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푸레나무과 특징은 대부분 꽃에는 수술 2개와 암술 1개가 들어 있는데,
암술은 서로 합쳐진 2개의 심피로 되어 있다.
꽃잎은 보통 4장이고 아래가 서로 붙어 통모양을 이룬다.
잎은 마주나고 가지도 대부분 마주난다.
수피는 흰색 반점이 있는 암회색이나 노목이 되면서 세로로 갈라진다.
겨울눈은 암회색이고 끝이 뾰족하며 3~4장의 인편으로 싸여 있다.
인편은 청자색 털로 덮혀 있다.
끝눈 양옆으로 정생측아가 혹처럼 붙는다.
[비교] 물들메나무와 들메나무
- 공통 : 2년지에서 꽃이 핀다. (물푸레나무는 새가지에서 꽃이 핀다)
어린 수피는 회백색~회색이고 평활하지만 오래되면 세로로 갈라진다.
* 물들메나무 (Fraxinus chiisanensis Nakai) : 특산식물, 가야산,내장산, 덕유산, 전남 백운산, 만주지산, 덕항산 등
cf) 종소명 chiisanensis는 '지리산에서 자라는' 의미
- 소엽이 5-7(9)장이며, 겨울눈은 인편 없이 벗겨져 있으며 갈색의 성모로 덮혀 있고 납작한 모양.
- 잎 뒷면은 광택이 나고 맥 기부에 약간의 갈색 털이 있다.
* 들메나무(Fraxinus mandshurica Rupr.) : 경북, 전북 산지의 계곡
- 소엽이 9-11장이 기본이며 겨울눈에 흑갈색 인편으로 덮혀 있고 세모형
- 엽축과 소엽자루가 만나는 지점에 갈색 털이 밀생한다.
cf) 종소명 mandshurica는 '만주에서 자라는' 의미
[물푸레나무과(수꽃양성화딴그루) 종 검색표]
1. 화서는 전년도 가지에서 잎이 나오기 전에 나온다.
2. 인아이다. 꽃받침이 없다. ----- 들메나무(꽃받침과 꽃잎이 모두 없다)
2. 나아이며 갈색 성모가 밀생한다. 꽃받침이 있다. ----- 물들메나무(특산식물, 꽃잎이 없다)
1. 화서는 새가지에서 잎과 동시에 나온다.
2. 꽃잎이 없다. ----- 물푸레나무(꽃받침과 꽃받침 열편, 수술 2개, 암꽃 1개)
2. 흰색 꽃잎이 있다. ----- 쇠물푸레나무(화관이 4갈래, 수술 2개, 암꽃 1개)
물들메나무 겨울눈, 전초 (물푸레나무과, 물푸레나무속)
[비교] 물들메나무와 들메나무 - 공통 : 2년지에서 꽃이 핀다. (물푸레나무는 새가지에서 꽃이 핀다) 어린 수피는 회백색~회색이고 평활하지만 오래되면 세로로 갈라진다. * 물들메나무 (Fraxinus chi
hyunsik.tistory.com
쇠물푸레나무 겨울눈
'21.2.3
hyunsik.tistory.com
'24.1.30
'목본식물 > 겨울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혹느릅나무 (느릅나무) 겨울눈(1.30) (0) | 2024.02.08 |
---|---|
으름덩굴 겨울눈 (으름덩굴과, 으름덩굴속) (0) | 2024.02.08 |
붉나무 겨울눈 (옻나무과) (0) | 2024.01.29 |
말발도리 겨울눈, 수피 (2.4 / 범의귀과, 말발도리속) (0) | 2024.01.24 |
물들메나무 겨울눈, 전초 (7.25) (0) | 2024.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