
골돌은 3개로서 끝이 뒤로 젖혀진 암술대가 남아 있다.
원줄기는 높이 30-80cm로서 곧게 또는 비스듬히 자라고 흔히 자줏빛이 돌며 밑부분에 능각이 지는 수가 있으나 윗부분은 짧은 털이 밀생한다.
뿌리는 직근이 있어 깊이 들어가지만 그리 굵지 않고 흑갈색이다.
'초본식물 > 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황기 (7.27) (0) | 2015.03.20 |
---|---|
조릿대풀 (Lophatherum gracile Brongn.) (0) | 2015.01.27 |
좁은잎계요등 (7.25) (0) | 2014.12.11 |
좁은잎미꾸리낚시 (7.25) (0) | 2014.12.04 |
잔잎바디 (9.13) (0) | 2014.1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