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 둥근잎천남성, 천남성, 점박이천남성
* 둥근잎천남성 : 잎은 1장. 위경(줄기)는 잎자루 길이보다 짧고, 무늬가 없으며 잎 가장자리가 밋밋한 전연이다.
* 천남성 : 둥근잎천남성의 아종이며 잎 가장자리에 거치가 있다.
* 점박이천남성 : 잎은 2장. 위경(줄기)는 잎자루 길이보다 길고, 위경(줄기)에 흑자색 점박이 무늬가 있다.
[천남성속 검색표 1] 출처 : 한국특산식물도감(2017년, 김무열 저)
1. 소엽은 3장. ----- 큰천남성 (A. ringens)
1. 소엽은 5장 이상.
2. 육수화서의 끝은 채찍형.
3. 불염포는 자색. ----- 무늬천남성 (A. thunbergii / 해남, 완도)
3. 불염포는 녹색. ----- 두루미천남성 (A. heterophyllum)
2. 육수화서의 끝은 곤봉상.
4. 소엽은 5장.
5. 거치가 없다. ----- 둥근잎천남성 (A. amurense)
5. 거치가 있다. ----- 천남성 (A. amurense for. serratum)
4. 소엽은 6장 이상
6. 소엽은 얼룩무늬가 있다. 소엽병이 있다. ----- 섬남성 (A. takesimense)
6. 소엽은 얼룩무늬가 없다. 소엽병이 없다.
7. 육수화서는 원주형. 불염포는 녹색. ----- 점박이천남성 (A. peninsulae)
7. 육수화서는 곤봉형. 불염포는 자색. ----- 눌맥이천남성 (A. peninsulae for. convolutum)
[천남성속 검색표 2] 출처 : ?
1. 화수부속체가 불염포밖으로 길게 뻗고, 끝부분은 사상이며 기부에 병이 없다. 엽서는 2/5이다
2. 위경(줄기)이 엽병보다 훨씬 짧으며, 육수화서는 단성의 꽃으로 되어있고, 정소엽이 측소엽보다 작지 않다.
화분립의 돌기 사이가 평활하다. ----- 무늬천남성
2. 위경이 엽병보다 길며, 육수화서는 암꽃과 수꽃으로 되어있거나 오직 수꽃만으로 되어있고,
정소엽이 측소엽보다 훨씬 작다. 화분립은 돌기 사이가 과립상이다. ----- 두루미천남성
1. 화수부속체는 완전히 불염포 현부 안에 있으며, 끝부분은 원추형 또는 곤봉형이며, 입서는 나선상 대상(1/2)이다
3. 불염포의 현부는 주머니 모양 - 투구모양이다. ----- 큰천남성
3. 불염포의 현부는 앞으로 펼쳐저 있거나 숙였거나 기울어져 있다.
4. 소엽편이 3-5매이다.----- 둥근잎천남성
4. 소엽편이 5-19매이다.
5. 소엽편의 표면에 무늬가 없고, 화수부속체가 원추형이다. ------ 점박이천남성(눌맥이천남성)
5. 소엽편의 표면에 무늬가 있고, 화수부속체가 곤봉형이다. ------ 섬남성
참고) 눌맥이천남성은 점박이천남성의 육수화서의 끝이 뭉툭한 것(곤봉형)을 말하는데
이를 구분하지 않고 점박이천남성으로 통합됨.
[천남성속 종 검색표]
참고 : '한국산 천남성속 두루미천남성절의 1신아종(천남성과), 거문천남성'(2006년), 한국특산식물도감(김무열 저)
1. 화수부속체가 채찍모양으로 불염포밖으로 길게 뻗고, 끝부분은 사상이며 기부에 자루가 없다.
2. 위경(꽃대)이 엽병보다 짧다.
3. 잎은 한장. 화수부속체 기부의 비후부는 흰색. ----- 무늬천남성
3. 잎은 한장 또는 드물게 2장. 화수부속체 기부의 비후부는 진한 자색~적자색
4. 화수부속체의 비후부는 주름짐. ----- 거문천남성
4. 화수부속체의 비후부는 평활함. ----- A.thunbergii subsp. urashima(일본 자생)
2. 위경(꽃대)이 엽병보다 길다.
3. 잎은 한장. 정소엽이 측소엽보다 훨씬 작고 꽃차례 연장부가 위를 향한다. ----- 두루미천남성
3. 잎은 두장. 정소엽과 측소엽이 크기가 같고 꽃차례 연장부가 위를 향하지 않는다. ----- 섬천남성
* 섬천남성은 섬남성으로 통합처리
1. 화수부속체 끝부분이 원추형 또는 곤봉형이며 기부에 자루가 있다. ----- 큰천남성 등
주. 천남성속은 암수딴그루이거나 암수한몸(암꽃이 위, 수꽃은 아래)이다.



'14.5.17.
'울릉도 식물 > 초본식물(울릉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섬시호 꽃(5.19) (0) | 2022.03.03 |
---|---|
섬남성 (5.18) (0) | 2022.03.01 |
우산제비꽃(5.17) (0) | 2022.02.25 |
넓은잎쥐오줌풀 (0) | 2021.04.07 |
해국 (10.16, 10.17 / 국화과, 참취속) (0) | 2021.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