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 좁쌀냉이, 황새냉이(출처 : 한국의 들꽃, 일본 자료)
종명 | 좁쌀냉이(Cardamine fallax) | 황새냉이(Cardamine flexuosa) |
근생엽 소엽의 부속물 | 탁엽 모양의 부속물이 있지만 소엽에 다 나있는 것은 아니다. |
탁엽 모양의 부속물이 없다. |
경생엽의 소엽 | 선형~좁은 긴 타원형이며 자루가 없거나뚜렷하지 않다. |
선형~도피침형~긴 타원형~난형 ~원형이며 소엽의 자루는 1~2mm. |
열매 크기 / 종자 길이 | 길이 1~2cm, 폭 0.6~0.9mm / 0.6~1mm | 길이 1.2~2.8cm, 폭 1~1.5mm / 0.9~1.5mm |
주1) 일반적으로 좁쌀냉이 줄기가 황새냉이에 비해 털이 많으나 털의 유무는 생육환경에 따라 변이가 심하므로
두 종을 구분짓는 형질로 사용할 수 없다.
주2) 큰황새냉이(C. scutata Thunb.)는 물가에 자라는 다년초로 근생엽과 경생엽의 정소엽이 측소엽에 비해
확연히 크다.
[비교] 황새냉이, 애기황새냉이 (출처 : 애기황새냉이의 분류학적 재검토, 2015년)
1. 기부엽은 로제트상이고, 중앙밀선은 길이와 폭이 0.1 mm 이상이다.
화조는 기부에서 급격하게 좁아지고 거치가 뚜렷하다. ----- C. flexuosa (황새냉이)
1. 기부엽은 로제트상을 이루지 않고, 중앙밀선은 0.1 mm 이하이거나 없다.
화조는 밋밋하게 좁아지고 거치가 없다. ----- C. manshurica(애기황새냉이)
주) 애기황새냉이는 2월부터 12월까지 개화와 결실을 지속적으로 반복하여 1년 동안 3−5회 세대교번이 이루어지고
근생엽은 황새냉이와 달리 로젯트 모양이 아니며 소엽이 적다.
애기황새냉이 열매, 종자(6.21)
[비교] 좁쌀냉이, 황새냉이(출처 : 한국의 들꽃, 일본 자료)종명좁쌀냉이(Cardamine fallax)황새냉이(Cardamine flexuosa)근생엽 소엽의 탁엽탁엽이 있지만 소엽에 다 나있는 것은 아니다.탁엽이 없다.경생
hyunsik.tistory.com




















'20.3.1.
'그룹명 > 표본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강고랭이 표본 (0) | 2021.12.11 |
---|---|
선개미자리 표본(4.4) (0) | 2021.06.24 |
야고 표본 (0) | 2021.01.22 |
금강애기나리 표본 (금강죽대아재비) (0) | 2020.10.01 |
연복초 표본 (0) | 2020.09.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