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철란속 종 검색표 1] 출처 : 한국의 난과식물 도감(이남숙 지음)
1. 꽃차례가 짧고 꽃이 여러 방향을 향해 핀다.
2. 잎은 그물맥이 뚜렷하며, 꽃은 길이 2.5~3cm이다. ----- 붉은사철란
2. 잎은 평행맥에 가까우며, 꽃은 2cm이내이다. ----- 섬사철란
1. 꽃차례가 길고 꽃이 한쪽 방향으로 치우쳐 핀다.
2. 입술꽃잎 밑부분의 안쪽에는 털이 없고 육상체 또는 능선이 있다.
3. 뿌리에서 나는 잎 3~6개가 줄기 밑에 나며, 입술꽃잎은 난상 타원형이고,
곁꽃받침은 난상 타원형, 뒷면 전체에 털이 많으며 암술머리부리는 1mm 이하이다. ----- 애기사철란
3. 뿌리에서 나는 잎 4~8개가 방사상으로 땅 표면 가까이 나며, 입술꽃잎은 긴 타원형이고,
곁꽃받침은 넓은 피침형, 뒷면 1/2 아래에만 털이 있으며 암술머리부리는 1mm 이상이다. ----- 로젯사철란
2. 입술꽃잎 밑부분의 안쪽에는 털이 있고 육상체 또는 능선이 없다.
3. 잎 윗면은 우단처럼 되며, 그물맥이 아니고, 가운데 맥이 1개로 뚜렷하다. ----- 털사철란
3. 잎 윗면은 매끈하며, 그물맥으로 되어있다.
4. 잎의 측맥이 규칙적이며, 입술 꽃잎의 밑부분이 주머니같이 부풀고,
곁꽃받침은 옆으로 퍼지지 않는다. ----- 탐라사철란
4. 잎의 측맥이 불규칙적이며, 입술 꽃잎의 밑부분은 밋밋한 편이고,
곁꽃받침은 옆으로 퍼진다. ----- 사철란
* 청사철란은 사철란의 변종이며 잎에 백색 반점이 없다.
* 다도사철란은 사철란과 유사하나 사철란에 비해 개화시기가 늦고(9월 말~10월 초순) 잎이 두꺼우며
줄기가 23~32cm로 길다. 흑산도, 홍도에서 발견되어 2022년 신종으로 발표
* 섬털사철란은 섬사철란과 털사철란의 교잡종으로 제주도 서귀포에서 발견
* 탐라사철란은 사철란과 털사철란의 교잡종
[사철란속 종 비교]
종명 | 붉은사철란 | 섬사철란 | 애기사철란 | 로젯사철란 (한국사철란) |
털사철란 | 탐라사철란 | 사철란 |
줄기 | 4~8cm | 5~10cm | 8~20cm | 20~40cm | 10~20cm | 10~20cm | 15~25cm |
개화기 | 7~8월 | 9~10월 | 7~8월 | 7월 | 7~9월 | 8~9월 | 7~9월 |
꽃색 | 갈색빛 도는 붉은색 |
연한 분홍색, 흰색 |
탁한 흰색 | 흰색, 갈색을 띠는 흰색 |
붉은 빛을 띠는 갈색 또는 흰색 |
붉은 빛을 띠는 분홍색 |
분홍빛을 띤 흰색 |
분포 | 전남, 제주도 |
제주도, 홍도, 울릉도, 소흑산도 |
강원, 경기, 경북, 제주도의 1500m 이상의 숲 |
경북, 전북, 충북, 경기 |
제주도 | 제주도 | 전국 |
공통 | 괴경 또는 괴근이 없으며 뿌리는 땅속줄기의 마디에서 나오고 입술꽃잎은 갈라지지 않는다. |
[사철란속 종 검색표 2] 출처 : 한국특산식물도감(김무열 저)
1. 화서길이는 3cm이하이다.
2. 엽맥은 뚜렷한 망상맥이다. 꽃 길이는 2.5~3cm. ----- 붉은사철란
2. 엽맥은 불분명한 망상맥이다. 꽃 길이는 2cm 이하. ----- 섬사철란
1. 화서길이는 7cm이상이다.
3. 순판기부 안쪽에 털이 없다. Callus(육상체)가 있다.
4. 근생엽은 로젯트형이 아니다. 측꽃받침 이면은 전체에 털이 있다. ----- 애기사철란
4. 근생엽은 로젯트형이다. 측꽃받침 이면은 중간 이하에만 털이 있다. ----- 로젯사철란
3. 순판기부 안쪽에 털이 있다. Callus(육상체)가 없다.
5. 잎은 망상맥이 아니다. ----- 털사철란
5. 잎은 망상맥이다.
6. 잎은 불규칙한 망상맥. 순판기부는 평평하다. ----- 사철란
6. 잎은 규칙적인 망상맥. 순판기부는 부풀어있다. ----- 탐라사철란
'15.8.29 / 태안
'초본식물 > 뿌리잎'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각시수련 신엽(7.3) (0) | 2015.12.02 |
---|---|
담배풀 신엽(1년초, 9.6) (0) | 2015.11.04 |
참좁쌀풀 신엽(8.16) (0) | 2015.10.20 |
개구리미나리 뿌리잎 추정(4.5) (0) | 2015.10.17 |
큰여우콩 신엽(8.15) (0) | 2015.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