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그룹명/최근사진

물오리나무 꽃(3.1)

by 곰보배추 2023. 3. 8.

[오리나무속 종 검색표] 출처 : 한국특산식물도감(김무열 저)

1. 아린은 2~3개. 눈은 둔두.

    2. 잎은 타원형이고 첨두이다.

        3. 엽저는 설저. ----- 오리나무

        3. 엽저는 원저. ----- 떡오리나무

    2. 잎은 원형이고 원두이다.

        3. 구과가 있는 잎은 8cm 이하. ----- 물오리나무

        3. 구과가 있는 잎은 8cm 이상. ----- 수우물오리(물갬나무, 특산식물)

1. 아린은 여러 개. 눈은 점첨두.

    2. 측맥은 5~12쌍. 잎의 중앙이 가장 넓다.

        3. 소지는 검은색. ----- 설령오리나무(덤불오리나무로 통합)

        3. 소지는 갈색.

            4. 털이 잎이면에 있다. 구과는 1.5cm 이하. ----- 덤불오리나무

            4. 털이 잎이면에 없다. 구과는 2cm 이상. ----- 두메오리나무(덤불오리나무로 통합)

    2. 측맥은 12~27쌍. 잎의 중앙이하가 가장 넓다. ----- 사방오리나무(재배식물)

주1) 잔털오리나무(Alnus × mayrii Callier)는 오리나무와 물오리나무의 잡종으로 생각된다.

        주로 산지에서 자라며, 경기 의정부시 천보산, 전북 무주군 조항산, 경북 영천시 보현산 등지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물오리나무에 비해 잎 양면에 털이 많으며 실체는 확인할 수 없다.

주2) 수우물오리(Alnus incana (L.) Moench subsp. tchangbokii Chin S.Chang & H.Kim)는

        물오리나무의 변종으로 과거에 물갬나무로 동정했던 나무. 국가표준식물 목록에는 없다. 

주3) 좀잎산오리나무(Alnus inokumae)는 물오리나무에 비해 잎이 작고 측맥은 6~8쌍, 열매는 좀사방오리처럼

        많이 달리며 크기도 작다(1cm). 수피는 회흑색이며 평활하고 피목이 뚜렷하게 발달한다.

        강원도 산지에 사방조림용으로 식재.

[비교] 물오리나무, 수우물오리(물갬나무)

종명 물오리나무
(Alnus incana (L.) Moench subsp. hirsuta)
수우물오리(=물갬나무)
(Alnus incana (L.) Moench subsp. tchangbokii)
수피 매끈하고 평활하다 불규칙하고 거칠다.
엽연 예거치 또는 이중 예거치 예거치
엽저 설저 심장저 또는 설저
종자 모양 / 크기 원형 또는 타원형 / 크기 2∼3.1 × 1.1∼3 mm 타원형 / 크기 2∼2.8 × 1.1∼ 1.7 mm

'23.3.1

'그룹명 > 최근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루귀 꽃(3.8)  (0) 2023.03.09
만주바람꽃(3.8)  (0) 2023.03.09
키버들 꽃(2.23 / 버드나무과, 버드나무속)  (0) 2023.03.08
새덕이 꽃봉오리  (0) 2023.03.08
백서향(3.5, 팥꽃나무과)  (0) 2023.0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