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목본식물/마

물들메나무 (5.25)

by 곰보배추 2016. 6. 10.

[비교] 물들메나무와 들메나무 

- 공통 : 2년지에서 꽃이 핀다. (물푸레나무는 새가지에서 꽃이 핀다)

             어린 수피는 회백색~회색이고 평활하지만 오래되면 세로로 갈라진다.

* 물들메나무 (Fraxinus chiisanensis Nakai) : 특산식물, 가야산,내장산, 덕유산, 전남 백운산, 만주지산, 덕항산 등

  cf) 종소명 chiisanensis는 '지리산에서 자라는' 의미

- 소엽이 5-7(9)이며겨울눈은 인편 없이 벗겨져 있으며 갈색의 성모로 덮혀 있다

- 잎 뒷면은 광택이 나고

* 들메나무(Fraxinus mandshurica Rupr.) : 경북, 전북 산지의 계곡

- 소엽이 9-11이 기본이며 겨울눈에 흑갈색 인편으로 덮혀 있다

- 엽축과 소엽자루가 만나는 지점에 갈색 털이 밀생한다.

  cf) 종소명  mandshurica는 '만주에서 자라는' 의미

[물푸레나무과 종 검색표]

1. 화서는 전년도 가지에서 잎이 나오기 전에 나온다.

    2. 인아이다. 꽃받침이 없다. ----- 들메나무

    2. 나아이며 갈색 성모가 밀생한다. 꽃받침이 있다. ----- 물들메나무(특산식물)

1. 화서는 새가지에서 잎과 동시에 나온다.

    2. 꽃잎이 없다. ----- 물푸레나무

    2. 흰색 꽃잎이 있다. ----- 쇠물푸레나무

[기재문]

물이 흐르는 계곡의 바위틈이나 적윤한 토양에 군생

표고 600m 이상의 산지 계곡과 사면에서 높이 30m, 지름 1m 정도로 자라는 낙엽 활엽 큰키나무이다.

줄기는 4개의 각이 지고, 잎은 마주나며 (7)9~11(13)의 작은잎으로 구성되어 있다. 작은잎자루는 발달하지 않는다.

작은잎은 매우 가늘며 길이는 9~17cm, 폭은 3~7.5cm이며 뒷면의 맥을 따라 갈색 털이 밀생한다.

곁의 작은잎 자루는 없거나 1~2mm로 매우 작다. 꽃은 4~5월에 전년도 가지에 원추꽃차례로서 잎이 나기 전에 핀다.

꽃잎이 없지만 양성화와 암꽃, 수꽃 모두에서는 꽃받침이 존재하는 암술머리가 선형이고 꽃받침 열편이 작은

삼각형으로 갈라진다. 겨울눈은 갈색, 비늘조각이 없으며, 별 모양 돌기가 밀생한다.

종자는 시과, 8~9월에 익으며, 매우 가늘고 길이 3~4cm, 폭 1cm이다.

우리나라 강원도 덕항산, 충청북도 민주지산, 전라북도 덕유산, 내장산, 전라남도 지리산, 월출산 등지에 분포하는

한국 고유종이다. 겨울눈에 비늘조각이 없고, 작은잎 수가 적으므로 들메나무와 구별된다. 

 

 

 

 

 

 

 

 

 

 

 

 

 

 

 

 

 

 

 

 

 

 

'15.5.25 / 지리산

 

'목본식물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머귀나무 (Zanthoxylum ailanthoides var. inermis)  (0) 2018.05.06
마주잎꾸지나무(7.13, 꾸지나무로 통합)  (0) 2017.11.17
모새나무 (6.5)  (0) 2015.08.16
멍석딸기 (5.27)  (0) 2015.07.02
물오리나무 (3.21)  (0) 2015.04.28