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그룹명/최근사진

산방백운풀 꽃, 열매(9.23)

by 곰보배추 2024. 9. 25.

[백운풀속 종 검색표] 출처 : 미기록식물 영암풀 발표 논문(2016년)

1. 꽃차례는 단생, 화관 안쪽에 털이 없다.
    2. 꽃은 잎겨드랑이에 1-3개가 달리며, 꽃자루는 짧거나 거의 없다. ----- 제주백운풀(H. brachypoda)
    2. 꽃은 잎겨드랑이에 1개가 달리며, 꽃자루는 길이 0.5−7.0mm이다. ----- 백운풀(H. difusa. = 긴두잎갈퀴)
1. 꽃차례는 단생, 산방 또는 취산꽃차례, 화관 안쪽에 털이 있다. ------ 산방백운풀(H. corymbosa)

[비교] 백운풀, 제주백운풀

종 명 개화시기 잎 크기
백운풀 7~9월 길이 1~3.5cm, 폭 1.5~3mm 1개씩 달리지만 드물게 2~3개,
꽃자루가 짧거나 거의없다.
제주백운풀 8~9월 길이 23.9~50.9mm, 폭 2.4~4.0mm 1개가 달리며 꽃자루는 0.5~7mm

* 제주백운풀을 백운풀과 동일종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

[기재문]

외래식물.

학명은 Oldenlandia corymbosa L.이며 종소명 corymbosa는 '산방화서의' 의미.

동남아시아 원산이며 길가, 습한 들판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땅을 기며 드물게 곧추서기도 하고 길이 12~46cm, 아래쪽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털이 있거나 없다.

잎은 마주나며 잎자루는 짧거나 없으며, 잎몸은 선상 피침형으로 길이 0.5~3.5cm, 폭 0.1~0.6cm, 양 끝이 날카롭게

좁아지며 가장자리는 뒤로 말린다. 턱잎은 막질이며 가시 모양이다.

꽃은 8~9월에 흰색 또는 엷은 보라색으로 피는데 1~7개가 잎겨드랑이나 가지 끝에 달린다.

꽃받침은 뾰족한 피침형이며 거센털이 듬성하게 있다.

우리나라에는 2009년 대전, 대구, 영암 등지에서 확인되었으며, 전 세계 열대와 아열대 지역에 널리 귀화하여 분포한다.

백운풀과 긴두잎갈퀴에 비해 꽃자루가 발달하고, 꽃이 1~7개로 보다 많이 달리는 점으로 구분된다. 

'24.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