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그룹명/최근사진

산쥐똥나무(5.17)

by 곰보배추 2024. 12. 28.

국가표준식물목록의 쥐똥나무속

국명 학명 분포
버들쥐똥나무 Ligustrum salicinum Nakai 전라남도, 경상남도 진주, 제주도
골짜기에 드물게 분포
산동쥐똥나무 Ligustrum leucanthum (S.Moore) P.S.Green 속리산, 거문도, 경남 산록
상동잎쥐똥나무 Ligustrum quihoui Carrière 전라남도 진도 및 해남 바닷가 산
섬쥐똥나무 Ligustrum foliosum Nakai 울릉도 특산식물
왕쥐똥나무 Ligustrum ovalifolium Hassk. 지리산, 목포 및 변산, 제주도의
해안 가까운 곳
좀쥐똥나무
(쥐똥나무의 아종)
Ligustrum obtusifolium Siebold & Zucc.
subsp. microphyllum (Nakai) P.S.Green
남쪽 지방과 제주도
쥐똥나무(=좀털쥐똥나무) Ligustrum obtusifolium Siebold & Zucc. 전국(제주도 제외?)
털쥐똥나무
(쥐똥나무의 변종) 
Ligustrum obtusifolium Siebold & Zucc.
var. 
regelianum Rehder
전국

 [쥐똥나무속 종 검색표1] 출처 : 이상태 저 한국식물검색집
1. 잎은 상록성 ~ 반상록성
     2. 잎은 상록성 ~ 반상록성, 첨두 ~ 점첨두, 소지에 무모
         3. 잎은 상록성, 화주는 화통 밖으로 길게 나온다. 
              4. 잎은 4-7cm, 화관 열편은 화통과 비슷한 길이. ----- 광나무
              4. 잎은 7-12cm, 화관 열편은 화통보다 길다. ----- 당광나무  
          3. 잎은 반상록성, 화주는 화통 밖으로 나오지 않는다. ----- 왕쥐똥나무
     2. 잎은 반상록성, 둔두-요두, 소지에 유모 ----- 상동잎쥐똥나무 
1. 잎은 낙엽성
    2. 엽병은 1 ~ 4mm, 화통은 열편보다 약간 ~ 3배 더 길다. 화주는 화통 밖으로 나오지 않는다
        3. 화서는 총상 5cm 정도, 포엽이 없다
            4. 잎은 예두 ~ 둔두, 열매는 흑색 ~ 흑자색
                 5. 화서 길이는 2 ~ 3cm, 잎 길이는 2 ~ 7cm ----- 쥐똥나무
                 5. 화서 길이는 1cm 정도, 잎은 1 ~ 2(~4)cm ----- 좀털쥐똥나무(쥐똥나무로 통합)
           4. 잎은 첨두 ~ 점첨두, 화서 길이는 2 ~ 5cm, 열매는 벽흑색 ----- 산동쥐똥나무
      3. 화서는 원추상, 5-20cm, 포엽이 있다. ----- 섬쥐똥나무
 2. 엽병은 8 ~ 15mm, 화통과 열편의 길이가 비슷. 화주는 화통 밖으로 나온다 ----- 버들쥐똥나무

 [쥐똥나무속 종 검색표2] 출처 : 한국속식물지

1. 상록성 교목 또는 관목. 잎은 혁질

     2. 잎은 타원형 내지 난형, 길이 1.5 ~ 10cm, 너비 1 ~ 5cm이고 엽병 길이는 0.5 ~ 1.4cm이다.

         원추화서는 길이 2.5 ~ 15cm, 너비 2.5 ~ 10cm이다

          3. 소지는 무모; 잎은 난형 ~ 타원형, 엽병 길이는 0.5 ~ 1.2cm ----- 광나무

          3. 소지는 유모; 잎은 광난형  또는 광타원형; 엽병 길이는 5mm 이하 ----- 둥근잎광나무 

     2. 잎은 난형, 길이 6 ~ 13.5cm, 너비 3 ~ 6.5cm, 엽병 길이는 1.2 ~ 2cm

         원추화서는 길이 11 ~ 18cm, 너비 7 ~ 12cm이다 ----- 당광나무 

1. 낙엽성 또는 반상록성 관목; 잎은 종이질 또는 막질

    2. 판통은 길이 3 ~ 4mm이고, 화관 열편은 길이 4mm 정도; 약은 위로 3.5mm 정도 돌출하며, 원두;

        주두는 판통 밖으로 돌출한다 ----- 버들쥐똥나무 

    2. 판통은 길이 3.2 ~ 6.5mm; 약은 판통 밖으로 돌출하지 않거나 부분적으로 돌출하며 둔두;

        주두는 판통 밖으로 돌출하지 않는다

        3. 반상록성관목

            4. 소지 유모; 잎은 길이 1 ~ 4cm, 너비 0.5 ~ 2cm  ----- 상동잎쥐똥나무

            4. 소지 무모; 잎은 길이 4 ~ 10cm, 너비 2 ~ 5cm ----- 왕쥐똥나무

       3. 낙엽성관목

           4. 원추화서, 길이 5 ~ 20cm ----- 섬쥐똥나무

           4. 총상화서, 길이 1 ~ 5cm

               5. 약 및 소화경 무모 ----- 좀털쥐똥나무(쥐똥나무로 통합)

               5. 약 및 소화경 유모

                   6  잎은 원두 내지 예두; 화서는 길이 2 ~ 3cm

                        7. 2년지는 무모; 잎 하면의 맥은 무모 ----- 쥐똥나무 

                        7. 2년지도 유모; 잎 하면의 맥에 융모 ----- 털쥐똥나무

                  6. 잎은 점첨두; 화서는 길이 2 ~ 5cm ----- 산동쥐똥나무 

[쥐똥나무속의 종별 특징]

- 쥐똥나무 : 꽃은 총상 또는 복총상꽃차례이며 화서 길이는 2~3cm. 잎 뒷면 맥위에 털이 있다. 잎 끝은 둥글다.

- 털쥐똥나무 : 쥐똥나무 변종으로  어릴 때 잎 표면에 털이 있으며 뒷면 맥 위에 융털이 있다. 

- 좀쥐똥나무 : 쥐똥나무 아종으로 화서는 매우 짧아서 두상으로 보이며 4~8개의 꽃이 달린다.

- 섬쥐똥나무 : 울릉도 특산식물. 쥐똥나무와 유사하나 화서는 8cm로 길고 잎 같은 포가 있다.

- 산동쥐똥나무 : 잎끝이 매우 뾰족하고 꽃은 2~5cm의 원추꽃차례에 달리며 소지에 털이 밀생. 잎 끝은 보통 뾰족.

                           쥐똥나무에 비해 대형이며 꽃차례가 풍성하며 화축은 보통 붉은색이 돌고 긴 털이 밀생한다.

- 왕쥐똥나무 : 쥐똥나무에 비해 잎이 대형이며 광채가 있고, 화서는 길이 5~10cm로 길다.

- 버들쥐똥나무 : 잎몸이 버들잎처럼 양쪽 끝이 뾰족하며 엽병이 8~15mm로 길고 암수술대가 화관 밖으로 나온다.

- 상동잎쥐똥나무 : 잎 뒷면에 샘점이 많고 꽃차례가 긴 원추상이다.

'24.5.17.

'그룹명 > 최근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들레(4.9 / 국화과 민들레속)  (0) 2024.12.28
팥배나무 꽃(5.20, 장미과 팥배나무속)  (0) 2024.12.28
애기봄맞이(5.17, 앵초과)  (0) 2024.12.28
백운취(8.11)  (0) 2024.12.27
송장풀(8.11)  (0) 2024.1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