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삼과 특징은 꽃이 좌우대칭을 이루고 4개의 수술 중 2개는 길고 씨방은 2개의 심피로 되어 있으며
며느리밥풀속엔 정작 며느리밥풀이 없다.
학명은 Melampyrum roseum var. ovalifolium Nakai ex Beauverd.이고 종소명 roseum는 '장미색의' 라틴어.
꽃며느리밥풀의 변종
[며느리밥풀속 종 검색표]
1. 잎은 난형
2. 포와 꽃받침에 털이 거의 없다.
3. 꽃이 화서에 엉성하게 달림. 포엽 기부에 가시가 존재. ----- 꽃며느리밥풀(이삭꽃차례, 개화 : 7~8월)
3. 꽃이 화서에 밀집하게 달림. 포엽 전체에 가시가 존재. ----- 알며느리밥풀(정생의 총상꽃차례, 개화 : 8~9월)
2. 포와 꽃받침에 긴털이 밀생한다. ----- 수염며느리밥풀(정생의 총상꽃차례, 개화 : 8~9월)
1. 잎은 선형 내지 피침형
2. 잎은 선형. ----- 애기며느리밥풀
2. 잎은 피침형. ----- 새며느리밥풀(애기며느리밥풀의 변종)
[개화시기와 화서]
- 꽃며느리밥풀 : 7-8월에 피는 이삭꽃차례
- 알며느리밥풀 : 8~9월에 피는 총상꽃차례(꽃며느리밥풀의 변종)
- 수염며느리밥풀 : 8~9월에 피는 총상꽃차례(꽃며느리밥풀의 변종)
[분포지]
- 꽃며느리밥풀 : 전국의 산지 숲속 가장자리
- 알며느리밥풀 : 중부 이남과 동쪽 해안을 따라 함경도까지 분포하며 산지 숲속 가장자리
- 수염며느리밥풀 : 남부지방과 서남 군도를 거쳐 일본에까지 분포하며 건조한 곳
[포]
- 꽃며느리밥풀 : 가장자리에 가시같은 돌기가 있다.
- 알며느리밥풀 : 다소 치밀하게 달리고 가장자리에 긴 가시털같은 톱니가 있다.
- 수염며느리밥풀 : 다닥다닥 달리고 백색 연모가 있으며 가시 같은 톱니와 더불어 양면에 짧은 털이 있다.
[꽃받침]
- 꽃며느리밥풀 : 맥줄에 털이 있다.
- 알며느리밥풀 : 잔털이 다소 있다.
- 수염며느리밥풀 : 긴 털이 있다.
'23.10.10
'열매 및 종자 > 초본 열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양지꽃 종자 (10.10 / 장미과, 양지꽃속) (0) | 2023.11.10 |
---|---|
당양지꽃 종자 (10.10 / 장미과, 양지꽃속) (0) | 2023.11.10 |
수염며느리밥풀 종자 (10.10 / 현삼과, 며느리밥풀속) (0) | 2023.11.10 |
새며느리밥풀 종자 (10.10/현삼과, 며느리밥풀속) (0) | 2023.11.10 |
창골무꽃 열매, 종자(10.22 / 꿀풀과, 골무꽃속) (0) | 2023.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