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랭이속 특징]
1. 제1포영은 없거나 흔적으로 남아 있다.
2. 소수는 자루가 길고 짧은 것으로 1쌍을 이룬다.
3. 소수는 2개의 소화가 있으며 제1소화는 불임이고, 제2소화는 임성이다.
[비교] 바랭이속 소수 모양(길이)
1. 피침형 : 좀바랭이(2.2~3.2mm), 바랭이(2.5~3.5mm)
2. 장타원형 : 민바랭이(1.5~2.0mm, 민바랭이 변종인 서울민바랭이와 탐라민바랭이 공통)
* 좀민바랭이는 도감 정보가 없음.
[비교] 민바랭이, 민바랭이 변종(탐라민바랭이, 서울민바랭이)
1. 민바랭이 : 엽초 구부를 제외하고 털이 없다.
2. 탐라민바랭이 : 민바랭이에 비해 식물체가 왜소하고 엽초와 엽신에 백색의 긴 털이 있다.
3. 서울민바랭이 : 탐라민바랭이와 비슷하나 식물체의 털의 양이 비교적 적으며
특히 엽초 부분에 극히 성기게 긴 연모가 있다. 서울과 경기도 일원에 자란다.
[벼과 속 검색표]
1. 한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
1. 여러 개의 총으로 이루어진다.
2. 잎 겨드랑이에 총이 달린다.
2. 꽃자루 끝에 총이 달린다.
3. 총이 윤생상 또는 2~3층을 이룬다.
4. 총이 꽃자루 끝에 2개 이상 정생한다.
5. 총이 2개가 밀접하여 한 개의 화수처럼 보인다. ------ 쇠보리속
5. 총이 여러 개가 정생한다. ------ 바랭이속, 잔디바랭이속, 우산잔디속, 왕바랭이속,
나도바랭이속, 지네발새속
4. 총이 2개 이상 층을 이루며 무병소수와 유병소수,
단병소수와 장병소수가 짝을 짓는다. ----- 모새달속, 조개풀속, 나도바랭이속, 억새속,
바랭이새속, 개억새속
3. 총이 꽃자루 끝에서 아래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한다.
1. 원추화서로 이루어진다.
왕바랭이 종자(11.7)
왕바랭이 열매, 종자(8.27)'21.8.27hyunsik.tistory.com'19.11.7
hyunsik.tistory.com
'21.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