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초속 식물의 아속, 절 검색표] 출처 : 한국식물 도해도감 4
1. 소수는 수가 적으며, 단성, 양성, 유병, 화서에 총상 또는 원추상으로 성기게 배열되며, 전엽이 있다.
----- 사초아속
2. 소수는 1개이고, 정생한다. ----- 산바늘사초절, 바늘사초절, 뿌리대사초절
2. 소수는 2개에서 다수이고, 1개 또는 여러 개의 소수가 각각의 포엽에 액생하여 원추화서를 이룬다.
3. 과포는 렌즈형이고, 주두는 2개로 갈라진다.
----- 줄사초절, 중삿갓사초절, 왕비늘사초절, 산뚝사초절, 포기사초절
3. 과포는 삼릉형이고, 주두는 3개로 갈라진다.
4. 과포는 부리가 거의 없거나 짧은 부리가 있고, 구부는 평두 또는 짧은 가위 모양이다.
5. 자소수는 꽃이 조밀하게 모여 달린다. 포엽의 엽초가 없거나 아주 짧다.
----- 참삿갓사초절, 감둥사초절, 유성사초절, 쌀사초절, 검정사초절
5. 자소수는 성기게 꽃이 달리며, 포엽은 항상 엽초가 있다.
----- 싸라기사초절, 대사초절, 대택사초절, 낚시사초절, 그늘사초절, 청사초절
4. 과포는 긴 부리가 있거나 중간 정도의 부리가 있다. 구부는 뚜렷 가위 모양이다.
6. 엽신은 가로맥이 있다.(단, 여우꼬리사초절은 가로맥이 없음)
----- 갈사초절, 융단사초절, 양뿔사초절, 새방울사초절, 좀보리사초절, 여우꼬리사초절
6. 엽신은 가로맥이 없다.
----- 피사초절, 흰꼬리사초절, 애기흰사초절, 묏풀사초절, 흰이삭사초절, 길뚝사초절
1. 소수는 수가 많으며, 모두 양성, 무병, 화서에 수상으로 조밀하게 배열되며, 전엽이 없다.
----- 괭이사초아속
7. 소수는 자웅성이다. ----- 나도별사초절, 층실사초절, 산사초절, 함북사초절, 타래사초절
7. 소수는 웅자성이다.(드물게 완전한 웅성 또는 자성)
----- 통보리사초절, 바위사초절, 들사초절, 가는사초절, 양덕사초절, 괭이사초절
[사초아속의 절 검색표]
1. 소수는 1개이고, 정생한다. ----- 산바늘사초절, 바늘사초절, 뿌리대사초절
1. 소수는 2개에서 다수이고, 1개 또는 여러 개의 소수가 각각의 포엽에 액생하여 원추화서를 이룬다.
2. 과포는 렌즈형이고, 주두는 2개로 갈라진다. ----- 줄사초절, 왕비늘사초절, 산뚝사초절 등
2. 과포는 삼릉형이고, 주두는 3개로 갈라진다.
3. 과포는 부리가 거의 없거나 짧은 부리가 있고, 구부는 평두 또는 짧은 가위모양이다. --- 청사초절
3. 과포는 긴 부리가 있거나 중간 정도의 부리가 있다. 구부는 뚜렷한 가위모양이다.
4. 엽신은 가로맥이 있다.
5. 과포는 털이 많거나 적으며, 부리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6. 자인편은 난형 또는 광란형으로 끝이 뾰족하다. 과포는 둔한 삼릉형으로 길이 4mm
(드물게 5mm)이고, 짧은 부리를 지니며, 구부는 가위모양이다. ----- 갈사초절
* 장군대사초, 갈사초
6. 자인편은 피침형 또는 좁은 난형이다. 과포는 부푼 삼릉형으로 길이 5~10mm이고,
긴 부리를 지니며, 구부는 긴 가위모양이다. ----- 융단사초절
* 벌사초, 화산곱슬사초, 융단사초, 곱슬사초, 민숲이삭사초
5. 과포는 무모이다. ----- 양뿔사초절, 새방울사초절 등
4. 엽신은 가로맥이 없다. ----- 애기흰사초절, 피사초절, 길뚝사초절 등
[기재문]
학명은 Carex poculisquama Kuk
산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짧게 기는줄기가 있다. 줄기는 성기게 모여나며, 높이 30~70cm이다.
잎의 너비는 2~4mm이다. 아래쪽의 잎집은 옅은 녹색이고 맥은 홍자색이다.
꽃차례의 포는 잎 모양이고 짧은 잎집이 있다. 꽃은 봄에서 여름에 핀다.
가장 위의 이삭에는 수꽃만 달리고, 길이는 1.0~1.5cm로 선형이다.
수꽃이삭 바로 아래에 암꽃으로 구성된 이삭이 달리고 그 아래의 이삭들은 떨어져서 달리며, 길이 1.5~4.0cm이다.
수꽃의 인편은 연한 녹색이고, 축을 둘러싸서 컵 모양이며, 끝은 짧은 까락으로 된다.
암꽃의 인편은 연한 녹색이고 끝이 뾰족하거나 짧은 까락처럼 된다.
씨방을 둘러싼 과낭은 인편보다 길고 난형으로 4mm 정도이다. 과낭 표면에는 많은 털이 있다.
부리는 짧고 끝은 갈라진다. 암술머리는 세 개로 갈라진다.
장군대사초 꽃(4.30)
[사초속 식물의 아속, 절 검색표] 출처 : 한국식물 도해도감 41. 소수는 수가 적으며, 단성, 양성, 유병, 화서에 총상 또는 원추상으로 성기게 배열되며, 전엽이 있다. ----- 사초아속 2. 소
hyunsik.tistory.com
장군대사초(5.10)
[사초속 식물의 아속, 절 검색표] 출처 : 한국식물 도해도감 41. 소수는 수가 적으며, 단성, 양성, 유병, 화서에 총상 또는 원추상으로 성기게 배열되며, 전엽이 있다. ----- 사초아속 2. 소
hyunsik.tistory.com
장군대사초(6.2)
[사초속 식물의 아속, 절 검색표] 출처 : 한국식물 도해도감 41. 소수는 수가 적으며, 단성, 양성, 유병, 화서에 총상 또는 원추상으로 성기게 배열되며, 전엽이 있다. ----- 사초아속 2. 소
hyunsik.tistory.com
장군대사초 (6.24)
[사초속 식물의 아속, 절 검색표] 출처 : 한국식물 도해도감 41. 소수는 수가 적으며, 단성, 양성, 유병, 화서에 총상 또는 원추상으로 성기게 배열되며, 전엽이 있다. ----- 사초아속 2. 소
hyunsik.tistory.com
장군대사초 소수, 열매, 종자(6.26)
[사초속 식물의 아속, 절 검색표] 출처 : 한국식물 도해도감 41. 소수는 수가 적으며, 단성, 양성, 유병, 화서에 총상 또는 원추상으로 성기게 배열되며, 전엽이 있다. ----- 사초아속 2. 소
hyunsik.tistory.com
장군대사초 열매, 종자(6.21)
[사초속 식물의 아속, 절 검색표] 출처 : 한국식물 도해도감 41. 소수는 수가 적으며, 단성, 양성, 유병, 화서에 총상 또는 원추상으로 성기게 배열되며, 전엽이 있다. ----- 사초아속 2. 소
hyunsik.tistory.com
'19.6.4.
'그룹명 > 최근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나물 꽃(4.5, 양귀비과) (0) | 2025.02.25 |
---|---|
복수초 꽃, 열매(4.5) (0) | 2025.02.25 |
벌깨덩굴 꽃(4.20) (0) | 2025.02.24 |
검은재나무 수피(3.14, 노린재나무과) (0) | 2025.02.24 |
흑오미자 잎, 후피향나무 잎(3.14) (0) | 2025.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