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 네모골, 좀네모골
종명 | 네모골 (Eleocharis tetraquetra Nees ex Wight) |
좀네모골 (Eleocharis wichurae Boeck.) |
줄기 | 단면은 예리한 4릉형. 높이는 5~90cm. | 단면은 둔하고 3릉~원형이지만 보통 4릉. 높이는 30~60cm. |
인편 길이 | 3~4mm으로 좀네모골에 비해 작다. | 4~6mm으로 네모골에 비해 길다. |
암술대 | 암술대 기부는 수과 너비의 3/4, 길이는 수과의 1/2~1/3. 유두상 돌기가 간혹 있다. |
길이는 수과와 비슷. 유두상 돌기가 조밀. |
수과 크기 | 길이 1.5mm, 너비 1.2mm로 좀네모골에 비해 작다. |
길이 2mm, 너비 1.5mm로 네모골에 비해 크다. |
공통 | 암술머리가 3개. 화피편은 6개이지만 좀네모골의 화피편은 깃털 모양이 더부룩해 지저분해 보인다. |
주1. 긴네모골(Eleocharis × yezoensis H.Hara)은 좀네모골과 바늘골과의 교잡종으로 키가 작고 줄기는 거의
원형이며 인편은 둥근모양.
주2. 돌기네모골(Eleocharis chanchaensis Y.C.Oh & J.Y.Lee)은 네모골과 좀네모골에 비해 암술머리가 2개,
화피편은 4개, 인편이 크며 경기도에 분포한다 하나 자료 사진을 찾을 수 없다.
[바늘골속 검색표]
1. 지하경이 없거나 짧다
2. 줄기의 단면이 3~6릉 또는 원형에 가깝다. ------ 좀네모골
2. 줄기의 단면은 예리한 4릉이며 제주도에 자생 ----- 네모골
2. 줄기는 둥글고 세로로 홈이 있다. ----- 바늘골(일년생)
3. 화피는 수과의 1.5배 ----- 갯바늘골
3. 키가 작고 수과는 진한 올리브색으로 제주도에 자생 ----- 원산바늘골
2. 줄기는 둥글고 세로로 홈이 있다. ----- 참바늘골(다년생)
화피는 수과와 길이가 같거나 약간 짧다
1. 지하경이 길게 뻗는다.
2. 자생지가 해안 ----- 올방개아재비
2. 자생지가 얕은 물속 ----- 까락골, 물꼬챙이골
3. 줄기가 둥글고 둔한 맥 ----- 올방개아재비
3. 줄기가 둥글고 몇 개의 날카로운 줄이 있다. ----- 까락골
3. 줄기가 둥글고 세로로 난 맥 사이로 희미한 가로 격막이 보임 ----- 물꼬챙이골
4. 구부는 약간 비스듬히 잘리고 끝은 삼각상----- 올방개아재비
4. 구부는 자른 모양
4-1. 화피편이 있다. ----- 까락골
4-2. 화피편이 없다. ----- 민까락골 (담양의 광주댐)
4. 구부는 비스듬하게 내지는 가로로 반듯하게 자른 모양 ----- 물꼬챙이골
[좀네모골 : 침상 화피편의 돌기가 깃털모양으로 밀생]
[네모골 : 침상 화피편의 돌기가 좀네모골에 비해 성글게 달린다]
'16.9.17. / 대구
'그룹명 > 최근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고사리 (0) | 2016.09.28 |
---|---|
선백미꽃(협죽도과/5.22) (0) | 2016.09.27 |
회목나무 꽃(6.5) (0) | 2016.09.24 |
처녀치마(5.22) (0) | 2016.09.24 |
숙은처녀치마(6.5) (0) | 2016.09.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