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초본식물/사

섬기린초(10.16)

by 곰보배추 2021. 2. 18.

[한국산 기린초속의 종 검색표]

출처 : '외부형태 형질에 근거한 한국산 돌나물과내 돌나물속과 기린초속의 분류학적 고찰'(2020년)
1. 지상부는 20㎝이상이며, 취산화서에 꽃이 10개 초과로 달린다.
    2. 줄기는 1-2개가 뿌리에서 나온다. 줄기 상부에서 가지는 간혹 5개 이상으로 갈라진다. ----- 가는기린초
    2. 줄기는 3개 이상 뿌리에서 나온다.
        3. 지상부는 월동하지 않는다. 절간(마디간 거리)의 길이가 잎의 길이와 같거나 길다.

            잎의 기부는 유저이며, 꽃잎은 장타원형 혹은 피침형이다. ----- 기린초

            (유저 : 잎밑 양쪽이 오목해지면서 날개가 되어 잎자루로 흐름. 잎몸과 엽병 구분이 모호함)
        3. 지상부는 상록성이다. 절간의 길이가 잎의 길이보다 짧다.

            잎의 기부는 예저이며, 꽃잎은 좁은 장타원형이다. ----- 섬기린초

            (예저 : 잎밑이 쐐기처럼 생긴 형태로 엽병이 거의 없음)

1. 지상부는 20㎝미만이며, 취산화서에 꽃이 10개 이하로 달린다.
     4. 잎은 피침형이고, 가장자리에 2-3개의 둔거치를 가진다.

         정단의 취산화서에는 꽃이 5-6개 달린다. ----- 애기기린초(북부지방)
     4. 잎은 광난형이며, 가장자리에 불규칙 치아상거치를 가진다.

         정단의 취산화서에는 7-10개의 꽃이 성기게 달린다. ----- 태백기린초

주1) 애기기린초는 직립하는 여러 줄기가 모여 새둥지처럼 된다.

주2) 가지기린초는 기린초 또는 가는기린초의 개체군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지는 변이 형질

[기재문]

학명은 Sedum takesimense Nakai

잎은 호생하고 피침형 둔두이며 좁은 예저이고 길이 5~6cm, 폭1.0-1.4cm로서 양쪽 가장자리에 6-7쌍의 

둔한 톱니가 있으며, 표면은 황록색, 뒷면은 회록색으로 양면에 털이 없다.

꽃은 7월경에 피고 지름 13mm로서 황색이며 산방화서에 20~30송이가 달린다. 꽃받침은 선형이며 

꽃잎도 피침형이고 길이 6~7mm로서 각각 5개이다. 

수술은 10개이며 꽃밥은 황적색이고 수술대는 황록색이며 암술은 5개이고 암술머리는 가늘며 황록색으로서 

길고 뾰족하다.

열매는 골돌, 5개이고 끝이 가시같이 뾰족하다.

높이가 50cm에 달하고 기부 30cm정도가 겨울동안 살아 남아 있다가 다음해 봄에 다시 싹이 나와서 자라며 

줄기가 옆으로 비스듬히 뻗으면서 자란다.

'20.10.16. 울릉도

'초본식물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잎국화(원추천인국속/9.2)  (0) 2021.03.08
쑥부지깽이 꽃, 열매(5.13)  (0) 2021.03.06
섬곽향 (Teucrium viscidum Blume)  (0) 2021.01.10
섬쑥부쟁이 꽃(10.16, 참취속)  (0) 2021.01.02
수송나물  (0) 2020.1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