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열매 및 종자/초본 열매

좁쌀냉이 열매, 종자 (5.11)

by 곰보배추 2025. 1. 7.

[특징]

황새냉이와 매우 유사하나

1. 근생엽 중축의 측소엽 기부에 불규칙한 턱잎 모양의 부속물이 붙어 있고

2. 줄기는 단단하고 견고하며 능선과 같은 능각이 여러개 있다.

[비교] 좁쌀냉이, 황새냉이(출처 : 한국의 들꽃, 일본 자료)

종명 좁쌀냉이(Cardamine fallax) 황새냉이(Cardamine flexuosa)
근생엽 소엽의 부속물 탁엽 같은 부속물이 달려 있곤 한다. 탁엽 모양의 부속물이 없다.
경생엽의 소엽 선형~좁은 긴 타원형이며 자루가
없거나
뚜렷하지 않다.
선형~도피침형~긴 타원형~난형
~원형이며 
소엽의 자루는 1~2mm.
열매 크기 / 종자 길이 길이 1~2cm, 폭 0.6~0.9mm / 0.6~1mm 길이 1.2~2.8cm, 폭 1~1.5mm / 0.9~1.5mm
뿌리 직근이 발달 수염뿌리가 발달

주1) 일반적으로 좁쌀냉이 줄기가 황새냉이에 비해 털이 많으나 털의 유무는 생육환경에 따라 변이가 심하므로

        두 종을 구분짓는 형질로 사용할 수 없다.  

주2) 큰황새냉이(C. scutata Thunb.)는 물가에 자라는 다년초로 근생엽과 경생엽의 정소엽이 측소엽에 비해

        확연히 크다.

[비교] 황새냉이, 애기황새냉이 (출처 : 애기황새냉이의 분류학적 재검토, 2015년)

1. 기부엽은 로제트상이고, 중앙밀선은 길이와 폭이 0.1 mm 이상이다.

     화조는 기부에서 급격하게 좁아지고 거치가 뚜렷하다. ----- C. flexuosa (황새냉이)

1. 기부엽은 로제트상을 이루지 않고, 중앙밀선은 0.1 mm 이하이거나 없다.

      화조는 밋밋하게 좁아지고 거치가 없다. ----- C. manshurica(애기황새냉이)

주) 애기황새냉이 2월부터 12월까지 개화와 결실을 지속적으로 반복하여 1년 동안 3−5회 세대교번이 이루어지고

      근생엽은 황새냉이와 달리 로젯트 모양이 아니며 소엽이 적다.

 

좁쌀냉이 신엽

[특징]황새냉이와 매우 유사하나1. 근생엽 중축의 측소엽 기부에 불규직한 턱잎 모양이 붙어 있고2. 줄기는 단단하고 견고하며 능선과 같은 능각이 여러개 있다.'23.3.25

hyunsik.tistory.com

'23.5.11.

'열매 및 종자 > 초본 열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각시취 열매, 종자(10.24)  (0) 2025.01.08
큰앵초 열매, 종자(10.24)  (1) 2025.01.08
벼룩아재비 열매(10.6, 마전과)  (1) 2025.01.04
무릇 열매, 종자(12.10)  (1) 2025.01.03
취나물속 열매, 종자(10.24)  (0) 2025.0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