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그룹명/최근사진

숲개별꽃(7.3)

by 곰보배추 2024. 7. 10.

잎 가장자리에 털이 있으며 지하경이 있어 모여 자란다.

[개별꽃속의 종 검색표] 출처 : 한국산 개별꽃속의 분류학적 연구(2019년)

1. 상부 잎은 대생하며, 크기와 모양이 나머지 잎과 비슷하다.

    2. 개화 후에도 직립한다.

        3. 잎은 침형 또는 선상피침형이다. ----- 가는잎개별꽃

        3. 잎은 피침형, 난상피침형, 난형이다.

            4. 엽연과 잎이면 중륵에 털이 있다. ------ 긴개별꽃

            4. 잎 기부에만 털이 있다. ----- 애기개별꽃

    2. 개화 후에 덩굴성이 된다.

        5. 원줄기의 잎과 엽액에서 분지된 줄기의 잎이 동형(난형)이며, 종자가 결실한다. ----- 덩굴개별꽃

        5. 원줄기의 잎과 엽액에서 분지된 줄기의 잎이 이형이며, 종자가 결실되지 않는다.

            6. 소화경이 2 cm 이상이다. ----- 보현개별꽃(덩굴개별꽃과 태백개별꽃의 잡종)

            6. 소화경이 2 cm 미만이다. ----- 설악개별꽃(덩굴개별꽃과 큰개별꽃의 잡종)

1. 상부 잎은 위윤생하며, 나머지 잎에 비해 가장 크다.

    7. 지하경이 있다. ----- 숲개별꽃

    7. 지하경이 없다.

        8. 소화경 전체에 털이 있다. 꽃은 (1)2–5(8)개 핀다. ------ 개별꽃, 털개별꽃

        8. 소화경에 털이 없거나 1–2줄 있다. 꽃은 한개만 핀다.

            9. 결실기 소화경은 3.5 cm 이상이고, 결실기에 줄기 기부로 길어져 굽는다.

                ----- 지리산개별꽃, 태백개별꽃, 대관령개별꽃, 팔공산개별꽃

            9. 결실기 소화경은 3.5 cm 미만이고, 결실기에 줄기 기부로 길어지지 않는다.

                10. 종자가 결실되지 않는다. 지상부 줄기는 하나이고,

                      소화경에 털이 1줄이다. ----- 비슬개별꽃(개별꽃과 태백개별꽃의 잡종)

                10. 종자가 결실된다. 지상부 줄기는 1–17개이고, 소화경에 털이 없거나 1–2줄이다.

                      11. 삭과의 종자수는 5개 이상이다. 결실기 소화경 길이는 1.3–2.8 cm이다.

                            ----- 큰개별꽃, 영선큰개별꽃, 탐라큰개별꽃, 가거큰개별꽃

                      11. 삭과의 종자수는 1–4개이다.

                           결실기 소화경 길이는 2.3–3.4 cm. ------ 정영개별꽃(지리산개별꽃과 큰개별꽃의 잡종)

 

숲개별꽃, 뿌리 (5.2)

꽃잎은 6개이고 잎, 화경 및 줄기에 털이 있으며 근경이 있다. [개별꽃속의 검색표]1. 상부 잎은 대생하며, 크기와 모양이 나머지 잎과 비슷하다.    2. 개화 후에도 직립한다.        3. 잎은 침

hyunsik.tistory.com

 

숲개별꽃 표본

'12.6.24

hyunsik.tistory.com

'24.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