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대나물속의 종 검색표] 출처는 '한국 미기록 귀화식물: 솔잎해란초와 유럽광대나물'(2012년)
1. 다년생이다; 화관의 색은 백색; 화관의 길이는 2cm 이상이다.
2. 줄기 기부의 직경은 1~2cm 이다; 엽병의 길이는 1.3cm 이하이다. ----- 섬광대수염(L. takeshimense Nakai)
2. 줄기 기부의 직경은 0.2~0.3cm 이다; 엽병의 길이는 1.5cm 이상이다.
3. 모든 포엽은 포엽병이 없다; 줄기의 털은 밀생한다. ----- 왜광대수염(Lamium album L.)
3. 모든 포엽은 포엽병이 있다; 줄기의 털은 산생한다. ----- 광대수염(Lamium album L. subsp. barbatum)
1. 1년생 또는 2년생이다; 화관의 색은 적자색; 화관의 길이는 2cm 이하이다.
4. 모든 포엽은 엽병이 없다; 포엽은 반원형이다;
포엽 절간이 짧아지지 않아 꽃이 모여나지 않는다. ----- 광대나물(Lamium amplexicaule L.)
4. 기부 포엽은 짧은 엽병이 있다; 포엽은 난형 또는 삼각상 난형이다; 포엽 절간이 짧아져 꽃이 상부에 모여난다.
5. 포엽 가장자리는 둔거치이며, 규칙적으로 갈라진다;
상순의 길이는 4~6mm이다. ----- 자주광대나물(Lamium purpureum L.)
5. 포엽 가장자리는 치아성거치이며, 불규칙하게 갈라진다;
상순의 길이는3~3mm이다. ----- 유럽광대나물(Lamium purpureum L. var. hybridum (Vill.) Vill.)
* 광대나물속 포엽 모양은 본 종의 잎과 거의 비슷하게 처럼 생겨 포엽을 잎으로 오해할 수 있다.
[비교]유럽광대나물, 자주광대나물(4.13)
[좌 : 유럽광대나물 / 우 : 자주광대나물] '16.4.13 / 진안
hyunsik.tistory.com
흰꽃광대나물(4.23, 꿀풀과)
[기재문]학명은 Lagopsis supina (Stephan) Ikonn.-Gal. ex Knorring이며 종소명 supina는 '퍼진' 의미이며 식물체가 퍼져서 자라는 모습에서 유래. 산기슭이나 길가, 밭 주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hyunsik.tistory.com
광대나물 꽃(4.5)
'21.4.5.
hyunsik.tistory.com
유럽광대나물(4.10, 꿀풀과)
'17.4.10. / 군산
hyunsik.tistory.com
자주광대나물 월동잎(2.17)
'23.2.17
hyunsik.tistory.com
자주광대나물 열매, 종자(4.18)
'21.4.18
hyunsik.tistory.com




'22.3.31.







'25.3.7.
'외래·귀화식물 > 외래 · 귀화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양벌노랑이 (콩과, 벌노랑이속) (0) | 2022.09.22 |
---|---|
쑥부지깽이아재비(7.3, 쑥부지깽이속) (0) | 2022.09.13 |
뿔냉이(3.25, 배추과, 뿔냉이속) (0) | 2022.07.15 |
각시갈퀴나물 (0) | 2022.06.09 |
선개미자리(4.17, 4.30) (0) | 2022.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