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 고비과, 야산고비과
- 고비과 : 잎은 이형, 엽신 중축에 홈이 없다.(고비, 꿩고비, 음양고비)
- 야산고비과 : 잎은 이형, 엽신 중축에 홈이 있다.(청나래고사리, 야산고비, 개면마)
[야산고비과의 속 검색표] 출처 : 한국의 양치식물(이창숙, 이강엽)
1. 잎자루의 표면에 홈이 있으며, 잎몸은 기부로 가면서 좁아진다. ----- 청나래고사리속(청나래고사리 1종)
1. 잎자루의 표면에 홈이 없이 약간 납작하고, 잎몸은 기부로 가면서 좁아지지 않는다.
2. 뿌리줄기는 길게 기며, 잎맥은 그물맥이고 유리맥이 거의 없고, 포자엽은 2회 우상으로 갈라지며,
소우편은 염주알 모양이다. ----- 야산고비속(야산고비 1종)
2. 뿌리줄기는 짧고, 잎맥은 유리맥이고, 포자엽은 1회 우상으로 갈라지고,
우편은 선형이다. ----- 개면마속(개면마 1종)
[기재문]
학명은 Onoclea interrupta (Maxim.) Ching & P.C.Chiu
양지바른 들, 습지, 개울가, 숲속 등에서 하록성 여러해살이풀로 자라는 양치식물이다.
뿌리줄기는 옆으로 길게 뻗으며, 어릴 때는 연한 갈색의 비늘조각 있다.
잎은 영양잎과 포자잎이 있으며, 밑에서 여러 개가 모여난다.
영양잎의 잎자루는 길이 10~50cm, 비늘조각은 난형으로 길이 2~4mm, 연한 갈색이다.
잎몸은 삼각상 타원형으로 길이 10~30cm, 폭 8~20cm, 우편은 5~11쌍이다.
우편은 장타원형 또는 피침형으로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 톱니가 있으며,
위쪽의 우편은 밑이 중축으로 흘러 날개를 이룬다. 포자잎은 2회 깃꼴겹잎이다.
소우편은 잎자루가 없고 구형이며, 우축에 2~3mm 간격으로 배열한다.
포자낭군은 투명한 포막에 둘러싸이고, 다시 잎이 둘러싼다. 포자는 9~10월에 달린다.
포자낭군을 갖는 잎몸의 각 열편은 뒤쪽으로 심하게 말려 마치 구슬 모양처럼 되는 점에서
선형인 청나래고사리, 개면마와 구별된다.
야산고비 영양엽(10.28)
양지바른 들, 습지, 개울가, 숲속 등에서 하록성 여러해살이풀로 자라는 양치식물이다. 뿌리줄기는 옆으로 길게 뻗으며, 어릴 때는 연한 갈색의 비늘조각 있다. 잎은 영양잎과 포자잎이 있으며,
hyunsik.tistory.com
10.27.
'그룹명 > 최근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털들깨(10.10 / 꿀풀과, 소엽속) (0) | 2020.11.15 |
---|---|
풍게나무 잎, 수피(11.4) (0) | 2020.11.13 |
병아리다리 (0) | 2020.10.17 |
우산방동사니 모기방동사니 소수 비교 (0) | 2020.10.08 |
털들깨 (0) | 2020.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