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작나무과 특징은 잎은 홑잎으로 어긋나며
수꽃은 길게 늘어 떨어 뜨리는 미상꽃차례고 암꽃은 짧게 곧추서서 무리를 이룬다.
열매는 견과이다.
[비교] 박달나무, 개박달나무, 사스레나무, 거제수나무 (참고 : 한국의 나무)
종명 | 박달나무 (B. schmidtii Regel) |
개박달나무 (B. chinensis Maxim.) |
사스레나무 (B. ermanii Cham.) |
거제수나무 (B. costata Trautv.) |
잎 | 잎 뒷면은 선점이 산재하고 맥에는 긴 털이 밀생한다. 측맥은 8~12쌍 |
잎 뒷면은 긴 털이 있다. 측맥은 8~9쌍 |
잎 뒷면은 털이 거의 없다. 측맥은 8~12쌍 |
짧은 가지에서는 2개씩 달리며 맥에 털이 많다. 측맥은 9~16쌍 |
열매 | 길이 2~4cm의 장타원형 |
길이 1.5~2cm의 장타원형 또는 구형 |
길이 2~4cm의 장타원형 |
길이 2~4cm의 장타원형 |
종자 | 가자자리에 날개가 뚜렷하지 않다. |
가장자리에 날개가 거의 없다. |
가장자리에 날개가 있다. |
가장자리에 날개가 있다. |
겨울눈 | 인편 끝에 갈기처럼 생긴 긴 백색털이 있다. |
인편 끝에 갈기처럼 생긴 긴 백색털이 있다. |
인편이 백색털로 빽빽하게 덮혀 있다. |
인편에 털이 없다. |
수피 | 흑갈색~회갈색이며 노목은 두꺼운 조각으로 불규칙하게 벗겨진다. |
흑갈색이며 가로방향의 선상의 피목이 많다. |
회백색이고 거칠게 벗겨진다. |
노목은 수피가 붉고 종잇장처럼 벗겨진다. |
[기재문]
학명은 Betula ermanii Cham.
지리산, 설악산, 한라산 백록담 부근, 소백산, 태백산, 팔공산 등지의 비교적 높은 산에 많이 분포하며 중부이북에
분포한다.
잎은 삼각상 난형 또는 넓은 난형이며 점첨두이고 예저, 아심장저 또는 아원저이며 길이 5-10cm로서 불규칙하고
성긴 톱니가 있고, 측맥은 8-12쌍이며 표면은 털이 없고 뒷면은 지점이 있으며 맥 위에 털이 있다.
양면 잎맥에 미모와 불규칙한 중거치가 있으며, 잎맥은 길이 1-2.4cm이다. 엽병은 5-30㎜이다.
수꽃의 화서는 길이 8cm로 아래를 향하며, 암꽃 화서는 길이 2cm정도로 위를 향하고 5-6월에 개화한다.
웅화수는 가지끝에 매달리고 길이 3-5㎝이다.
과수는 곧게 서고 길이 2-3cm로서 긴 타원형이며 대는 길이 3-5mm이고 털이 많다. 실편의 중앙열편은 측편보다 길고
선상 긴 타원형이며 측편은 도란상 타원형. 열매의 날개는 열매 나비의 1/2정도이고 소견과는 도란형이며 9월에 성숙.
높이 7-8m이고 수피는 회적갈색 또는 거의 회백색이며 종이처럼 벗겨져서 줄기에 오랫동안 붙어있다.
소지에 지점(脂點)과 점상 피목이 있다.
사스래나무(6.6)
자작나무과 특징은 잎은 홑잎으로 어긋나며수꽃은 길게 늘어 떨어 뜨리는 미상꽃차례고, 암꽃은 짧게 곧추서며 열매는 견과이다.[비교] 박달나무, 개박달나무, 사스레나무, 거제수나무 (참고 :
hyunsik.tistory.com
'22.6.17.
'그룹명 > 최근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자순 잎, 열매(6.17, 7.3) (0) | 2022.09.25 |
---|---|
끈끈이귀개 꽃(6.3) (0) | 2022.09.25 |
창질경이 전초(6.3) (0) | 2022.09.25 |
패랭이꽃(6.12) (0) | 2022.09.25 |
푸른갯골풀 뿌리(6.3) (0) | 2022.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