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벼과/벼과

들비노리(9.25, 그령속)

by 곰보배추 2024. 9. 27.

[특징]

1. 호영이 3맥이다.

2. 화서가지가 갈라지는 지점에 털이 없다.(큰비노리는 털이 있음)

3. 소수는 붉은색을 띤다.

[비교] 비노리, 큰비노리, 들비노리

종명 비노리 큰비노리 들비노리
화서 개방형. 화서축은 무모
2차 가지를 내기도 한다.
화서가 수평으로 퍼진다.
개방형. 화서축에 가는 털이 있다.
2차 가지를 내기도 한다.
개방형 또는 가끔 응축
1차가지만 난다.
개화기 6~9월 7~9월 8~10월
소수 길이는 2.5~4.5mm이며
소화는 3~10개. 암녹색
길이는 3~10mm이며
소화는 4~14개
길이는 4.5~8mm이며
소화는 5~18개. 어두운 홍자색
줄기 ~ 60cm ~ 60cm ~ 30cm
엽초 상부는 무모이거나 몇 개의
짧은 털이 있다.
상부는 잔털이 있다. 구부는 2~2.5mm의
수염털이 
있거나 없다.
포영 제1포영은 약 0.6mm
제2포영은 1mm
제1포영은 약 0.4~0.9mm
제2포영은 0.7~1.3mm
제1포영은 약 0.5~1.5mm
제2포영은 1~2mm
호영 길이 1.5mm 길이 1.8mm 길이 1.5~2mm

[그령속의 종 검색표1]

1. 화서에 황색 선점이 뚜렷이 있다.

    2. 소수 자루에 선점이 있다. ----- 그령

    2. 소수 포영과 호영에 선점이 있다.

        3. 식물체는 작고, 소수에 소화가 3~16개 있다. ----- 좀새그령

        3. 식물체는 크고, 소수에 소화가 10~40개 있다. ----- 참새그령

1. 화서에 황색 선점이 없거나 희미하다.

    2. 다년초이다. ----- 능수참새그령

    2. 1년초이다. 

        3. 화서 가지짬에 긴 털이 있다. ----- 큰비노리

        3. 화서 가지짬에 털이 없다.

            4. 화서는 적자색이 강하고, 소수는 2mm 미만이다. ----- 각시그령

            4. 화서는 암녹색이고, 소수는 2mm 미상이다. ----- 비노리

그 외에 화서가 비스듬히 서거나 응축되며, 황색이 감도는 갈색~어두운 홍자색인 들비노리

습지에서 누워 자라는 그령이 있다.

[그령속의 종 검색표2]

1. 소수의 길이 2.2mm이하이며 소수축은 탈락성이다. ----- 각시그령

1. 소수의 길이 2mm이상이며 소수축은 숙존성이다.

    2. 소수의 자루에 마디모양으로 부푼 선점이 있다.

        3. 다년생이며 화서는 길이 20~40cm, 소수는 길이 6~10mm이다. ----- 그령

        3. 일년생이며 화서는 길이 7~20cm, 소수는 길이 6~15cm(3~8mm)이다.

             4. 소수의 폭이 2.5~3.0mm이며 10~30개의 소화,

                 소수의 자루가 짧아서 화서 전체가 소수로 꽉 찬 것처럼 보인다. ----- 참새그령

             4. 소수의 폭이 1.5~2.0mm이며 4~12개의 소화,

                 소수의 자루는 참새그령보다 길어서 화서 전체가 성기게 보인다. ----- 좀새그령

    2. 소수의 자루에 선점이 없다.

        5. 식물체는 높이 60~120cm, 엽신은 길이 40~60cm, 폭 1.5~2.0mm,

            표면쪽으로 말려서 머리카락처럼 보인다. ----- 능수참새그령

        5. 식물체는 높이 8~70cm, 엽신은 길이 5~20cm, 폭 1~4mm, 편평하다.

            6. 화서의 가지 분기점과 엽초 구부에 긴 털이 없다. 소수는 길이 2.0~3.5mm이다. ----- 비노리

            6. 화서의 가지 분기점과 엽초 구부에 긴 털이 잉ㅆ다. 소수는 길이 3~5mm이다. ----- 큰비노리

[벼과의 속 검색표]

1. 단성화로 다른 화서 또는 한 개의 화서에서 따로 핀다. ----- 옥수수속

1. 양성화(일부는 단성화)로 한 개의 화서에 핀다.

    2. 총으로 이루어진다.(총 : 수상화서, 총상화서, 무병소수와 유병소수로 된 화서, 단병소수와 장병소수로 된 화서)

    2. 원추화서로 이루어진다

         3. 화서의 가지가 짧아져서 응축원추화서를 이룬다.

         3. 화서의 가지가 길어서 개방원추화서를 이룬다.

              4. 포영이 퇴화되어 흔적만 있다.

              4. 포영이 뚜렷하다.

                   5. 제1포영, 제2포영이 커서 그 속에 소화가 매몰된다.

                   5. 제1포영, 제2포영이 작아서 소화들이 초출된다.

                       6. 소화의 기반은 선형으로 늘어나고 그 위에 백색 긴 털이 있다.

                       6. 소화의 기반은 작고 백색의 긴 털이 없다.

                           7. 한 개의 소수에 양성(임성) 소화는 1개 있다.

                             7. 한 개의 소수에 양성(임성) 소화는 2개 이상 여러 개이다.

                                 8. 호영에 까락이 발달한다.

                                 8. 호영에 까락이 없다.

                                     9. 호영에 확실한 7~13맥이 있다.

                                     9. 호영에 3~5맥이 있고 또는 불분명한 맥이 있다.

                                         10. 호영은 녹색 양지질이다.

                                         10. 호영은 막질이다.

                                               11. 호영의 기부에 면모(철모)가 있다. ------ 포아풀속

                                               11. 호영의 기부에 면모가 없다. ----- 그령속, 오리새속.

그령속 : 엽초와 화서에 분비선이 발달한다. 엽설은 털로 된다. 포영은 잘 떨어지고 1맥이나 3맥도 있다. 호영은 3맥으로 용골이 있거나 없으며 막질 ~ 혁질이고 털은 없으며 전연이고 까락은 보통 없다. 내영의 용골은 날개가 발달하여 털이 있다. 

 

 

들비노리 소수, 종자(9.13)

[특징]1. 호영이 3맥이다.2. 화서가지가 갈라지는 지점에 털이 없다.(큰비노리는 털이 있음)3. 소수는 붉은색을 띤다.[비교] 비노리, 큰비노리, 들비노리종명비노리큰비노리들비노리화서개방형.

hyunsik.tistory.com

 

들비노리 (8.9/그령속)

[그령속의 종 검색표1]1. 화서에 황색 선점이 뚜렷이 있다.    2. 소수 자루에 선점이 있다. ----- 그령    2. 소수 포영과 호영에 선점이 있다.        3. 식물체는 작고, 소수에 소화가 3~16개 있다.

hyunsik.tistory.com

 

비노리(9.29)

[특징]1. 화서가지는 거의 수직으로 뻗는다.2. 화서가지가 갈라지는 지점에 털이 없다.(큰비노리는 털이 있음)3. 소수는 붉은색을 띤다.[기재문]학명은 Eragrostis multicaulis Steud. 경작지, 빈터 등에 자

hyunsik.tistory.com

'24.9.25

'벼과 > 벼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뚝새풀(4.9, 뚝새풀속)  (1) 2024.12.28
진퍼리새(10.16)  (0) 2024.10.17
논피(9.22)  (0) 2024.09.24
나도논피(9.17, 9.22)  (0) 2024.09.24
쥐꼬리새(쥐꼬리새속, 9.2)  (0) 2024.09.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