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고사리과(관다발은 2개)의 속 검색표]
1. 포막이 있다.
2. 중축의 홈은 우축의 홈과 이어지며, 다세포성 털이 없다.
3. 잎자루와 중축의 횡단면은 V자형이고, 포막은 말굽모양 또는 갈고리형이다. ----- 개고사리속
3. 잎자루와 중축의 횡단면은 U자형이고, 포막은 대부분 선형이다. ----- 주름고사리속
2. 중축의 홈은 우축의 홈과 이어지지 않으며, 다세포성 털이 없다. ----- 진고사리속
1. 포막이 없다. ----- 뿔고사리속
속명 | 중축과 우축의 홈 | 중축과 우축 모서리의 돌기 | 다세포성 털 | 포막 |
개고사리속 | 연결됨 | 있음 | 없음 | 선형, 갈고리형, 말굽형 등 다양 |
주름고사리속 | 연결됨 | 없음 | 없음 | 선형 |
진고사리속 | 연결안됨 | 없음 | 있음 | 원형, 갈고리형, 선형 |
뿔고사리속 | 연결됨 | 있음 | 있음 | 없음 |
[주름고사리속 종 검색표]
1. 잎몸은 1회 우상으로 갈라진다.
2. 우편은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기부에 뚜렷하게 귀가 발달하며,
포자낭군은 우편의 중륵에 붙는다. ----- 주름고사리
2. 우편은 가장자리가 중간까지 갈라지고, 기부에 귀가 발달되지 않으며,
포자낭군은 열편의 중륵을 향해 붙는다. ----- 깃주름고사리
1. 잎몸은 2회 이상 우상으로 갈라진다.
3. 잎몸은 2회 우상으로 갈라진다.
4. 상록성이며, 비늘조각은 가장자리에 돌기가 없다.
5. 소우편의 측맥은 단순하다. ----- 검정비늘고사리(제주도, 전남)
5. 소우편의 측맥은 분기한다. ----- 섬잔고사리(제주도)
3. 하록성이며, 비늘조각은 가장자리에 돌기가 있다.
6. 키는 1m이하이고, 소우편은 끝이 둔하거나, 짧게 뾰족하다.
7. 뿌리줄기는 굵고, 짧게 긴다. ----- 내장고사리(전라도, 제주도, 경남)
7. 뿌리줄기는 가늘고, 길게 긴다.
8. 우축, 소우축에 털이 있다. ----- 두메고사리(강원도, 경북)
8. 우축, 소우축에 털이 없다. ----- 민두메고사리(전남, 경남)
6. 키는 1m이상이고, 소우편은 끝이 길게 뾰족하다. ----- 큰섬잔고사리(제주도)
3. 잎몸은 3회 우상으로 갈라진다.
9. 뿌리줄기는 가늘고, 길게 뻗으며,
포자낭군은 열편의 중륵에 맞대어 어긋나게 붙는다. ----- 큰개고사리(전라도)
9. 뿌리줄기는 굵고, 짧게 뻗으며,
포자낭군은 열편의 중륵 가까이에 평행하게 붙는다. ----- 암고사리(제주도)
종명 | 잎몸 | 뿌리줄기 | 포막의 가장자리 | 포자낭군의 위치 |
주름고사리 | 1회 우상 | 길게 김 | 밋밋함 | 중륵 가까이 |
깃주름고사리 | 1회 우상 | 길게 김 | 밋밋함 | 중륵과 가장자리 중간 |
검정비늘고사리 | 2회 우상 | 길게 김 | 밋밋함 | 중륵과 가장자리 중간 |
내장고사리 | 2회 우상 | 짧게 김 | 밋밋함 | 중륵 가까이 |
두메고사리 | 2회 우상 | 길게 김 | 불규칙하게 갈라짐 | 중륵 가까이 |
민두메고사리 | 2회 우상 | 길게 김 | 불규칙하게 갈라짐 | 중륵 가까이 |
큰개고사리 | 3회 우상 | 길게 김 | 밋밋함 | 중륵 가까이 |
큰섬잔고사리 | 1회 우상 | 짧게 김 | 불규칙하게 갈라짐 | 중륵 가까이 |
섬잔고사리 | 1회 우상 | 짧게 김 | 밋밋함 | 중륵과 가장자리 중간 |
암고사리 | 3회 우상 | 짧게 김 | 밋밋함 | 중륵 가까이 |
'24.3.14. / 식재
'그룹명 > 최근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뚝사초(4.22) (0) | 2025.01.26 |
---|---|
고로쇠나무 수꽃(4.22) (0) | 2025.01.26 |
밤나무 충영(2.7) (0) | 2025.01.25 |
아까시나무 수피, 겨울눈(1.16, 2.7) (0) | 2025.01.25 |
개곽향(6.24) (0) | 2025.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