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징]
1. 화경은 분지하지 않고 외화피에 망상무늬가 있다.
2. 꽃과 잎의 높이가 비슷하거나 꽃이 약간 높다.
3. 주두는 삼각상이며 열매의 횡단면은 3각형이다.
* 제비붓꽃계열(노랑꽃창포, 꽃창포, 들꽃창포, 제비붓꽃)은 주두가 넓은 반원형이고 열매는 6각형.
[붓꽃속의 종 검색표] 출처 : 한국특산식물도감(김무열 저)
1. 외화피에 장식털이 없다.
2. 화경은 차상으로 분지한다. ----- 대청부채(Iris dichotoma Pall.)
2. 화경은 분지하지 않는다.
3. 내화피가 인편으로 퇴화했다. ----- 부채붓꽃(Iris setosa Pall. ex Link)
3. 내화피가 있다.
4. 잎은 뒤틀려있다. ----- 타래붓꽃(Iris lactea var. chinensis (Fisch.) Koidz.)
4. 잎은 반듯하다.
5. 꽃은 꽃대에 3~4개. 식물체는 60~150cm 이다.
6. 꽃은 자주색이다.
7. 외화피에 넓은 노랑무늬가 있다. 돌기가 외화피에 있다.
8. 외화피에 망상무늬가 있다. ----- 붓꽃(I. sanguinea Donn ex Horn)
8. 외화피에 망상무늬가 없다. ----- 제비붓꽃(I. laevigata Fisch. ex Turcz.)
7. 외화피에 좁은 노랑무늬가 있다. 돌기가 외화피에 없다. ----- 꽃창포(I. ensata Thunb.)
6. 꽃은 노랑색이다. ----- 노랑꽃창포(Iris pseudacorus L.)
5. 꽃은 꽃대에 1~2개. 식물체는 20~30cm 이다.
6. 포는 광피침형, 1~3cm
7. 포는 황녹색. ----- 난쟁이붓꽃(Iris uniflora var. caricina Kitag.)
7. 포는 녹색. ----- 솔붓꽃(Iris ruthenica KerGawl.)
6. 포는 좁은 피침형, 4~8cm
7. 꽃은 자주색이다. ----- 각시붓꽃(Iris rossii Baker)
7. 꽃은 노랑색이거나 노랑무늬가 있다.
8. 꽃은 노랑색이다.
9. 1개 꽃이 달림. 꽃자루가 짧다. 외화피 겉은 자색을 띤다. ----- 금붓꽃(I. minutoaurea)
9. 2개 꽃이 달림. 꽃자루가 길다. 외화피 겉은 노란색을 띤다. ----- 노랑붓꽃(I. koreana)
8. 꽃은 흰색 바탕에 노랑무늬가 있다. 꽃대마다 2개 꽃이 달린다. --- 노랑무늬붓꽃(I. odaesanensis)
1. 외화피에 장식털이 있다.
2. 꽃은 자주색. ----- 연미붓꽃(Iris tectorum Maxim.)
2. 꽃은 노랑색. ----- 만주붓꽃(Iris mandshurica Maxim.)
[붓꽃과 식물의 검색표] 출처 : 한국의 붓꽃(국립수목원)
1. 외화피편과 내화피편은 거의 같은 모양이고 화주분지(花柱分枝)는 실모양으로
수술과 호생한다. ----- 등심붓꽃속, 범부채속
1. 외화피편과 내화피편은 모양이 다르고 화주분지는 편평한 화판상(花瓣狀)으로 수술을 덮는다. --- 붓꽃속
2. 화경은 몇 번 둘로 갈라져 산형상 취산화서이고 종자 양 끝에는 가종피가 있다. --- 대청부채아속(대청부채)
2. 화경은 단정화서, 단축 된 총상화서 또는 총상화서로 종자에는 가종피가 없다.
3. 외화피편에 계관상(鷄冠狀)의 부속체가 있다. --- 연미붓꽃아속(연미붓꽃)
3. 외화피편에 계관상(鷄冠狀)의 부속체가 없고 단세포로 된 단모(短毛)가 다수 있다. --- 만주붓꽃아속
4. 종자에는 백색의 가종피모양의 배봉선(背縫線)이 없고 포(苞)는 대형으로 꽃 밑에 바로 붙지 않고
연변부(緣邊部, 외)는 뚜렷한 색깔이 없는 녹색이고 과기(果期)에 포가 삭과를 싸지 않는다. --- 붓꽃절
5. 잎은 비틀리지 않고 곧게 뻗으며 주두는 삼각상형, 반원형 또는 둔삼각사형 등이며 주두의 섬모는
삼각상 두부구형(頭部球形), 반원형(半圓形) 또는 검형(劍形) 또는 곤봉상이고 자방 내 배주(胚珠)는
1~2열 혼합상형과 2열성 방추상형이고 삭과의 상부가 부리모양으로 돌출하거나 돌출하지 않으며
뚜렷한 늑(肋)이 있거나 없고 종자는 1,2열 혼합 종배열성과 2열 종열성이며 열매의 횡단면은 3각상
또는 아원형이다. --- 붓꽃아절
6. 내화피편은 아주 작은 심장형이고 상부는 강모(剛毛)처럼 뾰족하다. 화경은 분지하고 자방의
횡단면은 3각상이거나 각이 둥글고 삭과는 타원형,
주두는 3각형이나 각이 둥글다. --- 부채붓꽃계열(부채붓꽃)
6. 내화피편은 외화피편보다 작으나 아주 작지 않고 심장형이 아니고 상부는 뾰족하지 않다.
화경은 분지하거나 분지하지 않으며 자방의 횡단면은 3각상이며 원형 또는 6각형이며 삭과는
장타원형, 아구형, 또는 3각상 원주형이며 주두는 3각상으로 넓은 반원형 또는 반원형이다.
7. 단정화서 또는 양화서(兩花序), 화경은 분지하지 않고 자방의 횡단면은 3각상 또는 원형,
삭과는 아구형 또는 3각상 원주형, 주두는 반원형으로 꽃은 비교적 작다.
--- 금붓꽃계열(금붓꽃, 노랑붓꽃, 노랑무늬붓꽃, 각시붓꽃, 넓은잎각시붓꽃)
7. 총상화서이며 화경은 분지하고 자방의 횡단면은 3각상 또는 6각상이며 삭과는 장타원형으로
짧은부리가 있거나 없고 주두는 3각상 또는 반원형이고 꽃은 비교적 크다.
8. 자방의 횡단면은 3각상이며 삭과는 장타원형으로 부리가 없고 주두는 3각상이며 중륵은 없고
줄기는 비어 있으며 외화피편의 기부에 2개의 3각상 돌기가 있다. --- 시베리아붓꽃 계열
9. 화경은 분지하고 근경을 갈색이며 잎의 기부는 특별한 색깔로 물들어 있 지 않고 꽃은 잎보다
훨씬 높고 내외화피편은 청색이며 화주분지의 열편 은 거치가 있는 아4변형(亞四邊形)이고
화사는 연보라색이다. --- 시베리아붓꽃
9. 화경은 분지하지 않고 근경은 황갈색이며 잎의 기부는 적자색이고 꽃은 잎과 높이가 같거나
약간 높고 내외화피편의 색깔은 보라색이며 화주분지의 열편은 거치가 있는 3각상인데
화사는 백색이다. 화분립은 장구형.
10. 전체 크기가 진보라붓꽃보다 작고 외화피편은 아원형의 연보라색이고 종피는 세망상형,
약의 표피는 사상형(絲狀型)이다. --- 붓꽃
10. 전체 크기가 붓꽃 보다 크고 외화피편은 원형의 진보라색이고 내화피편은 도란형으로
진보라색이며 종피는 망상형, 약의 표피는 불규칙한 사상형이다. 꽃봉오리는 점두한다.
--- 진보라붓꽃
10. 꽃이 붓꽃보다 약간 크고 2송이씩 마주나는 것처럼 보인다. --- 한국붓꽃
8. 자방의 횡단면은 6각상이며 삭과는 장타원형으로 부리가 있고 주두는 넓은 반원형이며 중륵은
뚜렷하고 줄기는 비어 있지 않으며 외화피편의 기부에 3각상 돌기가 없다.
--- 제비붓꽃계열(노랑꽃창포, 꽃창포, 들꽃창포, 제비붓꽃)
5. 잎은 2~3회 비틀어지고 주두는 닻모양이며 주두의 섬모는 봉상이고, 자방내 배주는 1열성 방추상형,
삭과는 6늑상(肋狀) 정단, 단돌기형(短突起型)이고, 종자는 1열로 종배열하며,
횡단면은 윤상(輪狀)이다. --- 타래붓꽃아절(타래붓꽃)
4. 종자에는 백색의 가종피 모양의 배봉선(背縫線)이 있고 포는 소형으로 꽃 밑에 바로 붙고 연변부(緣邊部)는
자주색 또는 적자색이고 과기(果期)에 포가 삭과를 싼다. --- 솔붓꽃절(솔붓꽃, 난장이붓꽃)
붓꽃 열매, 종자(8.16)
[특징]1. 화경은 분지하지 않고 외화피에 망상무늬가 있다.2. 꽃과 잎의 높이가 비슷하거나 꽃이 약간 높다.3. 주두는 삼각상이며 열매의 횡단면은 3각형이다. * 제비붓꽃계열(노랑꽃창포, 꽃
hyunsik.tistory.com






'초본식물 > 뿌리잎' 카테고리의 다른 글
냉이 꽃, 신엽(3.7) (0) | 2025.03.30 |
---|---|
실망초 뿌리잎(3.29, 개망초속) (0) | 2025.03.30 |
선메꽃 신엽(3.28) (0) | 2025.03.28 |
가시상추 신엽(3.6, 3.27) (0) | 2025.03.27 |
연복초 신엽, 뿌리(3.25) (0) | 2025.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