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삼과 특징은 꽃이 좌우대칭을 이루고 4개의 수술 중 2개는 길고 씨방은 2개의 심피로 되어 있으며
며느리밥풀속엔 정작 며느리밥풀이 없다.
[며느리밥풀속 종 검색표]
1. 잎은 난형
2. 포와 꽃받침에 털이 거의 없다.
3. 꽃이 화서에 엉성하게 달림. 포엽 기부에 가시가 존재. ----- 꽃며느리밥풀(이삭꽃차례, 개화 : 7~8월)
3. 꽃이 화서에 밀집하게 달림. 포엽 전체에 가시가 존재. ----- 알며느리밥풀(정생의 총상꽃차례, 개화 : 8~9월)
2. 포와 꽃받침에 긴털이 밀생한다. ----- 수염며느리밥풀(정생의 총상꽃차례, 개화 : 8~9월)
1. 잎은 선형 내지 피침형
2. 잎은 선형. ----- 애기며느리밥풀
2. 잎은 피침형. ----- 새며느리밥풀(애기며느리밥풀의 변종, 특산식물)
[개화시기와 화서]
- 꽃며느리밥풀 : 7-8월에 피는 이삭꽃차례
- 알며느리밥풀 : 8~9월에 피는 총상꽃차례(꽃며느리밥풀의 변종)
- 수염며느리밥풀 : 8~9월에 피는 총상꽃차례(꽃며느리밥풀의 변종)
[분포지]
- 꽃며느리밥풀 : 전국의 산지 숲속 가장자리
- 알며느리밥풀 : 중부 이남과 동쪽 해안을 따라 함경도까지 분포하며 산지 숲속 가장자리
- 수염며느리밥풀 : 남부지방과 서남 군도를 거쳐 일본에까지 분포하며 건조한 곳
[포]
- 꽃며느리밥풀 : 가장자리에 가시같은 돌기가 있다.
- 알며느리밥풀 : 다소 치밀하게 달리고 가장자리에 긴 가시털같은 톱니가 있다.
- 수염며느리밥풀 : 다닥다닥 달리고 백색 연모가 있으며 가시 같은 톱니와 더불어 양면에 짧은 털이 있다.
[꽃받침]
- 꽃며느리밥풀 : 맥줄에 털이 있다.
- 알며느리밥풀 : 잔털이 다소 있다.
- 수염며느리밥풀 : 긴 털이 있다.
[기재문]
산지에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 오대산 이북에 주로 자라지만 덕유산 및 부산 근처에서도 자란다.
학명은 Melampyrum setaceum var. nakaianum (Tuyama) T.Yamaz.
잎은 마주나기하며 피침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고 길이 4~12cm, 폭 1~3.5cm로서 끝이 예리하게 뽀족해지며 기부가
둥글거나 수평이고 양면 맥 위와 가장자리 및 엽병에 짧은 털이 다소 산생하며 엽병은 길이 4~6mm이다.
꽃은 8-9월에 피며 홍자색으로서 정생하는 총상꽃차례에 달리고 포는 달걀모양이며 적자색이 돌고 가장자리에
긴 가시털같은 톱니가 있다. 꽃받침은 길이 3mm에서 4mm정도롯 자라며 끝이 뾰족하게 4개로 갈라지고 맥 위에
짧은 털이 있으며 꽃부리는 길이 15mm정도로서 양순형이고 겉에 잔돌기가 다소 있으며 꽃자루는 길이 0.5mm
이하로서 극히 짧다. 높이가 50cm에 달하고 꼬불꼬불한 짧은 털이 있으며 곧게 서고 진한 자주색이다.
애기며느리밥풀에 비해 잎이 보다 크고 포가 달걀모양인 것이 다르다.
새며느리밥풀 (8.7)
현삼과 특징은 꽃이 좌우대칭을 이루고 4개의 수술 중 2개는 길고 씨방은 2개의 심피로 되어 있으며며느리밥풀속엔 정작 며느리밥풀이 없다.[며느리밥풀속 종 검색표]1. 잎은 난형 2. 포와
hyunsik.tistory.com
'24.7.31.
'그룹명 > 최근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래박쥐나물 꽃(7.31) (0) | 2024.12.27 |
---|---|
꿩의다리아재비(5.13) (1) | 2024.12.27 |
아마풀(7.22, 팥꽃나무과) (0) | 2024.12.26 |
일월게박쥐나물(7.3, 7.30) (0) | 2024.12.26 |
[비교] 물솜방망이, 솜쑥방망이 총포 (0) | 2024.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